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장엄(莊嚴) (2) 보리수의 장엄 2 金剛爲身하며 瑠璃爲幹하며 衆雜妙寶로 以爲枝條하며 寶葉扶疏하야 垂陰如雲하며 寶華雜色으로 分枝布影하며 復以摩尼로 而爲其果하야 含暉發焰하야 與華間列하니라 다이아몬드로 몸통이 되고 유리로 줄기가 되었으며, 온갖 아름다운 보석들로 가지..
2, 장엄(莊嚴) (2) 보리수의 장엄 1 其菩提樹가 高顯殊特하니라 그 보리수는 높이 솟아 아주 특별하였습니다. 강설 ; 보리수의 장엄도 역시 “여래의 위신력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깨달음의 힘으로 영상처럼 나타난 보리수의 장엄을 밝혔다. 뮐러(1794~1827)라는 독일의 시인이 있다. 그의 ..
2, 장엄(莊嚴) (1) 땅의 장엄 7 佛神力故로 令此道場一切莊嚴으로 於中影現하니라 모두가 부처님의 위신력으로써 이 도량의 일체 장엄들이 그 가운데서 영상으로 나타나게 하였습니다. 강설 ; “비로소 정각을 이루시니 그 땅이 견고하여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져 있더라.”라는 것으로부터..
2, 장엄(莊嚴) (1) 땅의 장엄 6 寶樹가 行列하야 枝葉光茂하니라 보석으로 된 나무들이 줄지어 있는데 가지와 잎들은 무성하게 빛나고 있었습니다. 강설 ; 길거리의 늘어서 있는 가로수들도 모두모두 보석으로 되어 있으며 그 가로수들의 가지들과 잎들도 한없이 무성하여 반짝반짝 빛을 ..
2, 장엄(莊嚴) (1) 땅의 장엄 5 雨無盡寶와 及衆妙華하야 分散於地하니라 무궁무진한 보석들과 여러 가지 미묘한 꽃들이 소낙비가 내리듯이 그 땅에 흩뿌렸습니다. 강설 ; 하늘에서는 무궁무진한 보석들과 온갖 아름다운 꽃들이 마치 장마철 소낙비가 내리듯이 그 땅에 흩뿌려 쌓인다. 선..
2, 장엄(莊嚴) (1) 땅의 장엄 4 衆寶羅網과 妙香華纓이 周帀垂布하며 摩尼寶王이 變現自在하며 여러 가지 보석으로 된 그물과 미묘한 향기가 나는 꽃다발들이 두루 두루 드리워져 있었고, 으뜸가는 마니보석이 자유자재하게 변화하며 나타났습니다. 강설 ; 불교경전에는 그물이 자..
2, 장엄(莊嚴) (1) 땅의 장엄 3 摩尼爲幢하야 常放光明하고 恒出妙音하며 마니로 된 깃대에서는 항상 광명을 놓고 끊임없이 아름다운 소리를 내었습니다. 강설 ; 부처님의 깨달음을 나타내는 깃대가 높이 솟아있고 그 위에는 깃발이 펄럭인다. 그 깃대는 마니라는 값진 보석으로 만들어 졌..
2, 장엄(莊嚴) (1) 땅의 장엄 2 上妙寶輪과 及衆寶華와 淸淨摩尼로 以爲嚴飾하고 諸色相海가 無邊顯現하니라 가장 아름다운 보륜(寶輪)과 여러 가지 보배로운 꽃과 청정한 마니로 빈틈없이 꾸며져 있었으며, 온갖 색상의 바다가 끝없이 나타나 있었습니다. 강설 ; 부처님이 깨달음을 이루..
2, 장엄(莊嚴) (1) 땅의 장엄 1 其地가 堅固하야 金剛所成이니라 그 땅은 견고하여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강설 ; 역시 경전을 결집하고 편찬한 아난존자가 부처님의 입장에서 보고 듣고 느끼고 안 것을 서술한 것이다. 불교인들은 인도의 부다가야를 참배하기를 좋아한다. 부..
1, 시성정각(始成正覺) 3 始成正覺하시니라 비로소 정각(正覺)을 이루셨습니다. 강설 ; 불교의 출발은 부처님이 정각을 이룸으로부터 시작된다. 2천 6백여 년 전 납월 8일 날 35세 된 한 청년이 오래고도 모진 고행 끝에 비로소 정각을 이루었다. 깨달음에는 본각(本覺)이 있고 시각(始覺)이 ..
1, 시성정각(始成正覺) 2 一時에 佛이 在摩竭提國阿蘭若法菩提場中하시니라 어느 날 부처님께서 마갈제국(摩竭提國) 아란야(阿蘭若) 법(法) 보리도량(菩提道場)에 계실 때였습니다. 강설 ; 부처님이 정각을 이루신 시간과 장소를 밝혔다. 이로서 하나의 경전이 성립되는데 반드시 필요한 ..
1, 시성정각(始成正覺) 1 如是我聞하니라 이와 같은 사실을 저가 들었습니다. 강설 ; 불교의 모든 경전은 언제 누구에 의해서 결집된 경전이든 그것은 모두 부처님이나 보살들이 설법한 것을 아난존자가 듣고 결집하고 편찬한 것으로 약속되어 있다. 화엄경도 역시 아난존자가 들은 대로 ..
一, 세주묘엄품(世主妙嚴品) 1 세주묘엄품이란 이 세상의 주인들이 이 세상을 아름답게 장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는 품목이다. 그런데 세상은 무엇이고 세상의 주인은 또 무엇인가? 그리고 아름답게 장엄하였다는 것은 또 무슨 뜻인가? 선게(禪偈)에 구류동거일법계 자라장리살진주(九類..
大方廣佛華嚴經 卷 第一 序分 毘盧遮那의 成佛 擧果勸樂生信分 제1회 6품 설법 화엄경은 일곱 곳이나 되는 장소를 옮겨가면서 아홉 번이나 법회가 열린 법문의 기록이다. 그것을 흔히 7처(處) 9회(會)의 법문이라고 한다. 제1회에는 보리도량에서 여섯 품이 설해졌다. 그 법회의 회주는 보..
실차난타(實叉難陀) 한역(漢譯) 불교의 모든 경전은 처음에 인도의 문자인 산스크리트어나 빨리어로 기록되어 있었다. 불교가 중국으로 들어오면서 경전도 함께 들어와서 중국 사람들이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모든 경전을 중국어로 번역하게 되었는데 우리가 공부하려는 80권 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