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金剛般若波羅蜜經 제11강 이상적멸분 제14(1) 離相寂滅分 第十四 爾時에 須菩提가 聞說是經하사옵고 深解義趣하사 涕淚悲泣하사 而白佛言하사대 希有하니다 世尊이시여 佛說如是甚深經典은 我從昔來所得慧眼으로 未曾得聞如是之經이니다 世尊이시여 若復有人이 得聞是經하고 信心淸..
金剛般若波羅蜜經 제10강 여법수지분 제13 如法受持分 第十三 爾時에 須菩提가 白佛言하사대 世尊이시여 當何名此經이며 我等이 云何奉持하리잇고 佛告須菩提하사대 是經은 名爲金剛般若波羅蜜이니 以是名字로 汝當奉持하라 所以者何오 須菩提야 佛說般若波羅密이 卽非般若波羅密일..
金剛般若波羅蜜經 제9강 무위복승분 제11 無爲福勝分 第十一 須菩提야 如恒河中所有沙數하야 如是沙等恒河가 於意云何오 是諸恒河沙가 寧爲多不아 須菩提言하사대 甚多니이다 世尊이시여 但諸恒河도 尙多無數어든 何況其沙리잇가 須菩提야 我今實言으로 告汝하노니 若有善男子善女..
金剛般若波羅蜜經 제8 장엄정토분 제10 莊嚴淨土分 第十 佛告須菩提하사대 於意云何오 如來가 昔在燃燈佛所하야 於法에 有所得不아 不也니다 世尊이시여 如來가 在燃燈佛所하사 於法에 實無所得이니다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菩薩이 莊嚴佛土不아 不也니이다 世尊이시여 何以故오 莊嚴..
金剛般若波羅蜜經 제7강 일상무상분 제9 一相無相分 第九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須陀洹이 能作是念하대 我得須陀洹果不아 須菩提言하사대 不也니이다 世尊이시여 何以故오 須陀洹은 名爲入流로대 而無所入이니 不入色聲香味觸法일새 是名須陀洹이니다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斯陀含이 ..
金剛般若波羅蜜經 제6강 무득무설분 제7 無得無說分 第七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如來가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耶아 如來가 有所說法耶아 須菩提言하사대 如我解佛所說義컨댄 無有定法名阿耨多羅三藐三菩提며 亦無有定法如來可說이니다 何以故오 如來所說法..
金剛般若波羅蜜經 제5강 정신희유분 제6 正信希有分 第六 須菩提가 白佛言하사대 世尊이시여 頗有衆生이 得聞如是言說章句하고 生實信不잇가 佛告須菩提하사대 莫作是說하라 如來滅後後五百歲에 有持戒修福者가 於此章句에 能生信心하야 以此爲實하리니 當知是人은 不於一佛二佛三..
金剛般若波羅蜜經 제4강 묘행무주분 제4 妙行無住分 第四 復次須菩提야 菩薩이 於法에 應無所住하야 行於布施니 所謂不住色布施며 不住聲香味觸法布施니라 須菩提야 菩薩이 應如是布施하야 不住於相이니 何以故오 若菩薩이 不住相布施하면 其福德을 不可思量이니라 須菩提야 於意云..
金剛般若波羅蜜經 제3강 선현기청분 제2 善現起請分 第二 時에 長老須菩提가 在大衆中이라가 卽從座起하사 偏袒右肩하시며 右膝著地하시고 合掌恭敬하사 而白佛言하사대 希有하시니다 世尊이시여 如來가 善護念諸菩薩하시며 善付囑諸菩薩하시나니 世尊이시여 善男子善女人이 發阿&a..
金剛般若波羅蜜經 제2강 경의 제목과 법회인유분 제1 法會因由分 第一 如是我聞하사오니 一時에 佛이 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하사 與大比丘衆千二百五十人으로 俱하시니라 爾時에 世尊이 食時에 著衣持鉢하시고 入舍衛大城하사 乞食하실새 於其城中에 次第乞已하시고 還至本處하사 飯..
金剛般若波羅蜜經 제1 法會因由分 제2 善現起請分 제3 大乘正宗分 제4 妙行無住分 제5 如理實見分 제6 正信希有分 제7 無得無說分 제8 依法出生分 제9 一相無相分 제10 莊嚴淨土分 제11 無爲福勝分 제12 尊重正敎分 제13 如法受持分 제14 離相寂滅分 제15 持經功德分 제16 能淨業障分 제17 究竟..
金剛般若波羅蜜經 제1강 금강경의 이해 소의경전 안녕하십니까. 저는 이시간 대한불교 조계종의 소의경전인 금강경을 가지고 25강에 걸쳐 강의를 할 무비스님입니다. 지금부터 금강경의 이해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금강경은 소의경전(所依經典)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소의경전이..
출처 : 염화실글쓴이 : 慧明華 원글보기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