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뚜기령에서 한북정맥과 명지지맥의 갈림길 귀목봉 상판리 버스정류장 뒤돌아 보는 명지3봉 2011년 12월 21일 명지지맥을 시작합니다 동서울 터미널에서 7시 30분발 다목리행 버스를 타고 일동(6100원)에서 하차하여 택시를 타고 무리울 삼거리까지(5000원) 갑니다 이곳에서 오뚜기령..
평소에 사용하셨던 주장자가 위패 앞에 놓여져 있다 분향하시는 前 조계종 종정 법전 대종사 사부대중이 함께 금강경 독송 금강경 독송 중에 오신 조계종 종정 진제 대종사
지관대종사의 은손상좌 현응스님 영결식장에서 인사 나누시는 어른스님 성철 큰스님 20여년 시봉하신 원택스님 다비식에 참석한 한국불교대학 大관음사 서래(영국)스님 천 명의 인재불사 원을 세우신 백무학스님과 동자승들 '요럴 때 한번 본 것은 평생 잊어버리지 않제' 백무학 ..
생전 큰스님의 유훈에 따라 화환이이나 장엄물 하나 없이 해인사 구광루 앞에서 소탈하고 엄숙한 분위기로 명종 5타를 시작으로 영결식이 봉행되었다. 산문 입구부터 영결식을 알리는 흰색 현수막이 걸려 있다 불교신문에서 호 외로 발간한 추모특집 신문이 영결식장 입구에 놓여..
큰스님의 뜻에 어긋나지 않게 정명스님(연화세계 주지)께서 연꽃 같은 마음으로 최대한 소탈하게 연잎 20장으로 장엄한 연화대에 나무아미타불 염송으로 다비가 진행되었다. 사부대중 다함께 佛 法 僧 스님 불 들어갑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금관문화훈장은 문화, 예술 발전에 공을 세워 국민의 문화 향상과 국가 발전에 기여한 공적이 뚜렷한 자에게 수여하는 훈장으로 5등급 중 1등급 훈장이다.
거인산악회 (제4기) 정간.정맥.종주대.낙남정간 일정표 아래 일정표 와 같이 (총 14-15 구간) 예정으로 진행합니다 구 간 코 스 거 리 시 간 비 고 1 매리-나밭고개 16.6km 8:30 신어산 2 나밭고개-냉정고개 18.6km 8:00 쇠금산 3 냉정고개-소목고개 16km 8:00 대암산 4 소목고개-마재고개 20km 8:40 ..
망천고개(낙원고개), (모든 사진 누르면 확대됩니다) 쇠금산 황새봉정상 338m봉(불티재를 지난 봉우리) 낙원공원묘지 〈앞에 멀리 우측에 보이는 봉우리가 덕암공동묘지 가기전의 쇠금산(금음산)〉 김해수련원이 있는 나밭고개(나전고개)에서 시작하여 3개의 공원묘지와 쇠금산 그..
○청북정맥은 청천강의 북쪽 울타리이며 압록강의 남쪽 울타리입니다. 고려 때 축성한 천리장성이 주능선입니다. ○청남정맥은 청천강의 남쪽 울타리이며 대동강의 북쪽 울타리입니다. 우리들이 익히 알고 있는 묘향산 낭림산이 여기에 속합니다. ○해서정맥은 지명 이름을 따..
-----------1 한북 명성 지맥 2 한북 화악 지맥 종주 지도 자료집 .................................................... 명지 지맥 한북정맥 894.2m의 청계산과 830.2m 강씨봉 사이 840봉 한북정맥과 명지지맥 갈림 능선에서 시작하여 귀목봉을 거쳐 경기도에서 두번째로 높은 명지산을 지나 연인산. 우..
지맥이란? 산은 물을 못건너고 물은 산을못넘는다는이론아래 산줄기을 구분한것으로 100km이상이면 정맥또는 기맥으라표현하고,100km미만이면 이를 그산줄기의 이름있는산명을붙여 화악지맥.명지지맥.천마지맥.명성지맥.소요지맥.감악지맥 도봉지맥.수락지맥등을 한북정맥은 거..
giant29 산경표(대간 족보) 『산경표』는 백두대간을 줄기로 1정간과 13정맥을 가지로 하는 계통수를 족보 형식으로 알기 쉽게 만들어 놓은 책입니다. 얼마 되지 않은 분량의 책에 이 땅을 바라보고 이해한 조상들의 지리관이 고스란히 녹아 있습니다. 족보를 보아 한 집안의 내력을 ..
giant29 정간과 12정맥들 장백정간(長白正幹) 북쪽으로 두만강, 남쪽으로 어랑천·수성천의 분수령이다. 백두대간의 원산 설령봉에서 일어나 만탑봉(2,205m), 괘상봉(2,136m), 궤상봉(2,541m), 관모봉(2,541m), 도정산(2,201m)을 지나 함경북도 내륙을 서북향으로 관통하는 산줄기이다. 도정산 ..
giant29 조선시대 4대지도의 백두대간(지형표현) 비교 지도 상의 해안선을 제외한 굵은 선은 산경(산줄기)를 나타내고, 그 사이의 가는 선은 강이나 하천의 흐름을 나타낸다. 백두대간의 모습은 초기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서는 전체적인 윤곽만을 이해할 수 있으나 시간..
document.domain="daum.net"; var str=""; str+=""; str+=""; document.write(str); 산경표」에는 1대간(백두대간) 1정간(장백정간) 13정맥의 산줄기 이음이 있다. 13정맥은 청천강을 기준으로 한 청북정맥과 청남정맥, 한강을 에워싸는 한남과 한북정맥, 금강을 두른 금남과 금북정맥, 낙동강 좌우의 낙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