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3> 지위(地位) 3불교/화엄경 2014. 4. 29. 12:55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3> 지위(地位) 3
能隨方便하야 入於一地하야 而以一切호대 願海所持로 恒與智俱하야 盡未來際하시니라
능히 방편을 따라서 한 지위에 들어가서 일체지위를 함께 하되 원력의 유지하는 바로서 미래제가 다할 때까지 항상 지혜와 함께 하였습니다.
강설 ; 보살대중들의 수승한 덕 중에서 한 지위에서의 공덕에 들어가면 일체지위의 공덕을 다 포섭하게 되는 뜻을 밝혔다. 초발심시변정각(初發心時便正覺)이라는 법성게의 글이 있다. 처음 발심한 그 지위에 구경각의 공덕을 다 갖춘다는 뜻이다. 화엄의 도리는 언제나 무엇이나 일즉일체(一卽一切)다. 즉 일념에 모든 시간이 다 포함되고, 한 먼지에 시방세계가 다 포함되고, 한 작용에 일체의 작용이 다 포함된다. 이것은 억지로 하는 소리가 아니라 법계존재의 존재원리이기 때문이다.
출처 : 염화실글쓴이 : 無比 원글보기메모 :'불교 > 화엄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4> 승진과행(勝進果行) 2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4> 승진과행(勝進果行) 1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3> 지위(地位) 2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3> 지위(地位)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2> 이타행(利他行) (0) 201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