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크랩] 조선시대 4대지의 백두대간(지형표현)비교
    송아 김현숙/상담하자 2011. 12. 22. 20:19
    giant29   이 게시물의 주소를 복사합니다
    조선시대 4대지도의 백두대간(지형표현) 비교
     
       지도 상의 해안선을 제외한 굵은 선은 산경(산줄기)를 나타내고, 그 사이의 가는 선은  강이나 하천의 흐름을 나타낸다. 백두대간의 모습은 초기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서는 전체적인 윤곽만을 이해할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지금 우리들이 이해하고 있는 대간, 1정간, 13정맥의 모습이 선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정상기의 <조선전도>는 북방을 정확하게 그려낸 지도이고 그는 백리척을 도입하여 고산자 김정호가 등장하기까지 우리 나라의 지도 수준을 한단계 도약시켰다.

    참고 설명) 그림 중 오른쪽 윗 부분의 <조선방역지도>의 설명이 '1500연대의 양성지의 지도'라고 되어 있다. 양성지는 1415에 태어나서 1482년에 세상을 떠난 인물인데, 어떻게 이와 같은 설명이 나올 수 있었을까. 그 까닭은 다음과 같다. 양성지는 정척과 함께 1463년에 <동국지도(東國地圖)>를 만들었고, <조선방역지도>는 <동국지도> 유형의 지도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방역지도>가 1557년에 제작되었지만 그 속에는 양성지의 <동국지도>의 내용이 대체로 수록되어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이런 이유에서 '1500년대 양성지의 지도'라는 설명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자료 : '이우형, 오상학, 1999「정상기 동국지도의 구명-국립중앙박물관 「조선전도」를 중심으로」'을
    『우리 옛지도와 그 아름다움』 (한영우 외, 효형출판, 1999)에서 재인용.

    이 곳에 등장하는 지도에 대해 궁금한 이들은 '백두대간 이미지' 메뉴의 '옛지도의 이미지-조선전도'를 참고.  

     

     

        @ 1400년대 권근의 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1402년, 158.5 *       168.0 cm

        @ 1500년대 양성지의 지도
        <조선방역지도>, 1557년, 132 * 61cm

        @ 1750년대 정상기의 지도
        <조선전도>, 1757년, 271 * 139cm

         @ 1860년대의 김정호의 지도
          <대동여지도>, 1861년, 660 * 380cm

     
    출처 : 거인산악회.
    글쓴이 : 거인 원글보기
    메모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