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3> 지위(地位) 2불교/화엄경 2014. 4. 29. 12:53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3> 지위(地位) 2
證佛解脫의 甚深廣大하니라
부처님 해탈의 심심하고 광대함을 증득하였습니다.
강설 ; 불교를 공부하는 목적을 여러 가지로 설명할 수 있으나 가장 뚜렷하고 확실한 명제는 해탈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온갖 고통과 문제, 그리고 생사로부터 해탈하는 것을 말하나 여기에서의 해탈은 보살의 작용이 자유자재하여 일념에 과거 미래 현재의 모든 불사를 건립하는 것이다. 법회에 모인 보살대중들의 수승한 덕을 설명하면서 그들도 부처님이 증득하신 지극히 깊고 광대한 해탈을 증득하였다고 하였다. 경전에는 모든 부처님의 10종의 무애해탈을 설명하였다. “1, 일체제불이 한 먼지에서 무수한 제불이 세상에 나오심을 나타내며, 2, 일체제불이 한 먼지에서 무수한 제불이 법륜을 굴리는 것을 나타내며, 3, 일체제불이 한 먼지에서 무수한 제불이 중생을 교화하고 조복함을 나타내며, 4, 제불의 국토를 나타내며, 5, 보살의 수기를 나타내며, 6, 과거 미래 현재의 일체제불을 나타내며, 7, 과거 미래 현재의 세계종을 나타내며, 8, 과거 미래 현재의 신통을 나타내며, 9, 과거 미래 현재의 일체중생을 나타내며, 10, 과거미래 현재의 일체불사를 나타낸다.” 이것이 심심하고 광대한 부처님의 해탈이다. 일반적인 생사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해탈이다.
출처 : 염화실글쓴이 : 無比 원글보기메모 :'불교 > 화엄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4> 승진과행(勝進果行) 1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3> 지위(地位) 3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3> 지위(地位)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2> 이타행(利他行) (0) 2014.04.29 [스크랩] 4, 화엄회상의 대중 (2) 보살대중의 덕행 <1> 자리행(自利行) 2 (0) 201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