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크랩] 한남금북정맥 6구간 산성고개~분젓치
    한북정맥(완주)/한남금북정맥(완주) 2012. 11. 9. 14:17

     

     

    상당산성 남암문에서 (모든 사진 누르면 확대됩니다) 

     

    상당산성 서문

     

    상당산(491.5m)

     

    구녀성 표지석

     

    가을 의; 단풍

     

    구녀산

     

    단풍

     

    475m 소나무봉을 지나서

     

    상당산성에서 바라 보는 청주시

     

     

     

    2012 10월 28일 일요일

    오늘은 산성고개 출렁다리에서 상당산성의 예쁜 성곽길을 따라 상당산 정상(491.5)m에 오르고

    동암문을 나가 이티재를 지나고 구녀산을 넘어 분젓치까지 짧은 구간을 하게됩니다

    날씨도 가을 날씨답게 청명하고 맑습니다

    소풍나온 기분으로 산행을 마친 하루였습니다

     

     

     

    산행지 :  산성고개~남암문~서문(미호문)~△상당산(491.5m, 미원 24)~430m봉~475m(소나무봉)

                  ~△475m~500(인경산 갈림길)~430m봉~새터고개(임도, 오래된 느티나무)~395m봉

                  ~△486.8m(이티봉)~이티재~구녀산~457m봉~분젓치(좌구정) 

     

     

    산행일 : 2012, 10, 28 일요일

     

     

    산행시간 : 5시간 36분(점심, 휴식포함)

     

     

    산행한 사람 : 김동혁, 거인산악회

     

     

    지도(누르면 확대됩니다)

    진혁진님의 산행정보에서

     

     

     

     

     

             % 산행정리 %

    09:52  산성고개 출발

              산성고개 출렁다리를 지납니다

    09:57  좌측으로 통신시설이 있는곳

    10:06  이정표  → 것대산 2.7 km, ← 산성서문 1.2 km, ← 산성남문 0.6 km

    10:08~10:11  산성 남암문

              남암문 안으로 들어가 좌측으로 성벽위를 따라 갑니다

              좌측으로 청주시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상당산성에는 두개의 비밀문(암문)이 있는데, 그 하나는 앞에 보이는 남암문이고,

              또다른 하나는 동북암문(동암문)입니다, 한남금북 정맥길은 남암문을 통해 산성으로

              들어가서 동암문을 통해 산성을 빠져 나갑니다

             

              남문주위에 있는 치성(雉城) 3개중 정맥길옆 치성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합니다

     

    10:21  산불감시 초소         

    10:25  산성 서문(미호문)

              성루 옆을 지나 갑니다

    10:42  이정표  상당산 정상 20m 전

    10:44  상당산(491.5m)

              정상석과 삼각점(미원 24)이 있으며,

              좌측으로 가면 진행하여 오던 성곽길, 우측으로 가면 마을로 내려 가는길이고,

              직진하여 내려갑니다

             

    상당산성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山城洞)에 구축된 조선시대의 산성.

    사적 제212호. 상당산성이 처음 축성된 것은 백제시대 때 토성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상당산성이라는 이름은 백제의 상당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고,

    통일신라 때 행정구역인 서원소경이 청주에 설치되는데

    이때 김유신의 셋째 아들 김서현(원정공)이 서원술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전하기도 한다.  

    이후 조선시대 선조 29년 임진왜란 당시 개축되었다가 숙종 때 석성으로 개축하였다.

    산성의 면적은 2.6ha, 성 둘레 4,400m이며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석재로 수직에 가까운 성벽을 구축하고

    그 안쪽은 토사로 쌓아올리는 내탁공법(內托工法)으로 축조하였으며 높이는 4.7m이다.
    동·서·남방 3개소에 성문을 두었는데, 남문은 무사석(武砂石)으로 홍예문을 만들고

    그 위에 목조 문루(門樓)를 세웠다. 지금은 석축 부분만 남아 있고, 성문의 높이는 3.5m, 너비는 4.2m이다.

    동문과 서문도 역시 문루가 있었으며 성문은 무사석으로 네모지게 축조하였는데 높이 2.7m, 너비 2.8m이다.

    동문과 남문 부근에 1개소씩의 암문(暗門)이 있고 동남방에 수구(水口)가 있었으나

    지금은 여기에 저수지가 만들어져 있다.

    성내에는 동장대(東將臺)와 서장대(西將臺)의 터가 남아 있다.

    1996년 현재 이 성내에는 50여 가구가 살고 있다.  

     읍지(邑誌)에 따르면 이 산성은 1716년(숙종 42) 고지(古址)에 의거하여 석축으로 개수하였다고 하며,

    남문 등의 성문·성벽에 당시의 공사관계자들의 이름과 관직명 등이 새겨져 있다.

    남문의 문루는 1977년 복원되었다.

     

    10:47  성곽길

              상당산 정상에서 직진하여 내려오면 좌측에서 오는 성곽길을 만나고

              20m정도 앞에 우측으로 동암문이 있습니다

    10:48  동암문을 빠져 나가면 발 아래로 이정표  ← 이티재, 구녀성, → 상당산성

              구녀성 방향으로 갑니다

    11:00  430m봉

              이정표 119, 03  ↖ 상당산 자연휴양림, 덕암리, → 이티재, 구녀성

              우측으로 90도 꺽어집니다

    11:02  *** 주의 *** 좌측으로 90도 꺽어집니다

    11:04  돌탑이 있는 옛고개

              우측 아래가 탑산리입니다

    11:16  자작나무 숲을 지나갑니다

    11:20  415m봉

              이정표 119, 05

              우측으로 꺽어집니다

    11:50  소나무가 있는 475m봉

              이정표 119, 07

    11:55  우측으로 나무가 벌목된곳

    12:16  475m봉

              삼각점이 있고, 이정표  119, 08

     

    12:20  500m봉(인경산 분기봉)

              좌측으로 우회 하지만 우리는 올랐다가 갑니다

    12:31  430m봉

    12:36~13:16  점심, 휴식

              430m봉을 지나 우측 아래 묘지 옆에서 점심

    13:22  새터고개

              우측의 미원면 대신리에서 좌측의 내수읍 저곡리로 넘어가는 99임도가 지나는 새터고개에는

              오래된 느티나무가 있고 뒤에는 세월의 무게 때문인지 구멍이 크게 뚤려있습니다         

              그 뒤에 우측으로 납골묘(숭조당)가 있고 좌측으로 오릅니다

    13:30  395m봉

              우측으로 갑니다

    13:43  폐 군용초소

               이정표  119, 08 이 있고 이티봉(486.8m) 전봉입니다 

    13:46  486.8m봉

              작은 헬기장이고 직진 방향으로 조금 떨어진곳에 삼각점(미원 410)이 있습니다 

          

    14:03~14:07  이티재

              511번 도로가 지나는 재이며 고개를 넘는데 이틀이 걸려

              "이틀재"로 불리다 이티재로 변했답니다

              이티재에서 좌측으로 자동차로 5분정도 가면 초정약수로 유명한 초정온천입니다

              길을 건너 좌측으로 식당이 있고 우측으로 폐 휴계소가 있는데

              휴계소 우측에 있는 이티봉 약수는 나오지 않고 구녀성 표지석만 있습니다

              휴계소 좌측으로 지나 갑니다

    14:14  이정표 구녀성 가는길과 청원 구라산성 안내판이 있는곳

    14:34~14:44  구녀산 전 운동시설과 정자가 있는곳

    14:48~14:50  구녀산(484m)

    15:01  475m봉

              이정표  ↑ 초정고개 2.8 km, ← 구녀산 0.7 km, → 좌구정 1. 4km

              우측 좌구정 방향으로 갑니다

    15:26  삼기저수지 갈림길

              이정표 상에 좌구정 320m 남았다는 표지가 있습니다

    15:28  분젓치

              좌구정 정자가 있고 정자에 오르면 삼기저수지와 남차리가 보입니다

     

     

     

    09:52  산성고개 출발

              산성고개 출렁다리를 지납니다

     

     

     

     

    09:57  좌측으로 통신시설이 있는곳

     

     

    좌측으로 보이는 청주박물관, 동물원, 청주랜드가 있는 우암산

     

    10:06  이정표  → 것대산 2.7 km, ← 산성서문 1.2 km, ← 산성남문 0.6 km

     

    10:08~10:11  산성 남암문

              남암문 안으로 들어가 좌측으로 성벽위를 따라 갑니다

              좌측으로 청주시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상당산성에는 두개의 비밀문(암문)이 있는데, 그 하나는 앞에 보이는 남암문이고,

              또다른 하나는 동북암문(동암문)입니다, 한남금북 정맥길은 남암문을 통해 산성으로

              들어가서 동암문을 통해 산성을 빠져 나갑니다

     

    남문주위에 있는 치성(雉城)중 정맥길옆 치성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합니다

     

     

     

     

     

     

     

     

     

    우암산과 청주시

     

     

     

     

     

     

     

     

     

    10:21  산불감시 초소

     

    10:25  산성 서문(미호문)

              성루 옆을 지나 갑니다

     

     

     

     

     

    성곽길을 따라 가다 앞에 보이는 상당산 정산 전에 우측 산길로 들어갑니다

     

    10:42  이정표  상당산 정상 20m 전

     

     

    10:44  상당산(491.5m)

              정상석과 삼각점(미원 24)이 있으며,

              좌측으로 가면 진행하여 오던 성곽길, 우측으로 가면 마을로 내려 가는길이고,

              직진하여 내려갑니다

             

    상당산성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山城洞)에 구축된 조선시대의 산성.

    사적 제212호. 상당산성이 처음 축성된 것은 백제시대 때 토성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상당산성이라는 이름은 백제의 상당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고,

    통일신라 때 행정구역인 서원소경이 청주에 설치되는데

    이때 김유신의 셋째 아들 김서현(원정공)이 서원술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전하기도 한다.  

    이후 조선시대 선조 29년 임진왜란 당시 개축되었다가 숙종 때 석성으로 개축하였다.

    산성의 면적은 2.6ha, 성 둘레 4,400m이며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석재로 수직에 가까운 성벽을 구축하고

    그 안쪽은 토사로 쌓아올리는 내탁공법(內托工法)으로 축조하였으며 높이는 4.7m이다.
    동·서·남방 3개소에 성문을 두었는데, 남문은 무사석(武砂石)으로 홍예문을 만들고

    그 위에 목조 문루(門樓)를 세웠다. 지금은 석축 부분만 남아 있고, 성문의 높이는 3.5m, 너비는 4.2m이다.

    동문과 서문도 역시 문루가 있었으며 성문은 무사석으로 네모지게 축조하였는데 높이 2.7m, 너비 2.8m이다.

    동문과 남문 부근에 1개소씩의 암문(暗門)이 있고 동남방에 수구(水口)가 있었으나

    지금은 여기에 저수지가 만들어져 있다.

    성내에는 동장대(東將臺)와 서장대(西將臺)의 터가 남아 있다.

    1996년 현재 이 성내에는 50여 가구가 살고 있다.  

     읍지(邑誌)에 따르면 이 산성은 1716년(숙종 42) 고지(古址)에 의거하여 석축으로 개수하였다고 하며,

    남문 등의 성문·성벽에 당시의 공사관계자들의 이름과 관직명 등이 새겨져 있다.

    남문의 문루는 1977년 복원되었다.

     

     

     

     

    10:47  성곽길

              상당산 정상에서 직진하여 내려오면 좌측에서 오는 성곽길을 만나고

              20m정도 앞에 우측으로 동암문이 있습니다

     

    10:48  동암문을 빠져 나가면 발 아래로 이정표  ← 이티재, 구녀성, → 상당산성

              구녀성 방향으로 갑니다

     

     

     

     

    작은 봉우리를 넘어 우측으로 갑니다

     

     

     

    11:00  430m봉

              이정표 119, 03  ↖ 상당산 자연휴양림, 덕암리, → 이티재, 구녀성

              우측으로 90도 꺽어집니다

     

     

    11:02  *** 주의 *** 좌측으로 90도 꺽어집니다

     

    *** 주의 ***  이티재까지 5시간이 걸린다고 되어 있는데 2시간 20분 걸렸습니다

     

    11:04  돌탑이 있는 옛고개

              우측 아래가 탑산리입니다

     

     

     

    11:16  자작나무 숲을 지나갑니다

     

    11:20  415m봉

              이정표 119, 05

              우측으로 꺽어집니다

     

     

    11:37  우측으로 90도 꺽어지는 능선 갈림길

     

     

    11:50  소나무가 있는 475m봉

              이정표 119, 07

     

     

     

    11:55  우측으로 나무가 벌목된곳

     

     

     

    12:16  475m봉

              삼각점이 있고, 이정표  119, 08

     

     

     

    12:20  500m봉(인경산 분기봉)

              좌측으로 우회 하지만 우리는 올랐다가 갑니다

     

    12:31  430m봉

     

    12:36~13:16  점심, 휴식

              430m봉을 지나 우측 아래 묘지 옆에서 점심

     

    아래로 보이는 새터고개

     

    13:22  새터고개

              우측의 미원면 대신리에서 좌측의 내수읍 저곡리로 넘어가는 99임도가 지나는 새터고개에는

              오래된 느티나무가 있고 뒤에는 세월의 무게 때문인지 구멍이 크게 뚤려있습니다         

              그 뒤에 우측으로 납골묘(숭조당)가 있고 좌측으로 오릅니다

     

     

     

     

     

     

    13:25  납골묘(숭조당) 좌측으로 오릅니다

     

     

    13:30  395m봉

              우측으로 갑니다

     

     

    13:43  폐 군용초소

               이정표  119, 08 이 있고 이티봉(486.8m) 전봉입니다 

     

    13:46  486.8m봉

              작은 헬기장이고 직진 방향으로 조금 떨어진곳에 삼각점(미원 410)이 있습니다 

     

     

     

     

    14:03~14:07  이티재

              511번 도로가 지나는 재이며 고개를 넘는데 이틀이 걸려

              "이틀재"로 불리다 이티재로 변했답니다

              이티재에서 좌측으로 자동차로 5분정도 가면 초정약수로 유명한 초정온천입니다

              길을 건너 좌측으로 식당이 있고 우측으로 폐 휴계소가 있는데

              휴계소 우측에 있는 이티봉 약수는 나오지 않고 구녀성 표지석만 있습니다

              휴계소 좌측으로 지나 갑니다

     

     

    휴계소 우측에 있는 약수터

     

     

    도로 우측에 있는 구녀성 표지석

     

     

     

     

     

     

     

     

    14:14  이정표 구녀성 가는길과 청원 구라산성 안내판이 있는곳

     

     

     

     

     

     

    구녀성의 돌무더기 잔해

     

    14:34~14:44  구녀산 전 운동시설과 정자가 있는곳

     

     

     

    14:48~14:50  구녀산(484m)

     

     

     

    15:01  475m봉

              이정표  ↑ 초정고개 2.8 km, ← 구녀산 0.7 km, → 좌구정 1. 4km

              우측 좌구정 방향으로 갑니다

     

     

     

     

     

     

     

     

    15:26  삼기저수지 갈림길

              이정표 상에 좌구정 320m 남았다는 표지가 있습니다

     

     

    15:28  분젓치

              좌구정 정자가 있고 정자에 오르면 삼기저수지와 남차리가 보입니다

     

     

     

     

     

     

     

     

     

     

     

     

    함께 산행 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출처 : 김 동혁의 산행일지
    글쓴이 : 김동혁 원글보기
    메모 : 그래도 단풍은 멋있네요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