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한남금북정맥 4구간 추정재~벼재고개(바깥 대안리고개)한북정맥(완주)/한남금북정맥(완주) 2012. 9. 26. 12:22
추정재 (모든 사진 누르면 확대됩니다)
국사봉
팔봉지맥(단군지맥) 갈림길
쌍암재
쌍암재를 지나 절개지 오름길
벼재고개(바깥 대안리고개)
602.1m봉을 오르며 뒤돌아 보는 우측 580m봉에서 545m봉을 지나 525m봉으로 내려오는 능선
새터고개
대안리(서낭당)고개
2012 9월 24일 일요일
날시도 화창하여 산행 하기에 좋은 날이었습니다
오늘은 역으로 추정재에서 시작하여 벼재고개(바깥 대안리고개까지 진행합니다
산행지 : 추정재(32번국도)~ 393m봉~521m봉~△국사봉(586.7m)~헬기장~567m봉~5521m봉~475m봉
~살티재~580m봉~5545m봉~525m봉~△602.1m봉~593m봉~514m봉
~525m봉(팔봉지맥, 단군지맥갈림길)~500m봉~새터고개~355m봉~쌍암재)~440m봉
~490m봉~370m봉~대안리 고개~424m봉~벼재고개(바깥 대안리고개)
산행일 : 2012, 09, 24 일요일
산행시간 : 7시간 30분(점심, 휴식포함)
산행한 사람 : 김동혁, 거인산악회
지도(누르면 확대됩니다)
진혁진님의 산행정보에서
% 산행정리 %
09:55 추정재 출발
용창공예 옆에 도로를 보며 서 있는 나무 공예를 보면서 관정사 표지판이 있는
도로를 따라 오릅니다
09:59 좌측으로 물탱크 있는곳을 지납니다
10:01 산행 들머리를 알리는 리본이 붙어있는 우측으로 들어갑니다
10:10 능선 갈림길
좌측으로 오릅니다
10:22 393m봉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10:39 갈림길
521m봉 오르기전 갈림길로 우측 521m봉을 향해 갑니다
10:41 521m봉
작은 바위돌들이 있는곳
10:49 능선 갈림길
좌측으로 국사봉을 향해 오릅니다
10:58~11:04 국사봉(586.7m)
삼각점과 표지판이 있고 이곳까지 한 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좌측으로는 청주 삼백리 답사길이 이어지며 마루금은 우측으로 이어집니다
11:05 헬기장
11:15 567m봉
567m봉을 지나 좌측으로 돌아 내려갑니다
11:19 바위군들이 있는곳을 좌측으로 지나갑니다
11:25 바위 있는곳을 지나갑니다
11:27 521m봉
521m봉을 지나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11:35 475m봉
475m봉을 좌측으로 바로 보며 우측으로꺽어집니다
11:45 살티재
우측으로 돌무더기 있는곳
살티재
살-티(사흘티)/三日峙
염둔에서 청원군 가덕면으로 넘어가는 고개. 옛날에 노인이 고개를 넘는데고개가 길어 사흘이 걸려 넘었다고 하며.교통이 발달하기 이전에
대안리→말구리 고개→살티→미티고개→청주에 이르는 길목이였습니다
11:50 안부(또 다른 고개)
580m봉까지 가파르게 오릅니다
11:59 580m봉
12:12 545m봉을 지납니다
12:16~12:46 점심
12:55 525m봉 오르기전 좌측으로 우회갈림길
직진하여 525m봉을 향해 오릅니다
12:56 525m봉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13:00 쌍묘
13:13 602.1m봉
삼각점이 있습니다
13:21 593m봉
폐 참호가 있고 우측으로 내려가는데
예전에 목장이었는지 좌측의 전기 철조망을 따라 내려갑니다
13:36 안부
옛고개
13:45 514m봉
13:51 525m봉 오르기전 좌측으로 우회하는길
직진하여 525m봉으로 향합니다
13;54~13:57 525m봉(팔봉지맥 갈림길)
뒷면에 천부경 81자가 새겨진 단군지맥 비석이 있고
우측으로는 팔봉지맥 한남금북정맥은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단군지맥은 한남금북정맥에서 가지쳐 피반령,봉화봉을 거쳐 팔봉산,은적산을 넘어
금강으로 잠기는 팔봉지맥을 이르는 말입니다.
이 팔봉지맥상의 은적산에 단군성전이 있어 팔봉지맥을 단군지맥이라고도 부르는 모양입니다.
81자로 구성된《천부경》은 한배검께서 천부삼인을 가지시고 태백산(백두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오셔서
신시를 열어 인간을 넓고 크고 유익케 하기 위하여 만백성을 가르치실 적에
조화의 원리 곧 우주창조의 이치를 81자로 풀이한 참 경전이다.
천부경(天符經)은 단군조선 이전의 고대부터 전승되어 내려온 우리 민족의 위대한 가르침입니다.천부경은 비록 81자의 짧은 문장이지만 조화의 원리, 즉 우주 창조의 이치를 밝힌 위대한 가르침입니다.
14:01 갈림길
525m봉(팔봉지맥 갈림길)에서 내려온길과 우회길이 만나는곳
14:03 500m봉
능선 갈림길이며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14:19 새터고개
입산통제 안내문 옆으로 내려서면 우측으로는 몇채의 집이 있고,
시멘트길을 지나 맞은편 비포장 임도를 따라 진행합니다
14:20~14:42 임도 휴식 및 간식
14:44 토지지신 비석 있는곳
14:45 355m봉
묘지가 있고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14:48 시멘트임도
전봇대 우측으로 나오니 시멘트임도가 있습니다
시멘트임도 나오기전부터 쌍암재까지 선행자들은 우거진 잡풀로 고생을 많이 했다는데
우리는 추석전 벌초를 해 놓아 편하게 진행할수 있었습니다
14:50 파란색 물탱크
15:03 쌍암재 (해발 290m)
청원군 법주리와 보은군 쌍암리 경계로 571번 지방도입니다
통행주의 교통표지판이 있는곳으로 나오니
좌측으로 쌍암재(해발 290m)표지판과 내북면표지판이 보입니다
길을 건너 시멘트 임도를 따라 올라갑니다
법주리
본래 회인현(懷仁縣) 동면(東面) 지역으로 버드나무가 많아 버드리(柳洞)라고 부르고
구룡산(九龍山) 밑의 큰 골짜기가 되므로 법줄 또는 법주(法主)라 하였답니다
15:05 시멘트 임도를 따라 올라가면 넓은 초지가 보이고
곧이어 절개지에 리본이 많이 붙어 있는곳을 지납니다
15:10 절개지 리본이 많이 붙어 있는곳
15:24 440m봉, 금적지맥 분기점
우측으로는 금적지맥이 이어지고 한남금북정맥은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금적지맥은 한남금북정맥 구룡산 어깨(44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구룡산,노성산,국사봉,거멍산,덕대산,금적산을 거쳐 보청천(금강의 지류)
좌측으로 뿌리를 내리는 산줄기를 말합니다.
16:04 안부
16:19 490m봉을 향해 지그재그 길을 힘겹게 오릅니다
16:22~16:26 490m봉
490m봉엔 원형 참호가 있고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16:28 갈림길
우측 아래로 내려갑니다
16:29 바위길을 가파르게 내려갑니다
16:38 안부 사거리
16:41 370m봉
좌측으로 갑니다
16:53~16:56 대안리고개
옛 서낭당고개로 우측의 아곡리와 좌측의 대안리를 있는 19번 국도이며
4H표지석이 있습니다
길을 건너 우측으로 10m정도 가면 들머리가 있고 수준점이 있습니다
대안/大安
마을 뒷산에 산제당이 있고 앞에 있는 활인봉(活人峰:424m) 밑에 살면 마을이 편안하다 하여대안이라 불렀다고 전해오고 있으나 조선시대에는 대안리(大安里)라 기록하였습니다
서낭당고개/대안리고개
안대안에서 바깥대안으로 넘어가는 큰 고개.보은↔청주간 19호 국도상에 있고,
전에는 서낭당이 있었으나 도로 확장공사로 없어졌습니다.
이 고개에서 북쪽 안대안 물은 한강으로,
남쪽 바깥대안 물은 금강으로 흘러가는 분수령이 됩니다.
16:58 안동김씨 묘
16:59 갈림길
직진하여 오릅니다
17:03 묘 5기 있는곳
17:09~17:14 424m봉 갈림길
좌측으로 424m봉을 다녀올까 하다 시간이 지체되어 지나갑니다
17:22 좌측으로 묘지와 인삼밭이 있는곳을 지납니다
17:23 벼재고개(바깥 대안리고개)
19번 도로에서 갈려 나와 성티리 벼재마을로 연결됩니다
좌측 벼재마을 방향 비닐하우스 있는곳으로 가면
개울물이 흐르고 있어 산행후 씻을수 있습니다
09:55 추정재 출발
용창공예 옆에 도로를 보며 서 있는 나무 공예를 보면서 관정사 표지판이 있는
도로를 따라 오릅니다
길건너 다음 구간 들머리 미원석물과 SK주유소 사이길
09:59 좌측으로 물탱크 있는곳을 지납니다
10:01 산행 들머리를 알리는 리본이 붙어있는 우측으로 들어갑니다
10:10 능선 갈림길
좌측으로 오릅니다
10:22 393m봉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10:39 갈림길
521m봉 오르기전 갈림길로 우측 521m봉을 향해 갑니다
10:41 521m봉
작은 바위돌들이 있는곳
뒤돌아서 찍은 모습
10:49 능선 갈림길
좌측으로 국사봉을 향해 오릅니다
10:58~11:04 국사봉(586.7m)
삼각점과 표지판이 있고 이곳까지 한 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좌측으로는 청주 삼백리 답사길이 이어지며 마루금은 우측으로 이어집니다
11:05 헬기장
11:15 567m봉
567m봉을 지나 좌측으로 돌아 내려갑니다
11:19 바위군들이 있는곳을 좌측으로 지나갑니다
11:25 바위 있는곳을 지나갑니다
11:27 521m봉
521m봉을 지나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11:35 475m봉
475m봉을 좌측으로 바로 보며 우측으로꺽어집니다
11:45 살티재
우측으로 돌무더기 있는곳
살티재
살-티(사흘티)/三日峙
염둔에서 청원군 가덕면으로 넘어가는 고개. 옛날에 노인이 고개를 넘는데고개가 길어 사흘이 걸려 넘었다고 하며.교통이 발달하기 이전에
대안리→말구리 고개→살티→미티고개→청주에 이르는 길목이였습니다
우측에 있는 돌무더기
11:50 안부(또 다른 고개)
580m봉까지 가파르게 오릅니다
11:59 580m봉
12:12 545m봉을 지납니다
12:16~12:46 점심
12:55 525m봉 오르기전 좌측으로 우회갈림길
직진하여 525m봉을 향해 오릅니다
12:56 525m봉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13:00 쌍묘
13:01 쌍묘가 있는곳에서 뒤돌아본 우측에서부터 580m봉, 545m봉, 525m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13:13 602.1m봉
삼각점이 있고,작은 참호도 몇개 있습니다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13:21 593m봉
폐 참호가 있고 우측으로 내려가는데
예전에 목장이었는지 좌측의 전기 철조망을 따라 내려갑니다
13:36 안부
옛고개
13:45 514m봉
13:51 525m봉 오르기전 좌측으로 우회하는길
직진하여 525m봉으로 향합니다
13;54~13:57 525m봉(팔봉지맥 갈림길)
뒷면에 천부경 81자가 새겨진 단군지맥 비석이 있고
우측으로는 팔봉지맥 한남금북정맥은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단군지맥은 한남금북정맥에서 가지쳐 피반령,봉화봉을 거쳐 팔봉산,은적산을 넘어
금강으로 잠기는 팔봉지맥을 이르는 말입니다.
이 팔봉지맥상의 은적산에 단군성전이 있어 팔봉지맥을 단군지맥이라고도 부르는 모양입니다.
81자로 구성된《천부경》은 한배검께서 천부삼인을 가지시고 태백산(백두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오셔서
신시를 열어 인간을 넓고 크고 유익케 하기 위하여 만백성을 가르치실 적에
조화의 원리 곧 우주창조의 이치를 81자로 풀이한 참 경전이다.
천부경(天符經)은 단군조선 이전의 고대부터 전승되어 내려온 우리 민족의 위대한 가르침입니다.천부경은 비록 81자의 짧은 문장이지만 조화의 원리, 즉 우주 창조의 이치를 밝힌 위대한 가르침입니다.
14:01 갈림길
525m봉(팔봉지맥 갈림길)에서 내려온길과 우회길이 만나는곳
14:03 500m봉
능선 갈림길이며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14:19 새터고개
입산통제 안내문 옆으로 내려서면 우측으로는 몇채의 집이 있고,
시멘트길을 지나 맞은편 비포장 임도를 따라 진행합니다
임도를 오르며 뒤돌아 본 모습
14:20~14:42 임도 휴식 및 간식
14:44 토지지신 비석 있는곳
14:45 355m봉
묘지가 있고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14:48 시멘트임도
전봇대 우측으로 나오니 시멘트임도가 있습니다
시멘트임도 나오기전부터 쌍암재까지 선행자들은 우거진 잡풀로 고생을 많이 했다는데
우리는 추석전 벌초를 해 놓아 편하게 진행할수 있었습니다
뒤돌아 본 모습
14:50 파란색 물탱크
15:03 쌍암재 (해발 290m)
청원군 법주리와 보은군 쌍암리 경계로 571번 지방도입니다
통행주의 교통표지판이 있는곳으로 나오니
좌측으로 쌍암재(해발 290m)표지판과 내북면표지판이 보입니다
길을 건너 시멘트 임도를 따라 올라갑니다
법주리
본래 회인현(懷仁縣) 동면(東面) 지역으로 버드나무가 많아 버드리(柳洞)라고 부르고
구룡산(九龍山) 밑의 큰 골짜기가 되므로 법줄 또는 법주(法主)라 하였답니다
시멘트 임도를 오르며 쌍암재 방향으로 뒤돌아 본 모습
15:05 시멘트 임도를 따라 올라가면 넓은 초지가 보이고
곧이어 절개지에 리본이 많이 붙어 있는곳을 지납니다
15:10 절개지 리본이 많이 붙어 있는곳
절개지에서 뒤돌아본 지나온 마루금
15:24 440m봉, 금적지맥 분기점
우측으로는 금적지맥이 이어지고 한남금북정맥은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금적지맥은 한남금북정맥 구룡산 어깨(44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구룡산,노성산,국사봉,거멍산,덕대산,금적산을 거쳐 보청천(금강의 지류)
좌측으로 뿌리를 내리는 산줄기를 말합니다
16:04 안부
16:19 490m봉을 향해 지그재그 길을 힘겹게 오릅니다
16:22~16:26 490m봉
490m봉엔 원형 참호가 있고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16:28 갈림길
우측 아래로 내려갑니다
16:29 바위길을 가파르게 내려갑니다
16:38 안부 사거리
16:41 370m봉
좌측으로 갑니다
16:53~16:56 대안리고개
옛 서낭당고개로 우측의 아곡리와 좌측의 대안리를 있는 19번 국도이며
4H표지석이 있습니다
길을 건너 우측으로 10m정도 가면 들머리가 있고 수준점이 있습니다
대안/大安
마을 뒷산에 산제당이 있고 앞에 있는 활인봉(活人峰:424m) 밑에 살면 마을이 편안하다 하여대안이라 불렀다고 전해오고 있으나 조선시대에는 대안리(大安里)라 기록하였습니다
서낭당고개/대안리고개
안대안에서 바깥대안으로 넘어가는 큰 고개.보은↔청주간 19호 국도상에 있고,
전에는 서낭당이 있었으나 도로 확장공사로 없어졌습니다.
이 고개에서 북쪽 안대안 물은 한강으로,
남쪽 바깥대안 물은 금강으로 흘러가는 분수령이 됩니다.
수준점과 들머리
16:58 안동김씨 묘
16:59 갈림길
직진하여 오릅니다
17:03 묘 5기 있는곳
17:09~17:14 424m봉 갈림길
좌측으로 424m봉을 다녀올까 하다 시간이 지체되어 지나갑니다
17:22 좌측으로 묘지와 인삼밭이 있는곳을 지납니다
태풍의 영향으로 인삼밭이 많이 손해를 보았습니다
17:23 벼재고개(바깥 대안리고개)
19번 도로에서 갈려 나와 성티리 벼재마을로 연결됩니다
좌측 벼재마을 방향 비닐하우스 있는곳으로 가면
개울물이 흐르고 있어 산행후 씻을수 있습니다
함께 산행 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출처 : 김 동혁의 산행일지글쓴이 : 김동혁 원글보기메모 :'한북정맥(완주) > 한남금북정맥(완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남금북정맥 6구간 산성고개~분젓치 (0) 2012.11.09 [스크랩] 한남금북정맥 5구간 추정재~산성고개 (0) 2012.10.22 [스크랩] 한남금북정맥 3구간 구티재~벼재고개(바깥 대안리고개) (0) 2012.09.26 [스크랩] 한남 금북정맥 2구간 갈목재~구티재 (0) 2012.09.01 [스크랩] 한남 금북정맥 1구간 천왕봉~갈목재 (0) 2012.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