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3) 잡류제신중의 이름과 덕행 <1> 집금강신 나, 덕행 2불교/화엄경 2014. 4. 29. 13:07
4, 화엄회상의 대중 (3) 잡류제신중의 이름과 덕행 <1> 집금강신 나, 덕행 2
積集無邊淸淨福業하며 於諸三昧所行之境을 悉已明達하니라
가없는 청정한 복업을 쌓았으며, 모든 삼매로서 행할 바의 경계를 다 이미 밝게 통달하였습니다.
강설 ; 다음의 두 가지는 가없는 청정한 복업(福業)을 쌓은 것과 삼매로서 행할 바의 경계를 밝게 통달한 것이다. 먼저 청정한 복업을 쌓는 것이란 불교가 지향하는 바다. 복에는 청복(淸福)이 있고 탁복(濁福)이 있다. 세속적 부귀공명을 누리는 것을 탁한 복이라고 한다면 인생의 참다운 가치관에 의하여 성인의 가르침대로 바르고 참된 이치를 배우고 그를 실천하는 인연을 청정한 복이라 한다. 화엄성중들이 이러한 청정한 복을 쌓았다는 것은 당연한 의무이리라. 화엄경을 공부하는 일은 청복 중에서 가장 훌륭한 청복이다.
삼매로서 행할 바의 경계를 밝게 통달하였다는 것은 사람이 하는 모든 일에는 그 일을 실천하기 전에 먼저 안정된 정신 상태를 유지하여 해야 할 일에 대해서 깊이 명상하고 사유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 부처님을 수호하는 화엄신장이 이와 같은 자세가 없다면 어찌 부처님을 바르게 수호할 수 있겠는가.
출처 : 염화실글쓴이 : 無比 원글보기메모 :'불교 > 화엄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3) 잡류제신중의 이름과 덕행 <1> 집금강신 나, 덕행 4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3) 잡류제신중의 이름과 덕행 <1> 집금강신 나, 덕행 3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3) 잡류제신중의 이름과 덕행 <1> 집금강신 나, 덕행 1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3) 잡류제신중의 이름과 덕행 <1> 집금강신 가, 이름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5> 이행무애(二行無礙) (0) 201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