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호남정맥 9구간 한치~감나무재(시목재)호남정맥(완주) 2014. 5. 1. 00:23
일림산(모든 사진 누르면 확대됩니다. 필요 하신분 확대해서 보관하세요)
일림산 정상
사자산(미봉)
간재 지나 곰재산 가기전 암봉
곰재산 가기전 철쭉평원
큰봉우리(골치산)에서
철쭉평원
곰재산 철쭉제단
제암산 돌탑봉
제암산 정상석
감나무재(시목재)
사자산 미봉에서 우측 두봉(머리)
사자산을 오르며 안량면과 보성 득량만
전망대에서 바라 보는 일림산
사자산을 오르며 뒤 돌아 보는 은신봉에서 득량만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2014년 4월 27일 일요일
한치에서 출발하여 오늘은 100대명산에 들어 있는 제암산(호남 5대명산중의 하나)과
일림산을 지나게 되는데 철쭉이 장관이라는 일림산과 곰재산의 철쭉평원을 보게됩니다
처음에는 비가 오락가락 하였으나 선선하였고 제암산 돌탑봉부터 비가 오기 시작하여
2시간 30분 정도 비속의 산행이었지만 그래도 다행이었습니다
산행지 : 삼수마을 표지석(895번 지방도, 한치)~413m봉(아미봉)~회령삼거리~△626m정상
~보성강 발원지 사거리~봉수대삼거리~△일림산(667.5m, 회천 21)~큰봉우리(골치산)
~작은봉~골치재~은신봉(561.7m)~무지기재~제암산휴양림 갈림길~사자산(미봉, 간제봉, 660m)
~간재~곰제산(628.8m)~곰재~제암산 돌탑봉(785.6m)~제암산(806.2m)~760m봉~불망비
~시루봉(656.7m)~작은산(687.3m)~망바위~소공원~감나무재(시목재)
산행일 : 2014, 04, 27 일요일
산행시간 : 10시간 18분 (점심, 휴식포함)
산행한 사람 : 김동혁, 거인산악회
진혁진님의 산행정보에서(누르면 확대됩니다)
청광님의 지도에서(마우스 누르면 확대됩니다)
첫전째 413m봉을 오를때 청광님은 약간 우회(마루금은 아닙니다) 마지막 2번국도로 돌아간 모습의 지도
% 산행정리 %
04:37 한치재 출발
895번 지방도 삼수마을 표지석을 건너좌측 전봇대 있는곳에서 산으로 들어갑니다
능선으로 오르다 조금후 좌측으로 잡풀이 많은 수레길 을 따라 진행하다 오르면
넓은 밭이 나오고 밭 좌측으로 오릅니다
04:48 좌측으로 진원박씨묘를 보며 진행합니다
04:51 소나무 식재해 놓은곳을 조심스럽게 지납니다
05:00~05:23 야간인데다 산을 개간 해 놓아 능선 분간 하기가 어렵습니다
권대장님과 상의 하고 413m봉(길쭉한 송신타워)을 향해 우측 임도 방향으로
50m정도 진행하다 능선으로 오르니 정맥길을 바로 만나고 급경사를 오릅니다
빗방울이 조금씩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05:23 (길쭉한 송신타워)봉을 바라보며 원정맥길을 오릅니다
05:27 뒤 돌아 보는 삼수마을은 우리네의 농촌과 같이 아침 일찍 하나, 둘 불이 켜집니다
05:36~05:43 413m봉
어떤 분들은 이곳이 아미봉(나의 생각)이라 표기 했고, 또 다른 분들은 626m봉 가기전을
아미봉이라 했는데 확실치 않아 413m봉이라 하겠습니다
참고로 서래야 박건석님은 이곳을 아미봉이라 했습니다
좌측 능선에서 오는길을 만나고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05:55 회령삼거리
이정표 ↑ 일림산정상 2.7 Km, ← 회령다원 1 km, ↓ 한치재주차장 1.7 Km
06:00 헬기장
06:09 초가 정자가 있고 우측으로 매남골 가는길입니다
06:19 밧줄 암릉구간
06:27 아미봉 표식이 있던곳
06:32 삼각점이 있는 626m봉 정상
좌측에 삼각점이 있는데 사진 찍다 무심코 지나침
06:33~06:40 626m봉 헬기장
헬기장(09-2-56), 전망대가 있고, 옛 지도상의 일림산입니다
이정표 ↑ 일림산정상 1.5 Km, 골치 3.2 km, ↓ 한치재 3.7 Km, → 용추폭포주차장 2.7 km
우측으로는 용추폭포주차장 가는길입니다
06:41 또 다른 헬기장
06:50 세번째 헬기장
이정표 ↑ 일림산정상 2.0 Km, ←회령리 2.5 Km, ↓ 용추폭포주차장 3.2 km
환상적인 일림산 철쭉밭을 지납니다
06:58 보성강 발원지 사거리
이정표 ↑ 일림산정상 0.8 Km, 제암산정상 9.6 km, ↓ 한치재 4.1 Km, ←회천 봉서동 3.1 Km,
→ 용추계곡 2.2 km, 발원지 0.2 km
보성강 발원지가 우측 200m밖에 되지 않지만 날씨가 좋지 않아 다녀 오지 않고 일림산 방향으로 직진합니다
07:03 전망대
07:11 봉수대 삼거리
이정표 ↑ 일림산정상 0.3 Km, 제암산정상 9.1 km, ↓ 한치재 4.6 Km, 발원지 0.7 km, ← 봉수대 3.1 Km
좌측으로 봉수대 3.1 km 입니다
07:12 정상삼거리 1
이정표 ↑ 일림산정상 0.2 Km, ↓ 한치재 4.7 Km, 발원지 0.8 km, → 사자산 5.2 km, 제암산 9.1 km
우측으로 사자산, 제암산 가는 방향 표지가 되어 있지만, 일림산을 들르지 않고 바로 가기에
직진하여 일림산정상으로 향합니다
07:17~07:23 일림산(667.5m)
정상석과 삼각점(회천 21), 회천중학교에서 만들어 놓은 방위표지판, 김해김씨 합장묘지가 있습니다
호남정맥의 아름다움을 간직 하도록 전망이 매우 좋습니다
07:26 정상삼거리 2
이정표 ↓ 일림산정상 0.15 Km, → 한치재 5.1 Km, 발원지 1.0 km, ← 사자산 5.1 km, 제암산 9.0 km
정상삼거리 1에서 일림산을 들르지 않고 우측에서 오는길과 만나며, 좌측 사자산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07:29 갈대밭 사이를 지납니다
07:31~08:19 안부, 아침및 휴식
08:22 큰봉우리(골치산) 623m
이정표 ↓ 일림산정상 06 Km, ← 제암산 자연휴양림 8.05 km, 골치재 1.45 km, ↑ 일림산임도 0.3 Km
선답자들의 산행기에는 작은봉을 골치산으로 기록해 놓았는데 이곳 이정표에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좌측 골치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08:27 작은봉
서래야 박건석님의 골치산 표지기가 있던곳입니다
이정표 ↑ 골치재 1.1 km, 제암산 8.5 km, ↓ 일림산정상 1.0 Km, 한치재 5.7 Km
08:35 초가지붕 정자와 밴치 있는곳
08:39 골치재사거리
이정표 ↑ 제암산 7.5 km, 사자산 3.4 km, ↓ 한치재 6.5 Km, 일림산 1.8 km, ← 장흥.안양
→ 용추계곡 1.4 km, 일림산임도 0.1 Km
09:00 은신봉
우측으로 우회합니다
09:08 무지기재
초가지붕 정자와 밴치가 있습니다
09:33 제암산휴양림 갈림길
초가지붕 정자와 넓은 안부이며 사자산 오름의 시작입니다
이정표 ↑ 사자산 0.7 km, 제암산 4.6 km, ↓ 일림산 4.4 km, → 제암산휴양림 임도 1 km
09:48 너덜길을 오릅니다
09:51 나무계단
우측 나무계단으로 갈수 있으나 좌측 바위길로 오릅니다
09:54 나무계단 올라 오는곳과 만납니다
이정표 ↑ 사자산(미봉) 0.2 km, 제암산 3.6 km, ↓ 삼비산 4.8 km
뒤돌아 보는 안량면과 득량만이 잘 조화를 이룹니다
10:00 사자산(660m, 미봉, 간제봉)
좌측으로 사자산 두봉이 2 km 이고 멀리 가야할 길에 보이는 제암산이 3.7 km 입니다
작은 정상석이 있습니다
전망데크가 있는곳으로 내려갑니다 전방 우측으로는 제암산 휴양림이 보입니다
10:20~10:35 휴식
10:39 간재
이정표 ↑ 갑낭재 8.2 km, 제암산 3.0 km, ↓ 삼비산 5.7 km, 사자산(미봉) 0.7 km,
←제암산주차장 공설공원묘지 3.0 km
좌측으로 제암산주차장 공설공원묘지 3.0 km 입니다
10:46 암봉
바로 올라 지납니다
암봉 뒤로 곰재산까지의 철쭉이 장관입니다
10:59 곰재산(628.8m)
제암산 철쭉평원이라 새겨진 표지석이 있고, 아래쪽에 철쭉제단과 헬기장 1이 있습니다
이정표 ↑ 갑낭재 7.7 km, 제암산 2.5 km, ↓ 삼비산 6.2 km, 사자산(미봉) 1.2 km
11:04 헬기장 2
11:05 헬기장 3
11:07 헬기장 4
11:08 철쭉평원(요강바위 갈림길)
좌측으로 요강바위 0.2 km, 망경굴 0.1 km 거리에 있습니다
또한 금산저수지와 장흥읍 금산리도 평화롭게 보입니다
11:18 곰재
좌측으로 장흥군 공설묘지로 내려가고 우측으로는 제암산휴양림에서 올라오는 산객들이 많습니다
이정표가 2개 있는데 거리가 100m씩 틀립니다
이정표 ↑ 갑낭재 6.7 km, 제암산 1.5 km, ↓ 삼비산 7.2 km, 사자산(미봉) 2.2 km
11:35 형제바위
오르는 등로 좌측으로 "가난한 형제가 나물을뜯으러 갔다가
떨어져 죽어 바위가 되었다"는 형제바위가 보입니다
11:51 제암산 돌탑봉(785.6m)
12:01 헬기장(779m)
12:03 장동하산, 산동마을 갈림길
좌측은 장동하산, 산동마을로 내려 가는길이고,
직진하여 갑낭재 방향으로 제암산 정상석이 있는 임금바위를 향해 갑니다
12:09~12:12 제암산 임금바위(806.2m)
비바람이 몰아 치고 안개가 끼어, 일행 2명과 함께 조심스럽게 오르내렸습니다
정상에는 정상석과 제암산 표지석이 있습니다
제암산은 전남 장흥군과 보성군의 경계를 이루면서 임금 帝자 모양의 3층 형태로 우뚝 솟아 있는데
수십명이 앉을수있는 평평한 바위를 향해 주위의 바위와 봉우리들이 절을 하는 형상을 하여
임금바위(제암)산이라 불리는데 호남 5대 명산(천관산, 월출산, 무등산, 팔영산, 제암산)중의 하나입니다
12:25 입석바위(선바위)와 그 좌측 뒤로 병풍바위가 보입니다
12:30 병풍바위를 뒤돌아 봅니다
12:31 휴양림 삼거리
이정표 ↓ 일림산 9.0 km, 제암산 0.3 km, → 휴양림 2.0 km
12:36 760m봉(병풍바위 갈림길 )
작은 전망데크가 있고 어느 산악회인지 빗물에 밥을 말아 먹고 있습니다
이정표 ↑ 작은산 1.4 km, ↓ 정상-제암바위 0.8 km
12:45 권종웅 불망비
바위에 초록색의 불망비가 밖혀 있습니다
760m봉과 권종웅 불망비는 카메라 밧데리 관계로 사진이 날아가고 이후 스마트폰으로 대신합니다
12:50~13~10 불망비 지나서 시루봉 가기전 휴식
13:13 시루봉
13:26 헬기장
13:31 작은산(687.3m)
이정표상에는 큰산으로 되어 있습니다
13:39 망바위(600m)
망바위에서 비가 많이 와 전망이 흐리게 보입니다
13:45 536m봉
13:55 No.30 송전탑
14:03 소공원
임도따라 약간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14:13 *** 주의 *** 임도에서 우측 소로길 리본(제암산 산행하는 사람들이 붙여 놓은곳))이
달려 있는곳으로 진행한 일행을 찿으러 내려갑니다
10분이면 내려 갈길을 우측으로 돌아 내려갑니다
14:15 우측에 철조망이 쳐진곳을 지납니다
*** 주의 *** 철조망이 있는곳을 만나면 뒤돌아 가 넓은 임도길로 내려 가면 됩니다
14:22 대나무 밭을 지나 우측에 저수지가 있는 민가로 나옵니다
일행들은 도로를 따라 소공원을 지나고 새로난 2번국도를 지나
2번 구도로를 지나 좌측으로 도로 따라 진행했고 또 다른 남겨진 일행들과
감나무재를 향해 진행합니다
14:30 작은 소공원
작은 소공원과 주차장이 있습니다
소공원을 지나 새로난 2번국도 아래 차도를 건너고 2번 구도로에서 좌측으로 오릅니다
14:53 감나무재(시목재)
순천과 목포를 연결하는 구 2번 국도입니다
04:37 한치재 출발
895번 지방도 삼수마을 표지석을 건너좌측 전봇대 있는곳에서 산으로 들어갑니다
능선으로 오르다 조금후 좌측으로 잡풀이 많은 수레길 을 따라 진행하다 오르면
넓은 밭이 나오고 밭 좌측으로 오릅니다
반사경 좌측 전봇대 바로 우측으로 오릅니다
04:48 좌측으로 진원박씨묘를 보며 진행합니다
04:51 소나무 식재해 놓은곳을 조심스럽게 지납니다
05:00~05:23 야간인데다 산을 개간 해 놓아 능선 분간 하기가 어렵습니다
권대장님과 상의 하고 413m봉(길쭉한 송신타워)을 향해 우측 임도 방향으로
50m정도 진행하다 능선으로 오르니 정맥길을 바로 만나고 급경사를 오릅니다
빗방울이 조금씩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05:23 (길쭉한 송신타워)봉을 바라보며 원정맥길을 오릅니다
05:27 뒤 돌아 보는 삼수마을은 우리네의 농촌과 같이 아침 일찍 하나, 둘 불이 켜집니다
05:36~05:43 413m봉
어떤 분들은 이곳이 아미봉(나의 생각)이라 표기 했고, 또 다른 분들은 626m봉 가기전을
아미봉이라 했는데 확실치 않아 413m봉이라 하겠습니다
참고로 서래야 박건석님은 이곳을 아미봉이라 했습니다
좌측 능선에서 오는길을 만나고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05:55 회령삼거리
이정표 ↑ 일림산정상 2.7 Km, ← 회령다원 1 km, ↓ 한치재주차장 1.7 Km
능선 좌측으로보성 봉강리, 회령리와 득량만
06:00 헬기장
06:09 초가 정자가 있고 우측으로 매남골 가는길입니다
06:19 밧줄 암릉구간
06:27 아미봉 표식이 있던곳
06:32 삼각점이 있는 626m봉 정상
좌측에 삼각점이 있는데 사진 찍다 무심코 지나침
06:33~06:40 626m봉 헬기장
헬기장(09-2-56), 전망대가 있고, 옛 지도상의 일림산입니다
이정표 ↑ 일림산정상 1.5 Km, 골치 3.2 km, ↓ 한치재 3.7 Km, → 용추폭포주차장 2.7 km
우측으로는 용추폭포주차장 가는길입니다
06:41 또 다른 헬기장
06:50 세번째 헬기장
이정표 ↑ 일림산정상 2.0 Km, ←회령리 2.5 Km, ↓ 용추폭포주차장 3.2 km
환상적인 일림산 철쭉밭을 지납니다
06:58 보성강 발원지 사거리
이정표 ↑ 일림산정상 0.8 Km, 제암산정상 9.6 km, ↓ 한치재 4.1 Km, ←회천 봉서동 3.1 Km,
→ 용추계곡 2.2 km, 발원지 0.2 km
보성강 발원지가 우측 200m밖에 되지 않지만 날씨가 좋지 않아 다녀 오지 않고 일림산 방향으로 직진합니다
보성 득량만과 봉강리
07:01 보성강발원지 사거리를 지나 일림산으로 가는중 바라 보는 일림산 방향
07:03 전망대
전망대에서 바라 보는 일림산
전망대에서 바라 보는 일림산
전망대에서 바라 보는 가야 할 제암산 방향
일림산을 조금 당겨 보고
07:11 봉수대 삼거리
이정표 ↑ 일림산정상 0.3 Km, 제암산정상 9.1 km, ↓ 한치재 4.6 Km, 발원지 0.7 km, ← 봉수대 3.1 Km
좌측으로 봉수대 3.1 km 입니다
07:12 정상삼거리 1
이정표 ↑ 일림산정상 0.2 Km, ↓ 한치재 4.7 Km, 발원지 0.8 km, → 사자산 5.2 km, 제암산 9.1 km
우측으로 사자산, 제암산 가는 방향 표지가 되어 있지만, 일림산을 들르지 않고 바로 가기에
직진하여 일림산정상으로 향합니다
07:17~07:23 일림산(667.5m)
정상석과 삼각점(회천 21), 회천중학교에서 만들어 놓은 방위표지판, 김해김씨 합장묘지가 있습니다
호남정맥의 아름다움을 간직 하도록 전망이 매우 좋습니다
07:26 정상삼거리 2
이정표 ↓ 일림산정상 0.15 Km, → 한치재 5.1 Km, 발원지 1.0 km, ← 사자산 5.1 km, 제암산 9.0 km
정상삼거리 1에서 일림산을 들르지 않고 우측에서 오는길과 만나며, 좌측 사자산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07:29 갈대밭 사이를 지납니다
07:31~08:19 안부, 아침및 휴식
08:22 큰봉우리(골치산) 623m
이정표 ↓ 일림산정상 06 Km, ← 제암산 자연휴양림 8.05 km, 골치재 1.45 km, ↑ 일림산임도 0.3 Km
선답자들의 산행기에는 작은봉을 골치산으로 기록해 놓았는데 이곳 이정표에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좌측 골치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08:27 작은봉
서래야 박건석님의 골치산 표지기가 있던곳입니다
이정표 ↑ 골치재 1.1 km, 제암산 8.5 km, ↓ 일림산정상 1.0 Km, 한치재 5.7 Km
08:35 초가지붕 정자와 밴치 있는곳
08:39 골치재사거리
이정표 ↑ 제암산 7.5 km, 사자산 3.4 km, ↓ 한치재 6.5 Km, 일림산 1.8 km, ← 장흥.안양
→ 용추계곡 1.4 km, 일림산임도 0.1 Km
09:00 은신봉
우측으로 우회합니다
09:08 무지기재
초가지붕 정자와 밴치가 있습니다
09:33 제암산휴양림 갈림길
초가지붕 정자와 넓은 안부이며 사자산 오름의 시작입니다
이정표 ↑ 사자산 0.7 km, 제암산 4.6 km, ↓ 일림산 4.4 km, → 제암산휴양림 임도 1 km
사자산(미봉)
사자산을 오르며 뒤돌아 보는 은신봉에서 보성 득량만으로 이어 지는 산줄기
09:48 너덜길을 오릅니다
09:51 나무계단
우측 나무계단으로 갈수 있으나 좌측 바위길로 오릅니다
바위에 올라 바라 보는 안량면과 득량만 1
바위에 올라 바라 보는 사자산(두봉)
09:54 나무계단 올라 오는곳과 만납니다
이정표 ↑ 사자산(미봉) 0.2 km, 제암산 3.6 km, ↓ 삼비산 4.8 km
뒤돌아 보는 안량면과 득량만이 잘 조화를 이룹니다
또 다른 바위에 올라 바라 보는 안량면과 득량만 2
사자산(두봉)
사자산 우측의 전망데크와 제암산 휴양림
10:00 사자산(660m, 미봉, 간제봉)
좌측으로 사자산 두봉이 2 km 이고 멀리 가야할 길에 보이는 제암산이 3.7 km 입니다
작은 정상석이 있습니다
전망데크가 있는곳으로 내려갑니다 전방 우측으로는 제암산 휴양림이 보입니다
10:20~10:35 휴식
10:39 간재
이정표 ↑ 갑낭재 8.2 km, 제암산 3.0 km, ↓ 삼비산 5.7 km, 사자산(미봉) 0.7 km,
←제암산주차장 공설공원묘지 3.0 km
좌측으로 제암산주차장 공설공원묘지 3.0 km 입니다
뒤 동아 보는 사자산 좌측 미봉에서 우측 두봉(머리)
10:46 암봉
바로 올라 지납니다
암봉 뒤로 곰재산까지의 철쭉이 장관입니다
10:59 곰재산(628.8m)
제암산 철쭉평원이라 새겨진 표지석이 있고, 아래쪽에 철쭉제단과 헬기장 1이 있습니다
이정표 ↑ 갑낭재 7.7 km, 제암산 2.5 km, ↓ 삼비산 6.2 km, 사자산(미봉) 1.2 km
11:04 헬기장 2
11:05 헬기장 3
11:07 헬기장 4
11:08 철쭉평원(요강바위 갈림길)
좌측으로 요강바위 0.2 km, 망경굴 0.1 km 거리에 있습니다
또한 금산저수지와 장흥읍 금산리도 평화롭게 보입니다
뒤 돌아 보는 곰재산
망경굴 좌측으로 보이는 금산저수지와 장흥읍 금산리
가야 할 제암산
11:18 곰재
좌측으로 장흥군 공설묘지로 내려가고 우측으로는 제암산휴양림에서 올라오는 산객들이 많습니다
이정표가 2개 있는데 거리가 100m씩 틀립니다
이정표 ↑ 갑낭재 6.7 km, 제암산 1.5 km, ↓ 삼비산 7.2 km, 사자산(미봉) 2.2 km
11:35 형제바위
오르는 등로 좌측으로 "가난한 형제가 나물을뜯으러 갔다가
떨어져 죽어 바위가 되었다"는 형제바위가 보입니다
11:51 제암산 돌탑봉(785.6m)
가야 할 제암산은 비구름에 덮히고
할미꽃
12:01 헬기장(779m)
비구름이 몰려오고 비는 내리기 시작합니다
임금바위(제암산)
12:03 장동하산, 산동마을 갈림길
좌측은 장동하산, 산동마을로 내려 가는길이고,
직진하여 갑낭재 방향으로 제암산 정상석이 있는 임금바위를 향해 갑니다
12:09~12:12 제암산 임금바위(806.2m)
비바람이 몰아 치고 안개가 끼어, 일행 2명과 함께 조심스럽게 오르내렸습니다
정상에는 정상석과 제암산 표지석이 있습니다
제암산은 전남 장흥군과 보성군의 경계를 이루면서 임금 帝자 모양의 3층 형태로 우뚝 솟아 있는데
수십명이 앉을수있는 평평한 바위를 향해 주위의 바위와 봉우리들이 절을 하는 형상을 하여
임금바위(제암)산이라 불리는데 호남 5대 명산(천관산, 월출산, 무등산, 팔영산, 제암산)중의 하나입니다
12:25 입석바위(선바위)와 그 좌측 뒤로 병풍바위가 보입니다
12:30 병풍바위를 뒤돌아 봅니다
12:31 휴양림 삼거리
이정표 ↓ 일림산 9.0 km, 제암산 0.3 km, → 휴양림 2.0 km
12:36 760m봉(병풍바위 갈림길 )
작은 전망데크가 있고 어느 산악회인지 빗물에 밥을 말아 먹고 있습니다
이정표 ↑ 작은산 1.4 km, ↓ 정상-제암바위 0.8 km
12:45 권종웅 불망비
바위에 초록색의 불망비가 밖혀 있습니다
760m봉과 권종웅 불망비는 카메라 밧데리 관계로 사진이 날아가고 이후 스마트폰으로 대신합니다
12:50~13~10 불망비 지나서 시루봉 가기전 휴식
13:13 시루봉(656.7m봉)
13:26 헬기장
13:31 작은산(687.3m)
이정표상에는 큰산으로 되어 있습니다
13:39 망바위(600m)
망바위에서 비가 많이 와 전망이 흐리게 보입니다
13:45 536m봉
13:55 No.30 송전탑
14:03 소공원
임도따라 약간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14:13 *** 주의 *** 임도에서 우측 소로길 리본(제암산 산행하는 사람들이 붙여 놓은곳))이
달려 있는곳으로 진행한 일행을 찿으러 내려갑니다 마루금은 직진해야 합니다
10분이면 내려 갈길을 우측으로 일행들을 따라 돌아 내려갑니다
14:15 우측에 철조망이 쳐진곳을 지납니다
*** 주의 *** 철조망이 있는곳을 만나면 뒤돌아 가 넓은 임도길로 내려 가면 됩니다
14:22 대나무 밭을 지나 우측에 저수지가 있는 민가로 나옵니다
일행들은 도로를 따라 소공원을 지나고 새로난 2번국도를 지나
2번 구도로를 지나 좌측으로 도로 따라 진행했고 또 다른 남겨진 일행들과
감나무재를 향해 진행합니다
14:30 작은 소공원
작은 소공원과 주차장이 있습니다
소공원을 지나 새로난 2번국도 아래 차도를 건너고 2번 구도로에서 좌측으로 오릅니다
14:53 감나무재(시목재)
함께 산행 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출처 : 김 동혁의 산행일지글쓴이 : 김동혁 원글보기메모 :'호남정맥(완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호남정맥 11구간 장고목재~큰덕골재 (0) 2014.06.04 [스크랩] 호남정맥 10구간 감나무재(시목치)~장고목재 (0) 2014.05.30 [스크랩] 호남정맥 8구간 오도재~한치 (0) 2014.04.20 [스크랩] 호남정맥 7구간 석거리재~오도재 (0) 2014.04.14 [스크랩] 호남정맥 6구간 석거리재~큰굴목재~송광사 (0) 2014.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