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크랩] 호남정맥 13구간 개기재~서밧재
    호남정맥(완주) 2014. 6. 27. 14:44

     

     

     

    두봉산(모든 사진 누르면 확대됩니다. 필요 하신분 확대해서 보관하세요)

     

    두봉산에서 일출과 안개

     

    촛대봉

     

    매봉

     

    성재봉

     

    노인봉

     

    태악산

     

    천운산

     

    천운산 제2봉

     

    천운산을 내려오며 송전탑을 지나 광주학생교육원, 서밧재

     

    광주학생교육원을 지나 바라보는 서밧재

     

    돗재를 지나 천운산을 오르며 우측의 반곡리

     

    노인봉을 지나 전망바위에서 가야할 마루금과 우측의 반곡리

     

     

     

     

    2014년  6월22일 일요일

    개기재에서 시작하여 돗재를 지나 서밧재까지 진행합니다

    조금 긴 구간이고 습도가 많아 땀도 많이 흘렸고 걱정이 되었으나 모두들 무사히 마치게 되었습니다

    지난 구간 가시덩굴에 고생을 했으나 이번 구간은 그 나마 조금 나았습니다

     

     

     

     산행지 :  개기재~△471.5m봉~534.3m봉~598m봉(장재봉 갈림길)~△두봉산(630.5m)~촛대봉(526.5m)

                   ~460.3m봉~말머리재~매봉(430m)~성재봉(513.5m)~△노인봉(530m)~전망바위~태악산(524m)

                   ~457.9m봉~돗재~512m봉~△천운산(604.7m)~천운산 제2봉(570.8m)~제1 쉼터~No.276 송전탑

                   ~광주학생교육원~서밧재

     

     

    산행일 : 2014, 06, 22  일요일

     

     

    산행시간 :  12시간 30분 (점심, 휴식포함)

                    

     

    산행한 사람 : 김동혁, 거인산악회

     

     

    진혁진님의 산행정보에서(누르면 확대됩니다)

     

     

    청광님의 지도에서

     

     

     

     

          % 산행정리 %

    03:55  개기재출발

              지난구간 내려온 곳에서 우측으로 도로를 따라 조금 올라가 전봇대 있는곳에서

              좌측으로 비스듬히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04:27  471.5m봉(진혁진님의 개념도에 468.6m봉)

              좌측 풀숲에 삼각점이 있고 급하게 내려갑니다

              이곳에서 삼각점을 찍고 카메라가 고장이 나서 이후 사진은 스마트폰으로 대신합니다

    04:45  가족 묘지 

    04:55  작은 봉우리

    04:59~05:04  534.3m봉

    05:26  598m봉

              큰 웅덩이가 있는 봉우리이고 우측으로는 장재봉을 지나 말봉산으로 가고,

              마루금은 좌측으로 이어집니다

    05:31  폐 헬기장

    05:48  두봉산(630.5m)

              삼각점이 있습니다

     

    06:20  암릉을 지나 오릅니다

    06:34  촛대봉(526.5m)

    07:23  460.3m봉

    07:32~08:12  아침

    08:34  말머리재

    08:50  매봉(430m)

    09:12  옛고개

    09:31  성재봉(513.5m)

    09:38  좌측으로 휘어지는 봉에 있는 말뚝(전방 185)

              옛날 탄광이 있던곳의 표시인듯 합니다

    09:50  가야할 노인봉이 보입니다

    10:07  노인봉을 오르기전 바위들을 자주 봅니다

    10:09  노인봉(530m)

              삼각점이 있습니다

     

    10:41  전망 바위

    10:48  우측으로 철조망이 있는곳

    11:15  돌탑이 있는곳

    11:32~11:47  태악산(524m)

              태악산은 예전에 태자봉으로도 불렸으며 신선이 장구치며 놀던곳으로 大樂山으로도 불렸습니다

    12:12  광업소가  있었던 표식(대한광업진흥공사)

    12:15  457.9m봉

              우측으로 꺽어져 내려갑니다

    12:32  바위들이 있는 능선을 오릅니다  

    12:50  바위가 있는 마지막 봉우리

    13:06  돗재(돈치)

              화순군 한천면의 822번 지방도가 지나는 고갯마루이며,

              천운산의 산세가 암돼지가 누워서 7마리의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형국이라 하여 천운산의 중턱재를 

              돝재("돝"은 옛말로 돼지입니다)라 하였는데 이것이 돗재로 변했습니다 

              한천자연휴양림 우측으로 오릅니다

     

    13:20  팔각정

              이정표  ↑ 정상 1.8 km, ← 주차장 0.4 km, ↓ 주차장 0.4 km

    13:45  512m봉

    13:51  능선삼거리(갈림길 이정표)

              이정표  ↑ 정상 0.5 km, ← 한천휴양림 1.2 km, ↓ 팔각정 1.0 km

    14:15  천운산 갈림길

              직진 하면 10여m 앞에 천운산 군부대 송신안테나가 보입니다

              마루금은 이곳으로 되 돌아와 광주학생교육원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이정표  ↑ 동면 운농리 2.3 km, → 광주학생교육원 3.6 km, ↓ 한천휴양림 1.7 km

    14:16~14:27  천운산(604.7m)

              구름위에 높이 솟았다 하여 이름 붙여진 천운산

              군부대 송싱안테나가 세워져 있고, 좌측으로 뒤로 돌아 가면 정상석이 있으며

              삼각점은 정상석 우측의 개복숭아 나무 밑에 있습니다

    15:05~05:23  천운산 제2봉(570.8m)

     

    15:34  돌탑

    15:39  제1쉼터

              벤치가 있습니다

    15:53  대한광업진흥공사 표지석

    15:53  호남정맥 중간지점 표지

    15:54  No.276 송전탑

    15:57  갈림길

              마루금은 좌측으로 올라 갔다 정상에서 우측으로 내려 가지만 맨 뒤에 있는 관계로 우측 임도로 갑니다

    16:02  정상으로 올라 갔다 내려 오는곳과 만납니다

    16:04  광주학생교육원 A동을 지나 이정표가 보이는곳에서 임도따라 직진합니다

    06:06  임도 갈림길

              좌측으로 가는 임도를 버리고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16:09  서밧재가 내려 다 보입니다

    16:24  서밧재

              서밧재는 화순군 동면과 서면을 이어주는 고개로 15번 국도이고 4차선입니다

              원래 이름은 섶밭재이고 고개를 오르내릴때 보이는 형상이 "누에섶"(누에가 올라가 고치를 짓도록

              마련한 짚이나 잎나무)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버스가 좌측 건널목에 있다 하여 좌측으로 진행하여 건널목을 건너고

              오늘의 산행을 마무리 합니다

     

     

     

    03:55  개기재출발

              지난구간 내려온 곳에서 우측으로 도로를 따라 조금 올라가 전봇대 있는곳에서

              좌측으로 비스듬히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04:27  471.5m봉(진혁진님의 개념도에 468.6m봉)

              좌측 풀숲에 삼각점이 있고 급하게 내려갑니다

              이곳에서 삼각점을 찍고 카메라가 고장이 나서 이후 사진은 스마트폰으로 대신합니다

     

    04:45  가족 묘지

     

    04:55  작은 봉우리

      

    04:59~05:04  534.3m봉

     

    05:26  598m봉

              큰 웅덩이가 있는 봉우리이고 우측으로는 장재봉을 지나 말봉산으로 가고,

              마루금은 좌측으로 이어집니다

     

    05:31  폐 헬기장

     

    05:48  두봉산(630.5m)

              삼각점이 있습니다

     

     

    뒤돌아 보는 일출과 안개

     

     

     

    06:20  암릉을 지나 오릅니다

     

    06:34  촛대봉(526.5m)

     

    07:23  460.3m봉

     

     

    07:32~08:12  아침

     

    08:34  말머리재

     

     

    08:50  매봉(430m)

     

     

    09:12  옛고개

     

    09:31  성재봉(513.5m)

     

    09:38  좌측으로 휘어지는 봉에 있는 말뚝

              옛날 탄광이 있던곳의 표시인듯 합니다

     

    09:50  가야할 노인봉이 보입니다

     

    10:07  노인봉을 오르기전 바위들을 자주 봅니다

     

    10:09  노인봉(530m)

              삼각점이 있습니다

     

     

     

     

    10:41  전망 바위

     

     전망바위에서 우측으로 보이는 598m봉에서 갈라져 장재봉, 말봉산으로 이어지는 능선들

     

    10:43  전망바위를 조금 지나 뾰족히 보이는 가야할 태악산과 우측의 반곡리

     

     

     

     

     

    10:48  우측으로 철조망이 있는곳

     

    11:00  태악산이 가까이 보입니다

     

    11:15  돌탑이 있는곳

     

     

    11:32~11:47  태악산(524m)

              태악산은 예전에 태자봉으로도 불렸으며 신선이 장구치며 놀던곳으로 大樂山으로도 불렸습니다

     

     

     

     

    잎위에 꽃 백두대간 당시의 아래 사진과 비슷하네요

     

     

    2005년 백두대간중 추풍령으로 내려 오기전 보았던 잎위에 꽃

     

    11:52  태악산을 내려가며 우측으로 벌목을 해 놓은곳과 좌측으로 보이는 천운산

     

     

    12:12  광업소가  있었던 표식(대한광업진흥공사)

     

    12:15  457.9m봉

              우측으로 꺽어져 내려갑니다

     

     

    12:32  바위들이 있는 능선을 오릅니다  

     

    12:50  바위가 있는 마지막 봉우리

     

    13:06  돗재(돈치)

              화순군 한천면의 822번 지방도가 지나는 고갯마루이며,

              천운산의 산세가 암돼지가 누워서 7마리의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형국이라 하여 천운산의 중턱재를 

              돝재("돝"은 옛말로 돼지입니다)라 하였는데 이것이 돗재로 변했습니다 

              한천자연휴양림 우측으로 오릅니다

     

     

    13:17  팔각정 가기전 뒤 돌아 보는 지나온 마루금

     

    13:20  팔각정

              이정표  ↑ 정상 1.8 km, ← 주차장 0.4 km, ↓ 주차장 0.4 km

     

     

     

    13:26  돗재를 지나 천운산을 오르며 우측의 반곡리

     

     

     

     

     

    13:45  512m봉

     

    13:51  능선삼거리(갈림길 이정표)

              이정표  ↑ 정상 0.5 km, ← 한천휴양림 1.2 km, ↓ 팔각정 1.0 km

     

     

     

    14:15  천운산 갈림길

              직진 하면 10여m 앞에 천운산 군부대 송신안테나가 보입니다

              마루금은 이곳으로 되 돌아와 광주학생교육원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이정표  ↑ 동면 운농리 2.3 km, → 광주학생교육원 3.6 km, ↓ 한천휴양림 1.7 km

     

    14:16~14:27  천운산(604.7m)

              구름위에 높이 솟았다 하여 이름 붙여진 천운산

              군부대 송싱안테나가 세워져 있고, 좌측으로 뒤로 돌아 가면 정상석이 있으며

              삼각점은 정상석 우측의 개복숭아 나무 밑에 있습니다

     

     

     

     

     

     

     

     

     

    15:05~05:23  천운산 제2봉(570.8m)

     

     

    15:30  송신탑을 지나 광주학생교육원, 서밧재가 보입니다

     

    15:34  돌탑

     

    15:39  제1쉼터

              벤치가 있습니다

     

     

    15:53  대한광업진흥공사 표지석

     

    15:53  호남정맥 중간지점 표지

     

    15:54  No.276 송전탑

     

     

    15:57  갈림길

              마루금은 좌측으로 올라 갔다 정상에서 우측으로 내려 가지만 맨 뒤에 있는 관계로 우측 임도로 갑니다

     

    16:02  정상으로 올라 갔다 내려 오는곳과 만납니다

     

     

    16:04  광주학생교육원 A동을 지나 이정표가 보이는곳에서 임도따라 직진합니다

     

    06:06  임도 갈림길

              좌측으로 가는 임도를 버리고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16:09  서밧재가 내려 다 보입니다

     

    16:18  우측으로 내려가 지하도를 건너고 문성석재 우측 절개지 위를 지나 묘지에서 좌측 능선으로 오르게 됩니다 

     

    16:24  서밧재

              서밧재는 화순군 동면과 서면을 이어주는 고개로 15번 국도이고 4차선입니다

              원래 이름은 섶밭재이고 고개를 오르내릴때 보이는 형상이 "누에섶"(누에가 올라가 고치를 짓도록

              마련한 짚이나 잎나무)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버스가 좌측 건널목에 있다 하여 좌측으로 진행하여 건널목을 건너고

              오늘의 산행을 마무리 합니다

     

    함께 산행 해 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출처 : 김 동혁의 산행일지
    글쓴이 : 김동혁 원글보기
    메모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