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한남금북정맥 5구간 추정재~산성고개한북정맥(완주)/한남금북정맥(완주) 2012. 10. 22. 11:29
추정재 (모든 사진 누르면 확대됩니다)
선두산
선도산
현암리 수레너미 마을
도연명의 의만가사
것대산 봉수대
산성고개 출렁다리
산정말 고개로 가면서
2012 10월 14일 일요일
오늘은 추정재에서 선두산과 선도산을 지나 것대산에서 청주시내를 구경하고
산성고개에서 마감을 합니다 약 6시간 30분이면 충분하지만 현암묵밥집에서
시간을 보냈기에 7시간 30분이 걸렸습니다
가을 날씨라 산행하기에는 좋았지만 머리가 아파 힘든 하루였습니다
산행지 : 추정재(32번국도)~ 395m봉~410m봉~432m봉~△483.1m봉(미원 436)~산정말고개
~420m봉~485m봉~485m봉(백족산 갈림길)~임도~525m봉~선두산(527m, 미원 311)
~안건이고개~441m봉~525m봉~△선도산(527m)~512번 도로~송전탑
~수레너미 고개~목련공원~△403.6m봉~것대산(436m)~것대산 봉수지(433m)
~상봉재~산성고개
산행일 : 2012, 10, 14 일요일
산행시간 : 7시간 30분(점심, 휴식포함)
산행한 사람 : 김동혁, 거인산악회
지도(누르면 확대됩니다)
진혁진님의 산행정보에서
% 산행정리 %
09:46 추정재 출발
미원 석물과 SK 주유소 사이길로 들어가 구도로에서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09:49 도로 좌측의 변압기 있는곳을 지나고 볼록거울 있는곳에서 우측 머구미마을 로 진행합니다
머구미
묵정은 우물빛이 먹물처럼 검게 보였다는 전설이 있으며 머그미, 먹우물이라고도 한다.
장자불 위에는 장수굴이 있는데, 옛날 장수가 나온다는 전설이 있어
이를 막기 위해 중국 장수가 혈을 판 구덩이라고 합니다.
09:51 마을 끝에서 동물들 내려 오지 못하게 쳐놓은 울타리문을 살짝 열고 들어갑니다
마지막에 들어 갈 사람이 닫고 가야겠지요
10:01 395m봉을 좌측으로 우회합니다
10:11 410m봉을 지나갑니다
10:24 432m봉
10:32 483.1m봉
삼각점(미원 436)이 있고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10:40 좌측으로는 벌목이 되어 있고 산정말 고개로 이어지는 임도가 보입니다
10:48 납골묘
납골묘 우측으로 임도를 넘어가면 임도 삼거리인 산정말 고개입니다
10:50 산정말 고개
좌측의 추정리 산정말과 우측의 낭성면 호정리를 있는 고개이며
길을 건너 산으로 오릅니다
11:00 산정말 고개에서 오른 첫번째 봉우리
우측으로 내려가다 좌측으로 휘어져 오릅니다
11:03 420m봉
11:07 옛고개
11:11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11:20 485m봉
임도를 따르다 좌측으로 오르면 485m봉입니다
조금 진행하다 보면 좌측으로 백족산이 보입니다
백족산/白足山
충청북도 청원군 가덕면 상야리에 있는 산. 높이는 413m 이다.
조선조 세조대왕이 속리산을 행차하다 이곳을 지나게 되어
산 중턱에 있는 백족사 샘물에 발을 씻었는데 발이 희었으므로
이름을 백족산이라 했다 합니다
11:24 백족산 갈림봉
두번째 485m봉입니다 우측으로 갑니다
11:27~11:35 산정봉(갈림길)
산정봉이라 쓰여 있고 잠시 휴식을 취하고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11:45 임도
선두산으로 오름길이 시작됩니다
이정표 ← 한계리, ↑ 선두산, → 낭성
12:02 525m봉
선두산 전위봉 우측으로 갑니다
12:05~12:07 선두산(527m)
삼각점(미원 311)이 있고, 선두산 표지판이 있습니다
12:08~12:41 삼거리, 점심
*** 주의 *** 선두산 지나 내리막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내려 갑니다
12:51 안건이 고개
작은 돌탑이 있는 안건이 고개입니다
12:56 441m봉
13:27 525m봉, 미테재,성무봉 갈림길
이정표 ↙ 선두산, ↖ 미테재. 성무봉, ↗ 선도산
우측으로 선도산을 향해 갑니다
13:42~13:47 선도산(547m)
정상에는 선도산 표지석과 통신시설물 이정표가 있습니다
이정표 → 것대산 4.7 km, ↓ 월오동 미테재 4.1km
우측 것대산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14:04 500m봉
묘지가 있고 우측으로 갑니다
14:07 이정표 ↑ 현암리 1.1 km, ↓ 선도산 1.2 km
14:12 442m봉을 우측으로 보며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14:17 우측으로 과수원을 보며 지나갑니다
14:20 선도산 표지판
선도산 표지판 있는곳에서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14:22~15:05 512번 도로, 현암묵집에서 휴식
원 마루금은 현암묵집 좌측으로 올라 송전탑을 지나 수레너미 고개로 가지만
묵집 좌측이 막혀 있어 512번 도로를 따라 현암삼거리를 지나갑니다
15:08 현암삼거리
단재 신채호선생의 사당이 우측 11km라는 이정표가 있습니다
단재 신채호선생은 이지역 낭성면 귀래리 출신으로
한말 역사가요 언론인이며 독립운동가입니다
청주. 상당산성 방향으로 직진합니다
15:11 우측 도로에서 철탑 방향으로 오릅니다
15:14 묘지
15:17 NO.36번 철탑
좌측으로 꺽어 내려 갑니다
15:21 수레너미 고개
도로를 건너 우측으로 조금 가다 좌측으로 들어갑니다
15:27 은행장 묘지
은행장을 지낸 이규식씨의 묘비 뒤에는 도연명의 만가가 새겨져 있었습니다
도연명이 63세로 마감하기 2달전에 자기의 죽음을 가상하여 지었다는
도연명(陶潛)의 擬挽歌辭(의만가사, 죽은 이를 위하여 부르는 노래)
*挽歌(만가)는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뜻을 담은 노래로서,
'의만가사(擬挽歌辭)'는 도연명이 자기의 죽음을 가상하고 지은 노래입니다.
有生必有死(유생필유사) 삶이 있으면 반드시 죽음도 있는 법
早終非命促(조종비명촉) 일찍 죽는다고 명 짧다고 할 수 없다
昨慕同爲人(작모동위인) 어제 저녁에는 다 같이 사람이다가
今旦在鬼錄(금단재귀록) 오늘 아침 귀신 명단에 내 이름 올라있네
魂氣散何之(혼기산하지) 혼은 흩어져 어디로 가고
枯形寄空木(고형기공목) 마른 몸뚱이만 빈 관에 누어있는가?
嬌兒索父啼(교아삭부제) 아이는 아비 찾아 울고
良友撫我哭(양우무아곡) 친구들은 나를 잡고 곡하는구나.
得失不復知(득실불복지) 이해득실을 다시는 알지 못하고
是非安能覺(시비안능각) 시시비비인들 어찌 깨달을 수 있겠는가.
千秋萬歲後(천추만세후) 천 년 만 년 지난 후
誰知榮與辱(수지영여욕) 그 누가 영화와 치욕을 알리오.
但恨在世時(단한재세시) 다만 살아생전 한스러운 한 가지는
飮酒不得足(음주불득족) 술 흡족하게 마시지 못했음이로다.15:36 목련공원 묘지
좌측으로 목련공원 묘지를 보며 지납니다
15:38 403.6m봉
삼각점(미원 443)이 있습니다
15:50 토옥고개(일차선 도로)
이정표 ↓ 선도산 3.5 km, ↑ 것대산(봉수대) 1.2 km
도로를 건너 오릅니다
16:06 것대산(485m)
정상은 정자가 있고 페러글라이딩 활공장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측 상봉재 방향으로 갑니다
16:11 것대산 봉수대(433m)
봉수대에서 내려서 우측길을 따라 내려갑니다
16:22 상봉재(386m)
이정표 ← 옹달샘 0.1km, ↑ 산성 1.1 km, ↓ 낙가산 2.4 km
16:24 추모비와 이정표
추모비 좌측으로 진행하지 않고 상당산성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16:33 통나무 의자가 놓여 있는곳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16:36 산성고개
출렁다리가 있고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09:45 추정재 출발
미원 석물과 SK 주유소 사이길로 들어가 구도로에서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사진은 주유소앞에 있는 표지판입니다)
09:49 도로 좌측의 변압기 있는곳을 지나고 볼록거울 있는곳에서 우측 머구미마을 로 진행합니다
머구미
묵정은 우물빛이 먹물처럼 검게 보였다는 전설이 있으며 머그미, 먹우물이라고도 한다.
장자불 위에는 장수굴이 있는데, 옛날 장수가 나온다는 전설이 있어
이를 막기 위해 중국 장수가 혈을 판 구덩이라고 합니다.
09:51 마을 끝에서 동물들 내려 오지 못하게 쳐놓은 울타리문을 살짝 열고 들어갑니다
마지막에 들어 갈 사람이 닫고 가야겠지요
10:01 395m봉을 좌측으로 우회합니다
10:11 410m봉을 지나갑니다
10:24 432m봉
10:32 483.1m봉
삼각점(미원 436)이 있고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10:40 좌측으로는 벌목이 되어 있고 산정말 고개로 이어지는 임도가 보입니다
10:48 납골묘
납골묘 우측으로 임도를 넘어가면 임도 삼거리인 산정말 고개입니다
10:50 산정말 고개
좌측의 추정리 산정말과 우측의 낭성면 호정리를 있는 고개이며
길을 건너 산으로 오릅니다
11:00 산정말 고개에서 오른 첫번째 봉우리
우측으로 내려가다 좌측으로 휘어져 오릅니다
11:03 420m봉
11:07 옛고개
11:20 485m봉
임도를 따르다 좌측으로 오르면 485m봉입니다
조금 진행하다 보면 좌측으로 백족산이 보입니다
좌측으로 보이는 백족산
백족산/白足山
충청북도 청원군 가덕면 상야리에 있는 산. 높이는 413m 이다.
조선조 세조대왕이 속리산을 행차하다 이곳을 지나게 되어
산 중턱에 있는 백족사 샘물에 발을 씻었는데 발이 희었으므로
이름을 백족산이라 했다 합니다
11:24 백족산 갈림봉
두번째 485m봉입니다 우측으로 갑니다
11:27~11:35 산정봉(갈림길)
산정봉이라 쓰여 있고 잠시 휴식을 취하고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11:45 임도
이정표 ← 한계리, ↑ 선두산, → 낭성
선두산으로 오름길이 시작됩니다
12:02 525m봉
선두산 전위봉 우측으로 갑니다
12:05~12:07 선두산(527m)
삼각점(미원 311)이 있고, 선두산 표지판이 있습니다
12:08~12:41 삼거리, 점심
*** 주의 *** 선두산 지나 내리막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내려 갑니다
12:51 안건이 고개
작은 돌탑이 있는 안건이 고개입니다
12:56 441m봉
13:27 525m봉, 미테재,성무봉 갈림길
이정표 ↙ 선두산, ↖ 미테재. 성무봉, ↗ 선도산
우측으로 선도산을 향해 갑니다
13:42~13:47 선도산(547m)
정상에는 선도산 표지석과 통신시설물 이정표가 있습니다
이정표 → 것대산 4.7 km, ↓ 월오동 미테재 4.1km
우측 것대산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14:04 500m봉
묘지가 있고 우측으로 갑니다
14:07 이정표 ↑ 현암리 1.1 km, ↓ 선도산 1.2 km
14:12 442m봉을 우측으로 보며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14:17 우측으로 과수원을 보며 지나갑니다
14:20 선도산 표지판
선도산 표지판 있는곳에서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현암리 수레너미 마을
14:22~15:05 512번 도로, 현암묵집에서 휴식
원 마루금은 현암묵집 좌측으로 올라 송전탑을 지나 수레너미 고개로 가지만
묵집 좌측이 막혀 있어 512번 도로를 따라 현암삼거리를 지나갑니다
15:08 현암삼거리
단재 신채호선생의 사당이 우측 11km라는 이정표가 있습니다
단재 신채호선생은 이지역 낭성면 귀래리 출신으로
한말 역사가요 언론인이며 독립운동가입니다
청주. 상당산성 방향으로 직진합니다
15:11 우측 도로에서 철탑 방향으로 오릅니다
15:14 묘지
15:17 NO.36번 철탑
좌측으로 꺽어 내려 갑니다
15:21 수레너미 고개
도로를 건너 우측으로 조금 가다 좌측으로 들어갑니다
15:27 은행장 묘지
은행장을 지낸 이규식씨의 묘비 뒤에는 도연명의 만가가 새겨져 있었습니다
도연명이 63세로 마감하기 2달전에 자기의 죽음을 가상하여 지었다는
도연명(陶潛)의 擬挽歌辭(의만가사, 죽은 이를 위하여 부르는 노래)
*挽歌(만가)는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뜻을 담은 노래로서,
'의만가사(擬挽歌辭)'는 도연명이 자기의 죽음을 가상하고 지은 노래입니다.
有生必有死(유생필유사) 삶이 있으면 반드시 죽음도 있는 법
早終非命促(조종비명촉) 일찍 죽는다고 명 짧다고 할 수 없다
昨慕同爲人(작모동위인) 어제 저녁에는 다 같이 사람이다가
今旦在鬼錄(금단재귀록) 오늘 아침 귀신 명단에 내 이름 올라있네
魂氣散何之(혼기산하지) 혼은 흩어져 어디로 가고
枯形寄空木(고형기공목) 마른 몸뚱이만 빈 관에 누어있는가?
嬌兒索父啼(교아삭부제) 아이는 아비 찾아 울고
良友撫我哭(양우무아곡) 친구들은 나를 잡고 곡하는구나.
得失不復知(득실불복지) 이해득실을 다시는 알지 못하고
是非安能覺(시비안능각) 시시비비인들 어찌 깨달을 수 있겠는가.
千秋萬歲後(천추만세후) 천 년 만 년 지난 후
誰知榮與辱(수지영여욕) 그 누가 영화와 치욕을 알리오.
但恨在世時(단한재세시) 다만 살아생전 한스러운 한 가지는
飮酒不得足(음주불득족) 술 흡족하게 마시지 못했음이로다.15:36 목련공원 묘지
좌측으로 목련공원 묘지를 보며 지납니다
우측으로 보이는 현암리
때아닌 진달래(가을을 잊은 봄꽃)
15:38 403.6m봉
삼각점(미원 443)이 있습니다
15:50 토옥고개(일차선 도로)
이정표 ↓ 선도산 3.5 km, ↑ 것대산(봉수대) 1.2 km
도로를 건너 오릅니다
뒤 돌아 본 선도산
도로를 오르면 보이는 통신시설
16:06 것대산(485m)
정상은 정자가 있고 페러글라이딩 활공장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측 상봉재 방향으로 갑니다
16:11 것대산 봉수대(433m)
봉수대에서 내려서 우측길을 따라 내려갑니다
16:22 상봉재(386m)
이정표 ← 옹달샘 0.1km, ↑ 산성 1.1 km, ↓ 낙가산 2.4 km
16:22 상봉재(386m)
이정표 ← 옹달샘 0.1km, ↑ 산성 1.1 km, ↓ 낙가산 2.4 km
16:33 통나무 의자가 놓여 있는곳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16:36 산성고개
출렁다리가 있고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함께 산행 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출처 : 김 동혁의 산행일지글쓴이 : 김동혁 원글보기메모 :'한북정맥(완주) > 한남금북정맥(완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남금북정맥 8구간 모래재~행치고개 (0) 2012.12.03 [스크랩] 한남금북정맥 6구간 산성고개~분젓치 (0) 2012.11.09 [스크랩] 한남금북정맥 4구간 추정재~벼재고개(바깥 대안리고개) (0) 2012.09.26 [스크랩] 한남금북정맥 3구간 구티재~벼재고개(바깥 대안리고개) (0) 2012.09.26 [스크랩] 한남 금북정맥 2구간 갈목재~구티재 (0) 2012.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