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호남정맥 11구간 장고목재~큰덕골재호남정맥(완주) 2014. 6. 4. 11:23
삼계봉(모든 사진 누르면 확대됩니다. 필요 하신분 확대해서 보관하세요)
노적봉(땅끝기맥 갈림길)
땅끝기맥 갈림길에서 지난날을 회상하며
깃대봉
국사봉
곰치
숫개봉
군치산
큰덕골
곰치로 내려 오며 가야 할 봉미산과 우측의 운곡마을
2014년 5월 25일 일요일
9구간부터 3구간 연속 산행 마지막에는 비가 옵니다
장고목재에서 시작하여 삼계봉을 시작으로 크고 작은 봉을 20개 이상을 넘어 큰덕골재까지
이어 갑니다 산행 내내 바람이 살살 불어 좋았지만 조망은 없었고
군치산을 넘어서부터는 비가 오기 시작하여 산행을 더디게 하였습니다
산행지 : 장고목재(월곡마을)~460m봉~△삼계봉(505.7m, 청풍 307)~삼계봉 정상석(490m)~노적봉(바람재 삼거리)
~헬기장(93-6-2)~깃대봉(448m)~국사봉(499m)~헬기장(93-6-3)~백토재~476.8m봉
~460m봉~340m봉~곰치(893번 지방도)~헬기장(93-6-9)~△봉미산(505.8m, 청풍 314)
~헬기장~헬기장~숫개봉(496M)~개활지에 집이 있는곳~439.3m~암봉~뗏재~군치산(414m)
~376.6m봉~411m봉 갈림길~320m봉~큰덕골재~대덕마을(큰덕골)
산행일 : 2014, 05, 25 일요일
산행시간 : 10시간 (점심, 휴식포함)
산행한 사람 : 김동혁, 거인산악회
진혁진님의 산행정보에서(누르면 확대됩니다)
청광님의 지도에서
% 산행정리 %
04:57 월곡마을 출발
장흥군 장평면 병동리 617 마을 버스 정류장 앞에서 시멘트 도로 를 따라 진행합니다
05:26 장고목재 출발
산의 형태가 장고의 목처럼 잘록하게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장고치라고도 하며
유치면 봉덕리와 장평면 병동리를 이어 주는 비포장 도로입니다
이정표 건너 산길을 따라 진행합니다
05:41 로프가 매어져 있는 가파른 길을 오릅니다
05:43 460m봉
05:56 삼각점이 있는 실제 삼계봉(505.7m 청풍 307)
빗물이 세군데(영산강, 탐진강, 보성강의 3개 유역)로 흐른다 해서 삼계봉인데
노적봉(바람재 삼거리)응 삼계봉이라 주장하는 이도 있습니다
06:05 삼계봉 정상석이 있는 봉우리(490m)
06:22~06:24 바람재 삼거리(노적봉, 430m)
넓은 헬기장이 있고 이곳은 호남정맥과 땅끝기맥(이곳에서 월출산 두륜산을 거쳐 땅끝마을까지 이어진 기맥)이
분기하는 지점으로 바람재는 북쪽으로 땅끝기맥을 따라 200m내려간 안부에 있는 고개로
북쪽으로 막힘이 없고 바람이 세다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2008년도 땅끝마을에서 시작하여 12번에 걸쳐 이곳을 지나 곰치휴계소에서 끝을 맺었던 생각이 납니다
*** 주의 *** 곰치휴계소 방향으로 갑니다
06:30 헬기장(93-6-2)
06:31 운곡마을 갈림길
06:39 깃대봉(448m)
정상석과 이정표 ↑ 국사봉 0.9 km, 백토재 1.3 m, ↓ 삼계봉 1.8, 피재 8.6 km
07:02 국사봉(499m)
정상석과 이정표 ↑ 곰치휴게소 3.5 km, 백토제 0.3 km, ↓ 깃대봉 0.9km, 피재 9.5 km
국사봉 정상석에는 정남진 장흥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정동진이 광화문에서 정 동쪽으로 내달으면 도착하는 나루라는 유래를 가진것에 착안하여,
광화문에서 정 님쪽으로 내려오면 도착하는 해변이며 장흥군이 발상을 낸 지역 이미지 브랜드입니다
07:05~07:45 헬기장(93-6-3), 아침
07:53 백토재
우측으로 내려 가면 운곡마을입니다
08:18 476.8m봉
08:34 곰치 가기전(460m봉 정도)
잘 못된 이정표가 있고 이후 급경사 너덜길을 지납니다
08:37 급경사 너덜길
08:41 임도
08:44 다시 나타나는 임도
08:58 340m봉
곰치 가기전 마지막 봉우리
09:01 민씨 합장묘
09:05~09:15 곰치(웅치)
장흥군 장평면과 화순군 청풍면의 경계로 839번 지방도입니다
길을 건너 화순군 청풍면 표지판 뒤로 오릅니다
09:54 헬기장(93-6-9)
10:02~10:28 봉미산(505.8m), 휴식
넓은 헬기장(93-6-8)이고 삼각점(청풍 314)이 있습니다
*** 주의 *** 좌측으로 틀어집니다
10:40 헬기장
10:50 헬기장
10:51 안부(옛고개)
11:27 숫개봉(496m)
11:50 넓은 개활지에 집이 있는곳
집앞을 지나면서 우측으로 꺽어집니다
우측 끝에서 산길로 들어서면 곧이어 넓은 공터가 나옵니다
11:53~12:12 넓은 공터, 휴식
12:38 439.3m봉
우측으로 갑니다
12:42 암봉
13:10 뗏재
13:17~13:22 군치산(414m)
13:31 서낭당 흔적이 있는곳
13:38 376.6m봉
이후 비가 오기 시작합니다
13:48 411m 갈림봉
14:18 320m봉이 보입니다
14:22 320m봉
정상 우측에 잘 조성된 묘지가 있습니다
권흥섭 대장님이 비가 오는데 우의도 없이 320m봉 전의 안부에서
좌측으로 하산 할까 걱정이 되어 대원들을 기다립니다
혹시나 해서 평소에 우의를 2개 가지고 다니던 나지만 가볍게 온다고 한개를 두고온 내가
원망스럽기도 하고 기록하는 카메라 때문에 우의를 벗어 드리지도 못하고 죄송했습니다
대원들을 생각 하시는 권대장님 고맙습니다
14:26 임도길 같은 편안한 길을 갑니다
14:29 큰덕골재
좌측에 죽산안씨 묘지가 있고 임도 따라 좌측 대덕마을(큰덕골)로 내려갑니다
14:55 대덕마을(큰덕골)
전남 화순군 이양면 초방리 785-4
04:57 월곡마을 출발
장흥군 장평면 병동리 617 마을 버스 정류장 앞에서 시멘트 도로 를 따라 진행합니다
05:26 장고목재 출발
산의 형태가 장고의 목처럼 잘록하게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장고치라고도 하며
유치면 봉덕리와 장평면 병동리를 이어 주는 비포장 도로입니다
이정표 건너 산길을 따라 진행합니다
05:41 로프가 매어져 있는 가파른 길을 오릅니다
05:43 460m봉
05:56 삼각점이 있는 실제 삼계봉(505.7m 청풍 307)
빗물이 세군데(영산강, 탐진강, 보성강의 3개 유역)로 흐른다 해서 삼계봉인데
노적봉(바람재 삼거리)응 삼계봉이라 주장하는 이도 있습니다
06:05 삼계봉 정상석이 있는 봉우리(490m)
06:22~06:24 바람재 삼거리(노적봉, 430m)
넓은 헬기장이 있고 이곳은 호남정맥과 땅끝기맥(이곳에서 월출산 두륜산을 거쳐 땅끝마을까지 이어진 기맥)이
분기하는 지점으로 바람재는 북쪽으로 땅끝기맥을 따라 200m내려간 안부에 있는 고개로
북쪽으로 막힘이 없고 바람이 세다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2008년도 땅끝마을에서 시작하여 12번에 걸쳐 이곳을 지나 곰치휴계소에서 끝을 맺었던 생각이 납니다
*** 주의 *** 곰치휴계소 방향으로 갑니다
06:30 헬기장(93-6-2)
06:31 운곡마을 갈림길
06:39 깃대봉(448m)
정상석과 이정표 ↑ 국사봉 0.9 km, 백토재 1.3 m, ↓ 삼계봉 1.8, 피재 8.6 km
07:02 국사봉(499m)
정상석과 이정표 ↑ 곰치휴게소 3.5 km, 백토제 0.3 km, ↓ 깃대봉 0.9km, 피재 9.5 km
국사봉 정상석에는 정남진 장흥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정동진이 광화문에서 정 동쪽으로 내달으면 도착하는 나루라는 유래를 가진것에 착안하여,
광화문에서 정 님쪽으로 내려오면 도착하는 해변이며 장흥군이 발상을 낸 지역 이미지 브랜드입니다
두분만 흔들렸습니다 죄송합니다
07:05~07:45 헬기장(93-6-3), 아침
07:53 백토재
우측으로 내려 가면 운곡마을입니다
08:18 476.8m봉
08:34 곰치 가기전(460m봉 정도)
잘 못된 이정표가 있고 이후 급경사 너덜길을 지납니다
가야할 봉미산과 우측의 운곡마을
우측의 운곡마을
08:37 급경사 너덜길
08:41 임도
08:44 다시 나타나는 임도
08:58 340m봉
곰치 가기전 마지막 봉우리
09:01 민씨 합장묘
09:05~09:15 곰치(웅치)
장흥군 장평면과 화순군 청풍면의 경계로 839번 지방도입니다
화순군 청풍면 표지판 뒤로 오릅니다
09:54 헬기장(93-6-9)
10:02~10:28 봉미산(505.8m), 휴식
넓은 헬기장(93-6-8)이고 삼각점(청풍 314)이 있습니다
*** 주의 *** 좌측으로 틀어집니다
10:36
10:40 헬기장
10:50 헬기장
10:51 안부(옛고개)
11:27 숫개봉(496m)
11:50 넓은 개활지에 집이 있는곳
집앞을 지나면서 우측으로 꺽어집니다
우측 끝에서 산길로 들어서면 곧이어 넓은 공터가 나옵니다
11:53~12:12 넓은 공터, 휴식
12:38 439.3m봉
우측으로 갑니다
12:42 암봉
13:06
13:10 뗏재
13:17~13:22 군치산(414m)
13:31 서낭당 흔적이 있는곳
13:38 376.6m봉
이후 비가 오기 시작합니다
13:48 411m 갈림봉
14:18 320m봉이 보입니다
13:22 320m봉에서 뒤돌아 보는 지나온 능선
14:22 320m봉
정상 우측에 잘 조성된 묘지가 있습니다
권흥섭 대장님이 비가 오는데 우의도 없이 320m봉 전의 안부에서
좌측으로 하산 할까 걱정이 되어 대원들을 기다립니다
혹시나 해서 평소에 우의를 2개 가지고 다니던 나지만 가볍게 온다고 한개를 두고온 내가
원망스럽기도 하고 기록하는 카메라 때문에 우의를 벗어 드리지도 못하고 죄송했습니다
대원들을 생각 하시는 권대장님 고맙습니다
14:26 임도길 같은 편안한 길을 갑니다
14:29 큰덕골재
좌측에 죽산안씨 묘지가 있고 임도 따라 좌측 대덕마을(큰덕골)로 내려갑니다
14:55 대덕마을(큰덕골)
전남 화순군 이양면 초방리 785-4
함께 산행해 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출처 : 김 동혁의 산행일지글쓴이 : 김동혁 원글보기메모 :'호남정맥(완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호남정맥 13구간 개기재~서밧재 (0) 2014.06.27 [스크랩] 호남정맥 12구간 큰덕골재~개기재 (0) 2014.06.23 [스크랩] 호남정맥 10구간 감나무재(시목치)~장고목재 (0) 2014.05.30 [스크랩] 호남정맥 9구간 한치~감나무재(시목재) (0) 2014.05.01 [스크랩] 호남정맥 8구간 오도재~한치 (0) 2014.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