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한남금북정맥 7구간 모래재~분젓치한북정맥(완주)/한남금북정맥(완주) 2012. 12. 3. 17:04
모래재 (모든 사진 누르면 확대됩니다)
596.5m봉
칠보산
괴산군 종자 보급소(연구소)
새작골산
좌구산
돌탑봉
겨을의 문턱에서
좌구산 천문대
모래재에서 다음 구간 들머리
칠보치를 지나서 뒤돌아 본 모습
2012 10월 28일 일요일
오늘은 자난번과 반대로 모래재에서 분젓치까지 역으로 진행하기에
오르막을 길게 올라야 하고 산행 시작부터 비가 오고 바람도 세게 불어
쉽지 않은 산행이었습니다
한동안 병원에 있다 산행을 하기에 약 기운에 고생도 많이 했던 하루였습니다
여러 산우님들이 많이 도와 주셔서 무사히 마칠수 있었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산행지 : 모래재~남암문~△344.1m봉,~ 390m봉(의성김씨묘)~송치재~465m봉(철선따라 진행)
~△596.5m(쪽지봉)~550m봉~칠보산(542m)~405.6m봉~칠보치(임도)~질마재~새작골산
~612m봉(삼군봉)~△좌구산(657m)~640m(돌탑봉)~주차장 갈림길
~538m봉(두번째 주차장 갈림길)~방고개(좌구산 천문대)~536m봉~430m봉~분젓치(좌구정)
산행일 : 2012, 11, 11 일요일
산행시간 : 7시간 50분(점심, 휴식포함)
산행한 사람 : 김동혁, 거인산악회
지도(누르면 확대됩니다)
% 산행정리 %
09:52 모래재 출발(보광산 수련원)
"모래재 의병격전 유적비"와 보광산 수련원이 있는 모래재를 출발합니다
보광산수련원 안으로 들어갑니다
09:55 보광산 수련원 운동장을 지나 연두색 휀스가 있는 도로를 지나 철탑을 보며 오르면
묘지가 보이고 묘지 우측으로 올라 묘지뒤 좌측으로 능선은 이어집니다
10:11 344.1m봉
"산림병 해충(참나무 시들음병)방제 안내문"이 서 있는곳을 지나며 삼각점이 있습니다
10:21 390m봉
의성김씨, 밀양박씨 합장묘가 있는 390m봉을 지나 내려갑니다
10:29 송치재(솔티재)
조그만 돌탑들이 있고, 철조망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송치재
이 송치재는 괴산서 증평을 갈때 방축리를 질러 갈수 있는 고개로,
교통이 발달하기 전에는 괴산장을 보기 위해 많은 객들이 넘나들던 고개라 합니다
10:48 바위 돌들이 있는곳을 지납니다
지나서 오르면 나오는 460m봉
10:50 460m봉
10:56 465m봉
좌측의 염소농장을 보며,
전기철책을 만나고 우측으로 틀어진 길따라 전기철선을 따라 갑니다
11:16 쪽지봉 갈림길
좌측 30m에 있는 쪽지봉(596.5 m봉)을 다녀 오기로 합니다
이정표 ← 쪽지봉 30 m, ↓ 사리 5 km, →칠보산 2 km
11:18 596.5m봉 (쪽지봉)
준,희님의 596.5m봉 표지판이 있고 조금 뒤에 1958~1961년까지 존재한
"국방부 지리연구소"가 동판으로 제작 설치한 대삼각점도 아직 남아 있습니다
11:24 550m봉
11:40 황암마을 갈림길
이정표 ← 황암마을 0.7 km, ↓ 쪽지봉 1.2 km, ↑ 칠보산 0.8 km
11:54 칠보산 갈림길
마루금은 우측으로 틀어 지지만 좌측으로 30m 표시가 되어 있는 칠보산(542 m)을 다녀 오기로 합니다
이정표 ← 칠보산 30 m, ↓ 쪽지봉 4 km, →청안 4 km
11:54~11:57 칠보산(542 m)
칠보산악회장이 2000년 2월 11일에 세워 놓은 정상석이 있고 삼각점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12:14 365m 안부
좌측으로 괴산군 종자보급소의 대단위 비닐하우스 단지가 보입니다
12:17~12:49 점심
안부에서 오르며 좌측의 묘지가 있는곳에서 점심과 휴식
12:51 좌측 아래로는 지나온 과산군 종자보급소가 보이는데 " 종자는 생명자원"이라는
글귀가 크게 쓰여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괴산의 농특산물인 괴산철결고추,
찰옥수수(대학 찰옥수수, 대학교수가 척박한 괴산 고향을 생각해서 연구했다합니다),
시골 절임배추, 바이오 씨감자에 대한 연구와 생산을 하는 곳이라 합니다
12:55 405.6m봉
13:01 칠보치(임도)
우측은 청안면 효근리 도근이 마을, 좌측은 문당리 진다리 마을
임도를 가로 질러 오릅니다
13:14 415.2m봉
13:16 칠보샘(물 웅덩이)
멧돼지 목욕탕 같은 느낌이 들 정도인데 한쪽엔 그릇도 놓여 있습니다
13:20 434m봉
13:48 460m봉
13:53 평해황씨, 죽산안씨 묘지
13:56 좌측으로 시멘트 임도가 보입니다
14:00 410m봉(TV안테나가 있는 봉우리)
14:11 질마재
괴산군 청안면 문방리와 운곡리를 이어주는 592번 지방도입니다
우측으로 내려 가서 좌측으로 배수로를 따라 오릅니다
질마재
"길마재"의 구개음화 어형으로 "길마"는 짐을 싣거나 수레를 끌기 위해
소나 말따위등에 얹는 안장을 가리키는데 "길마"처럼 높고 가파른 고개여서]
"질마재"로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질마제와 연관하여 유명한것이 미당 서정주 시인의 1975년에 발표한
'33편의 질마재신화"가 있는데 그중 한편만 옮겨봅니다
<신부>
신부는 초록 저고리와 다홍 치마로 겨우 귀밑머리만 풀리운 채 신랑하고 첫날밤을아직 앉아 있었는데, 신랑이 그만 오줌이 급해져서 냉큼 일어나 달려가는 바람에
옷자락이 문 돌쩌귀에 걸렸습 니다.
그것을 신랑은 생각이 또 급해서 제 신부가 음탕해서 그 새를 못 참아서뒤에서 손으로 잡아당기는 거라고 그렇게만 알고 뒤도 안돌아보고 나가 버렸습니다.
문 돌쩌귀에 걸린 옷자락이 찢어진 채로 오줌 누곤 못 쓰겠다며 달아나 버렸습니다.
그러고 나서 40년인가 50년이 지나간 뒤에 뜻밖에 딴 볼 일이 생겨이 신부네 집 옆을 지나가다가 그래도 잠시 궁금해서 신부방 문을 열고 들여다보니
신부는 귀밑머리만 풀린 첫날밤 모양 그대로 초록 저고리 다홍 치마로
아직도 고스란히 앉아 있었습니다.
안스러운 생각이 들어 그 어깨를 가서 어루만지니 그때서야 매운 재가 되어폭삭 내려 앉아 버렸습니다. 초록 재와 다홍 재로 내려 앉아 버렸습니다
14:42 새작골산 삼거리
이정표 ↖ 좌구산 정상 1.9 km, ↓ 질마재 1.3 km, → 안봉천 1.6 km
15:23 612m봉(삼군봉)
증평군, 청원군, 괴산군등 3개군을 경계 짓는다는 봉우리입니다
15:43~15:46 좌구산(657m)
삼각점이 2개 있고, 정상석과 이정표가 있으며
한남금북정맥에서 이름을 가진 봉우리중 최고봉입니다
충북 괴산군과 청원군에 걸쳐 있는 좌구산은 증평읍 일대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앉을 "좌(坐), 개 "구(狗)자. 좌구산(坐狗山)으로 예전에는 민가가 없고 산밖에 없었는데
그산에 올라가면 개짖는 소리가 났다하며 나중에 풍수적으로 말해서
거북이가 남쪽을 향해서 앉아 있는 모습이라 하여 좌구산(坐龜山)으로 고쳤다고 합니다
15:48 칼춤바위
15:50~15:52 640m봉(돌탑봉)
긴의자와 돌탑이 있습니다
15:55 내리막길의 좌측으로는 긴 침엽수림이 장관을 이룹니다
16:02 벤치 2개와 연리지 표지가 걸려 있는 545m 봉우리
16:04 주차장 갈림길
이정표 ← 방고개 1.24 km, ↓ 좌구산 0.7 km, ↑ 주차장 1.44 km
좌측 방고개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16:14 538m봉 두번째 주차장 갈림길
이정표 ↑ 방고개 0.68 km, ↓ 좌구산 1.26 km, → 주차장 1.72 km
방고개 방향으로 갑니다
16:16 좌구산의 송진 채취 소나무
16:26~16:39 방고개 휴식
미원면과 증평읍 율리를 연결하는 방고개
좌측으로는 쉼터와 우측으로 좌구산 천문대가 있고 길건너에 정자가 있습니다
16:42 이정표 ↑ 좌구정 2.6 km , ↓ 방고개 0.1 km
16:53 나무 계단
힘이 들어 쉬며 갑니다
16:57 화원리 갈림길
이정표 ← 미원(화원리) , ↓ 방고개(좌구산 천문대) 0.5 km, → 좌구정 2.26 km
17:08 536m봉
17:15 540m봉
이정표 ↑ 좌구정 1.3 km , ↓ 방고개(좌구산 천문대) 1.4 km
17:23 이정표 ← 좌구정 0.9 km, ↓ 방고개(좌구산 천문대) 1.8 km
17:32 이정표 ↑ 좌구정 0.42 km , ↓ 방고개(좌구산 천문대) 2.3 km
17:40 이정표 ↑ 좌구정 0.2 km , ↓ 방고개(좌구산 천문대) 2.5 km
17:44 분젓치
길건너 도로 우측으로 정자가 있습니다
09:52 모래재 출발(보광산 수련원)
"모래재 의병격전 유적비와 보광산 수련원이 있는 모래재를 출발합니다
보광산수련원 안으로 들어갑니다
모래재에서다음구간 들머리
야외돔 운동장 방향으로 갑니다
09:55 운동장 우측의 예쁜 바위와소나무
09:55 보광산 수련원 운동장을 지나 연두색 휀스가 있는 도로를 지나 철탑을 보며 오르면
묘지가 보이고 묘지 우측으로 올라 묘지뒤 좌측으로 능선은 이어집니다
10:11 344.1m봉
"산림병 해충(참나무 시들음병)방제 안내문"이 서 있는곳을 지나며 삼각점이 있습니다
10:21 390m봉
의성김씨, 밀양박씨 합장묘가 있는 390m봉을 지나 내려갑니다
10:29 송치재(솔티재)
조그만 돌탑들이 있고, 철조망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송치재
이 송치재는 괴산서 증평을 갈때 방축리를 질러 갈수 있는 고개로,
교통이 발달하기 전에는 괴산장을 보기 위해 많은 객들이 넘나들던 고개라 합니다
10:48 바위 돌들이 있는곳을 지납니다
지나서 오르면 나오는 460m봉
10:50 460m봉
10:56 465m봉
좌측의 염소농장을 보며,
전기철책을 만나고 우측으로 틀어진 길따라 전기철선을 따라 갑니다
11:16 쪽지봉 갈림길
좌측 30m에 있는 쪽지봉(596.5 m봉)을 다녀 오기로 합니다
이정표 ← 쪽지봉 30 m, ↓ 사리 5 km, →칠보산 2 km
11:18 596.5m봉 (쪽지봉)
준,희님의 596.5m봉 표지판이 있고 조금 뒤에 1958~1961년까지 존재한
"국방부 지리연구소"가 동판으로 제작 설치한 대삼각점도 아직 남아 있습니다
11:24 550m봉
11:40 황암마을 갈림길
이정표 ← 황암마을 0.7 km, ↓ 쪽지봉 1.2 km, ↑ 칠보산 0.8 km
11:54 칠보산 갈림길
마루금은 우측으로 틀어 지지만 좌측으로 30m 표시가 되어 있는 칠보산(542 m)을 다녀 오기로 합니다
이정표 ← 칠보산 30 m, ↓ 쪽지봉 4 km, →청안 4 km
11:54~11:57 칠보산(542 m)
칠보산악회장이 2000년 2월 11일에 세워 놓은 정상석이 있고 삼각점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칠보산 갈림길
12:14 365m 안부
좌측으로 괴산군 종자보급소의 대단위 비닐하우스 단지가 보입니다
12:17~12:49 점심
안부에서 오르며 좌측의 묘지가 있는곳에서 점심과 휴식
12:51 좌측 아래로는 지나온 과산군 종자보급소가 보이는데 " 종자는 생명자원"이라는
글귀가 크게 쓰여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괴산의 농특산물인 괴산철결고추,
찰옥수수(대학 찰옥수수, 대학교수가 척박한 괴산 고향을 생각해서 연구했다합니다),
시골 절임배추, 바이오 씨감자에 대한 연구와 생산을 하는 곳이라 합니다
12:55 405.6m봉
13:01 칠보치(임도)
우측은 청안면 효근리 도근이 마을, 좌측은 문당리 진다리 마을
임도를 가로 질러 오릅니다
칠보치를 지나서 뒤돌아 본 모습
13:14 415.2m봉
13:16 칠보샘(물 웅덩이)
멧돼지 목욕탕 같은 느낌이 들 정도인데 한쪽엔 그릇도 놓여 있습니다
13:18 434m봉
13:48 460m봉
13:53 평해황씨, 죽산안씨 묘지
13:56 좌측으로 시멘트 임도가 보입니다
14:00 410m봉(TV안테나가 있는 봉우리)
14:11 질마재
괴산군 청안면 문방리와 운곡리를 이어주는 592번 지방도입니다
우측으로 내려 가서 좌측으로 배수로를 따라 오릅니다
질마재
"길마재"의 구개음화 어형으로 "길마"는 짐을 싣거나 수레를 끌기 위해
소나 말따위등에 얹는 안장을 가리키는데 "길마"처럼 높고 가파른 고개여서]
"질마재"로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질마제와 연관하여 유명한것이 미당 서정주 시인의 1975년에 발표한
'33편의 질마재신화"가 있는데 그중 한편만 옮겨봅니다
<신부>
신부는 초록 저고리와 다홍 치마로 겨우 귀밑머리만 풀리운 채 신랑하고 첫날밤을아직 앉아 있었는데, 신랑이 그만 오줌이 급해져서 냉큼 일어나 달려가는 바람에
옷자락이 문 돌쩌귀에 걸렸습 니다.
그것을 신랑은 생각이 또 급해서 제 신부가 음탕해서 그 새를 못 참아서뒤에서 손으로 잡아당기는 거라고 그렇게만 알고 뒤도 안돌아보고 나가 버렸습니다.
문 돌쩌귀에 걸린 옷자락이 찢어진 채로 오줌 누곤 못 쓰겠다며 달아나 버렸습니다.
그러고 나서 40년인가 50년이 지나간 뒤에 뜻밖에 딴 볼 일이 생겨이 신부네 집 옆을 지나가다가 그래도 잠시 궁금해서 신부방 문을 열고 들여다보니
신부는 귀밑머리만 풀린 첫날밤 모양 그대로 초록 저고리 다홍 치마로
아직도 고스란히 앉아 있었습니다.
안스러운 생각이 들어 그 어깨를 가서 어루만지니 그때서야 매운 재가 되어폭삭 내려 앉아 버렸습니다. 초록 재와 다홍 재로 내려 앉아 버렸습니다
사진에서 좌측으로 내려와서 우측 배수로를 따라 오릅니다
반대로 해도 관계없습니다
14:42 새작골산 삼거리
이정표 ↖ 좌구산 정상 1.9 km, ↓ 질마재 1.3 km, → 안봉천 1.6 km
15:23 612m봉(삼군봉)
증평군, 청원군, 괴산군등 3개군을 경계 짓는다는 봉우리입니다
15:31 588m봉
15:43~15:46 좌구산(657m)
삼각점이 2개 있고, 정상석과 이정표가 있으며
한남금북정맥에서 이름을 가진봉우리중 최고봉입니다
충북 괴산군과 청원군에 걸쳐 있는 좌구산은 증평읍 일대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앉을 "좌(坐), 개 "구(狗)자. 좌구산(坐狗山)으로 예전에는 민가가 없고 산밖에 없었는데
그산에 올라가면 개짖는 소리가 났다하며 나중에 풍수적으로 말해서
거북이가 남쪽을 향해서 앉아 있는 모습이라 하여 좌구산(坐龜山)으로 고쳤다고 합니다
좌구산의 또 다른 삼각점
15:48 칼춤바위
15:50~15:52 640m봉(돌탑봉)
긴의자와 돌탑이 있습니다
15:55 내리막길의 좌측으로는 긴 침엽수림이 장관을 이룹니다
16:02 벤치 2개와 연리지 표지가 걸려 있는 545m 봉우리
16:04 주차장 갈림길
이정표 ← 방고개 1.24 km, ↓ 좌구산 0.7 km, ↑ 주차장 1.44 km
좌측 방고개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538m봉 방고개로 가기전 두번째 주차장 갈림길 능선
16:14 538m봉 두번째 주차장 갈림길
이정표 ↑ 방고개 0.68 km, ↓ 좌구산 1.26 km, → 주차장 1.72 km
방고개 방향으로 갑니다
16:16 좌구산의 송진채취 소나무
좌구산 천문대
16:26~16:39 방고개 휴식
미원면과 증평읍 율리를 연결하는 방고개
좌측으로는 쉼터와 우측으로 좌구산 천문대가 있고 길건너에 정자가 있습
16:42 이정표 ↑ 좌구정 2.6 km , ↓ 방고개 0.1 km
16:42 이정표 ↑ 좌구정 2.6 km , ↓ 방고개 0.1 km
16:57 화원리 갈림길
이정표 ← 미원(화원리) , ↓ 방고개(좌구산 천문대) 0.5 km, → 좌구정 2.26 km
17:08 536m봉
17:15 540m봉
이정표 ↑ 좌구정 1.3 km , ↓ 방고개(좌구산 천문대) 1.4 km
17:23 430m봉
좌측 좌구정 방향으로 갑니다
이정표 ← 좌구정 0.9 km, ↓ 방고개(좌구산 천문대) 1.8 km
17:32 이정표 ↑ 좌구정 0.42 km , ↓ 방고개(좌구산 천문대) 2.3 km
17:40 이정표 ↑ 좌구정 0.2 km , ↓ 방고개(좌구산 천문대) 2.5 km
17:44 분젓치
길건너 도로 우측으로 정자가 있습니다
함께 산행 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 드립니다
출처 : 김 동혁의 산행일지글쓴이 : 김동혁 원글보기메모 :'한북정맥(완주) > 한남금북정맥(완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행치재-승주고개(감우리) (0) 2012.12.11 [스크랩] 8번째 모래재-행치재 (0) 2012.12.03 [스크랩] 한남금북정맥 8구간 모래재~행치고개 (0) 2012.12.03 [스크랩] 한남금북정맥 6구간 산성고개~분젓치 (0) 2012.11.09 [스크랩] 한남금북정맥 5구간 추정재~산성고개 (0) 2012.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