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5> 이행무애(二行無礙)불교/화엄경 2014. 4. 29. 13:00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5> 이행무애(二行無礙)
一切如來의 功德大海가 咸入其身하고 一切諸佛의 所在國土에 皆隨願往하고 已曾供養一切諸佛하야 無邊際劫에 歡喜無倦하고 一切如來의 得菩提處에 常在其中하야 親近不捨하고 恒以所得普賢願海로 令一切衆生으로 智身具足케하야 成就如是無量功德하시니라
일체여래의 공덕의 큰 바다가 그 몸에 다 들어갔으며, 일체제불의 국토에 원력을 따라 다 가며, 이미 일찍이 일체제불에게 공양하여 가없는 겁 동안 환희하여 게름이 없으며, 일체 여래가 보리를 얻은 곳에 항상 있으면서 친근하며, 얻은바 보현행원으로 항상 일체중생들에게 지혜의 몸을 구족하게 하는 이와 같은 한량없는 공덕을 성취하였습니다.
강설 ; 화엄대법회에 동참한 모든 보살들의 수승한 덕을 찬탄하면서 끝으로 몇 가지를 더 열거하였다. 특히 “일체제불에게 공양하여 가없는 겁 동안 환희하여 게으름이 없다.”는 것은 모든 생명 모든 사람에게 언제나 부처님이라고 생각하는 마음이 변함이 없으며, 부처님으로 항상 공양올리고 환희하는 마음이 게으름이 없는 것이다. 보살의 덕목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사람에 대한 존중과 생명에 대한 존중하는 것이다. 존중하면 공양하고 찬탄하고 공경하여야 한다. 또한 보현행원으로 일체중생들에게 지혜의 몸을 구족하게 하는 것이야 말로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불교는 지혜의 종교다. 사람이 지혜를 갖춘다는 것은 마치 맹인이 눈을 뜨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화엄법회에 동참한 수많은 보살들은 위와 같은 덕행을 갖추고 있다. 앞으로 설해질 화엄경의 내용이 얼마나 높고 얼마나 깊으며 얼마나 광대한가를 짐작케 한다. 서양의 어떤 학자는 “인류 역사상에서 가장 큰 사건은 세존이 깨달음을 성취한 일이고, 인류가 남긴 가장 위대한 걸작품은 그 깨달음을 남김없이 표현한 화엄경이다.”라고 하였다.
출처 : 염화실글쓴이 : 無比 원글보기메모 :'불교 > 화엄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3) 잡류제신중의 이름과 덕행 <1> 집금강신 나, 덕행 1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3) 잡류제신중의 이름과 덕행 <1> 집금강신 가, 이름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4> 승진과행(勝進果行) 2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4> 승진과행(勝進果行) 1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3> 지위(地位) 3 (0) 201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