-
화엄경의 제목 1-3 광(廣) 또 대방광불화엄경에서 광(廣), 즉 “넓다.”라고 한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이 세상의 모든 사람 사람과 생명 생명들이 다 같이 넓고 넓어 그 끝을 찾을 수 없는 존재라는 뜻에서 “넓다[廣].”라고 한 것이다. 그러므로 경허선사는 대방광불화엄경을 설하시면서 ..
화엄경의 제목 1-2 방(方) 또 대방광불화엄경에서 방(方), 즉 “바르다.”라고 한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저나 여러분이나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 무엇을 어떻게 하며 살든 그대로가 방정하며 아름다우며 여법하며 저절로 그러하여 아무런 잘잘못이 없다는 뜻으로 “바르다[方].”라고 한 ..
* 화엄경의 제목 화엄경(華嚴經)의 온전한 이름은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이다. 인도의 말로는 <마하 바이프라 붓다 간다 뷰하 수트라(Maha大 Vaiplya方廣 Buddha佛 Ganda華 Vyuha嚴 sutra經, 摩訶 毗佛略 勃陀 建拏 驃詞 修多羅)>라고 한다. 화엄경은 워낙 큰 경전이다 보니 제목의 뜻..
화엄경 강설을 시작하며 나무대방광불화엄경. 나무대방광불화엄경. 나무대방광불화엄경. 불교에 입문하여 무수한 불보살님들과 화엄성중님들의 가호로 수많은 경전과 어록을 공부하는 중 화엄경이라는 참으로 위대한 경전을 받들어 모시게 되었습니다. 그 인연으로, 2010년 3월 1일부터 ..
불기2558년 부처님오신날 연등회 연등행렬이 26일 저녁 종로 거리를 밝혔다. 연등행렬 참가자들은 연등으로 거리에 '아픔을 함께' 글씨를 새겼다. ‘세월호’ 아픔을 나누고 격려하기 위한 연등과 정근이 26일 서울 종로 거리를 가득 메웠다. 26일 오후 6시 30분 동국대학교를 출발한 연등회 ..
세월호 참사 희생자 애도 분위기 이어져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내외국인들에게 한국의 고유한 멋과 맛을 알리기 위해 열린 전통문화마당도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부처님오신날 봉축위원회(위원장 자승스님, 조계종 총무원장)는 지난 4월27일 조계사 앞 우정국로에서 전통문화마당을 열고..
포교론 2. 도심 사찰 포교 1. 홍보 방안 - 홍보기획, 홍보의 종류, 유의사항 2. 신도 관리 가. 초기신도 관리방안 나. 신도 배가 전략 다. 소모임 운영 라. 임원 교육 3. 기타 참고사항(사찰 이벤트 등 원고작성자의 경험에 따른 참고사항) 1. 도심 포교당은 산중 사찰과는 운영 방식이 달라야 ..
1. 포교 일반 1. 현대사회에서 가장 바람직한 사찰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2. 단위 사찰에서 포교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어떤 방법이 있는지 알려 주십시오. 3. 사찰의 포교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지역사회 포교 환경 분석은 어떻게 하나요? 4. 법회를 처음 개설하려고 합니다. 무엇부터 준비..
포교사의 설법방법 제목 포교사의 설법방법 주제 최상의 설법을 위한 조건과 방법 목적 조건에 맞는 불교설법 방안을 계획하고 설법하는 방법을 익혀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설법을 갖춘다. 설법목표 1) 설법의 조건을 이해한다. 2) 불교설법의 특징을 인식한다. 설법 진행 설법주제 설법 ..
불교포교의 문제점과 과제 목 차 1. 머 리 말 2. 포교 목적과 이념의 문제 3. 종지, 이념과 신앙의 문제 4. 포교 기능의 제 문제 5. 맺음말 1. 머리말 70년대를 불교포교의 활성화의 기본 활동기였다 한다면 80년대는 양적, 질적 포교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한 것이었다. 도시와 농촌에서 산업..
불교포교의 본질과 과제 김응철(중앙승가대학교 포교사회학과) Ⅰ. 서언 불교포교의 본질은 모든 중생의 해탈과 해탈지견의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해탈이란 번뇌 망상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것을 말하며, 해탈지견은 해탈한 상태에서 세간을 완전히 알..
삼국의 불교 수용과 이차돈의 순교 高 雲 전 만 수 불교의 전래 불교가 이 땅에 나타 난지 5백여 년이 지난 시기에 중국으로 전해졌다. 대략 후한(後漢) 시기로 본다. 그때 어떤 교리가 전해졌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 이때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에서는 대승불교가 싹을 틔우고 불상..
SAMATHA, VIPASSANA 불교의 수행 samatha, vipassana는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직접 수행하신 불교수행의 표본이다. 부처님께서는 고행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에서 혹독한 수행을 하셨으나, 이를 통해서는 깨달음에 들 수 없다고 판단하시고 명상수행에 들어가셨다. 명상은 고대 ..
불교가 언제 신라에 전해졌는가? 1. 우리나라에 불교가 들어 온 시기를 말할 때 고구려 소수림왕 2년 372년으로 본다. 이는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소수림왕 조에“2년 6월에 秦나라 왕 부견이 사신과 승려 順道를 보내어 불상과 佛文을 전하니, 왕은 사신을 보내어 사례하고 토산물을 바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