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크랩] 낙동정맥 18구간 땅고개(당고개)~와황재
    한북정맥(완주)/낙동정맥(완주) 2011. 7. 26. 23:19

     

     

    단석산 (모든 사진 누르면 확대됩니다)

     

    단석산 단석바위

     

    OK그린연수원에서 바라본 풍경

     

    윗상목 임도 가기전 535.1m봉에서 바라본 박달리

     

    백운산 가기전 백운산과 구름에 가리워진 고헌산

     

    백운산 가기전 우측으로 소호령으로 이어지는 도로와 소호리

     

    백운산

     

    고헌산

     

     

     

    오늘은 땅고개에서 시작하여 김유신 장군의 설화가 담겨 있는 단석산을 다녀오고

    형산강, 태화강, 밀양강을 갈라주는 삼강봉(호미기맥 갈림길)을 지나 백운산에 오르고

    언양의 진산인 고헌산을 지나 와항재에서 좌측으로 내려가

    생김새가 기와같다고 하여 이름지어진 와항마을(언양 불고기 마을)까지 가게됩니다

     

    비가 많이와 걱정이 되었지만 단석산을 내려와 OK그린연수원에서 아침 식사를 하고

    출발을 하면서부터 비가 그치기 시작하여 즐거운 산행으로 이어졌습니다

     

     

    산행지    :  땅고개~단석산(827.2m)~OK그린연수원~아랫 상목~윗 상목~△700.1m

                     ~소호 고개~삼강봉 845m(호미기맥 분기점)~백운산(907m)~소호령

                     ~고헌산 동봉(산불감시초소)~고헌산 정상(1033m)~고헌산 서봉(1035m)~와항재

     

    산행일    :  2011, 07, 10  일요일

     

    산행시간 :  12시간 18분  (아침, 휴식, 단석산 다녀오는것 포함)

                   

    산행한 사람 :   김 동혁, 거인산악회

     

     

     

          % 산행정리 %

    05:07  땅고개(당고개) 출발

              땅고개휴계소 우측에 있는 산내면 표지석 옆길로 들어가

              묘지가 있는곳을 지나 땅고개휴계소에서 올라오는길과 만나

              단석산으로 오르는데 비가 많이 오고 어두워서

              땅고개휴계소 옆으로 바로 오릅니다

    05:15  산내면 표지석방향에서 올라오는 길과 만납니다

    05:25  이정표 ←단석산 정상 2.9km, 당고개 0.5km ↓

    05:41  이정표  당고개 1.0km ↓, 단석산 정상 2.4km →

              우측으로 단석산 정상 방향으로 갑니다

    05:53  이정표  ←당고개 1.5km , 단석산 정상 1.9km →

    06:19  이정표  ←당고개 2.4km , 단석산 정상 1.0km →

     

    06:22  단석산 갈림길

              이정표 ←단석산 정상 0.8km, 신선사 1.8km, ↓당고개 2.6, OK그린연수원 2.0km→

              마루금은 우측 OK그린연수원 방향으로 이어지지만 좌측으로 단석산을 다녀오기로 합니다 

    06:44~06:49  단석산(827m)

              정상에는 단석산 표지석(경주 26)과 삼각점, 산불감시초소, 돌탑들

              그리고 김유신 장군이 베었다는 단석바위가 있습니다

    07:06  단석산 갈림길 원점 회귀(왕복 44분 소요, 단석산에서 5분 포함)

              우측 OK그린연수원 방향으로 갑니다

     

    07:12  이정표  ← 단석산 정상 1.2km, OK그린연수원 1.6km →

    07:41~08:26  OK그린연수원(방주교회)  아침

    08:28  이동통신탑이 보이는곳을 향하여 갑니다

    08:48  이동통신탑(512m)

              OK그린연수원에서 사진 찍느라고 시간 조금 지체되었습니다

    09:05  535m봉

    09:09  조각 조형물

    09:32  메아리 농장

              좌측으로 임도를 따라갑니다

     

    09:51  넓은 초지

              좌측 산으로 들어갑니다

              좌측으로 돌아 올라간 봉우리에서 급하게 좌측으로 돌아 내려갑니다

    09:58  605m봉  넓은 초지에서 좌측으로 돌아 올라온 봉우리

              급하게 좌측으로 돌아 내려갑니다

    10:13  아랫상목 임도

              아랫상목에는 장승이 여러개 서 있고 우측에 있는 임도를 따라 갑니다

     

    10:21  좌측으로 잘 지어진 가옥이 있는곳

    10:23  물통 2개 있는곳

              물통있는곳 바로 전에 좌측 산길로 들어갑니다

              조금 후에 우측으로 녹슨 철조망이 보이고

              윗상목으로 갈때까지 철조망이 있습니다

    10:37  암봉(535.1m) 전망 바위

    10:46  윗 상목

              안내 표식이 2개 있고 맞은편 임도를 따라 조금 가다 좌측 산길로 오릅니다

    11:05  폐 헬기장

    11:20  폐헬기장(두번째)

    11:37  700m봉

    12:04  700.1m 삼각점(언양 303)

    12:18~12;45  소호고개(태종고개) 

              양말을 짜서 말리고 간단하게 간식을 합니다

              좌측으로는 경주 납석광산과 내와리로 이어지고 우측으로는 소호리로 가게됩니다

     

    12:51  철탑

    12:55  쩍바위

    13:25  전망대 바위

              이후로 가파른 등로가 이어지고 덩굴을 헤치고 나가기가 무척이나 힘이듭니다

    13:48~13:51  삼강봉(845m), 호미기맥 분기점

              이정표(호미기맥 분기점) 바로 좌측으로

              형산강, 태화강, 밀양강이을 갈라주는 삼강봉이 있습니다

              호미기맥은 이곳에서 시작하여 토함산을 거쳐 호랑이 꼬리인 호미곶까지 이어집니다

    14:17~14:42  백운산(901m)  휴식

              한개의 표지석은 907m를 가르키고 또다른 표지석과 표지목은 901m라고 써있습니다

              이후로 고헌산까지는 방화선을 따라 임도(돌길)로 이어져 있고

              오프로드 동호인들의 지프차가 다니기도 합니다

     

    15:16  692.7m봉 삼각점

              오프로드 지프차가 삼각점위에 버티고 있어 삼각점을 찍지도 못하고 지나갑니다

              중간중간에 자동차가 지나며 만들어 놓은 물우덩이도 있어

              개구리들이 헤엄을 치며 다닙니다

    15:25  임도 삼거리

              시멘트도로를 따라 잠시 걷다가 비포장 자갈길을 지납니다

    15:35  소호령

              이정표  ←고헌산 정상 2.0km, 와항산 5.0km, 소호리 3.0km →

              고헌산 정상을 향해갑니다

              고헌산으로의 오름길이 시작됩니다

     

    15:40  대성사 절

              물이 잘 나와 식수를 해결할수 있습니다

    16:19  돌탑

              비포장 돌길이 계속 이어집니다

              더운 여름에는 무척이나 힘이 들것 같습니다

    16:30  간이 데크가 있고 이정표가 있습니다 나무계단이 시작됩니다

              이정표  ←고헌산 정상 300m, 와항산 3.3km, 소호령 1.7km →

    16:33  고헌산 동봉(산불 감시초소, 1032.8m)

              고헌산 동봉을 지나 고헌산 정상과 고헌산 서봉 방향으로 가는길은

              지도와 반대 방향으로 가는것 같고, 무엇인가 홀린 기분이 듭니다

              나침반으로 방향 확인을 하니 동봉과 서봉을 알수가 있었습니다

    16:40  고헌산(1033m)

              영남알프스의 한봉우리인 고헌산에 오르면 각종 정상 표지석과 돌탑

              그리고 이정표가 있습니다

              ←와항재 3.0km, ↓고헌사 3.0km, 소호령 2.0km →

             고헌산 서봉으로 향하는 계단으로 내려섭니다

    16:50  고헌산 서봉(1035m)

              우측으로 돌탑들이 많이 있는곳을 지나 와항재를 향하여 갑니다

     

    16:52  돌탑들이 많이 있는곳

              잡석으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 와항재로 내려갑니다

    17:25  와항재

              좌측으로는 와항마을(언양 불고기 마을)이고 우측으로는 소호리입니다

              좌측으로 와항마을을 향해 내려갑니다

    17:37  와항마을(언양 불고기 마을) 

     

     

    05:07  땅고개(당고개) 출발

              낙동정맥 마루금은 땅고개휴계소 우측에 있는 산내면 표지석 옆길로 들어가

              묘지가 있는곳을 지나 땅고개휴계소에서 올라 오는길과 만나

              단석산으로 오르는데 비가 많이 오고 어두워서

              땅고개휴계소 옆으로 바로 오릅니다

     

     

    05:15  산내면 표지석방향에서 올라오는 길과 만납니다

    05:25  이정표 ←단석산 정상 2.9km, 당고개 0.5km ↓

     

    05:41  이정표  당고개 1.0km ↓, 단석산 정상 2.4km →

              우측으로 단석산 정상 방향으로 갑니다

     

    05:53  이정표  ←당고개 1.5km , 단석산 정상 1.9km →

     

    06:19  이정표  ←당고개 2.4km , 단석산 정상 1.0km →

     

    06:22  단석산 갈림길

              이정표 ←단석산 정상 0.8km, 신선사 1.8km, ↓당고개 2.6, OK그린연수원 2.0km→

              마루금은 우측 OK그린연수원 방향으로 이어지지만 좌측으로 단석산을 다녀오기로 합니다 

     

     

    06:44~06:49  단석산(827m)

              정상에는 단석산 표지석(경주 26)과 삼각점, 산불감시초소, 돌탑들

              그리고 김유신 장군이 베었다는 단석바위가 있습니다

     

    단석산 삼각점(경주 26)

     

     

     

     

     

    단석 바위

     

     

    07:06  단석산 갈림길 원점 회귀(왕복 44분 소요, 단석산에서 5분 포함)

              우측 OK그린연수원 방향으로 갑니다

     

    07:12  이정표  ← 단석산 정상 1.2km, OK그린연수원 1.6km →

     

     

     

     

    07:41~08:26  OK그린연수원(방주교회)  아침

     

     

     

    수의지

     

     

     

    08:28  이동통신탑이 보이는곳을 향하여 갑니다

     

     

     

     

     

     

     

     

     

     

    뒤돌아본 OK그린연수원

     

    08:48  이동통신탑(512m)

              OK그린연수원에서 사진 찍느라고 시간 조금 지체되었습니다

     

    임도길이 이어집니다

     

    09:05  535m봉

     

     

    09:07  좌측의 전망 좋은곳

     

     

     

     

    09:09  조각 조형물

     

     

    09:32  메아리 농장

              좌측으로 임도를 따라갑니다

     

     

    09:43  임도를 오르며 뒤돌아본 단석산에서 OK그린연수원을 지나 이어지는 능선길

     

     

    09:51  넓은 초지

              좌측 산으로 들어갑니다

              좌측으로 돌아 올라간 봉우리에서 급하게 좌측으로 돌아 내려갑니다

     

     

     

    09:53  좌측 산으로 들어갑니다

              산으로 들어가다 좌측으로 돌아 올라간 봉우리에서

              급하게 좌측으로 돌아 내려갑니다

     

    09:58  605m봉  넓은 초지에서 좌측으로 돌아 올라온 봉우리

              급하게 좌측으로 돌아 내려갑니다

     

    10:13  아랫상목 임도

              아랫상목에는 장승이 여러개 서 있고 우측에 있는임도를 따라 갑니다

     

     

     

     

     

     

    10:16  우측에 있는 임도를 따라 갑니다

     

    10:21  좌측으로 잘 지어진 가옥이 있는곳

     

    10:23  물통 2개 있는곳

              물통있는곳 바로 전에 좌측 산길로 들어갑니다

              조금 후에 우측으로 녹슨 철조망이 보이고

              윗상목으로 갈때까지 철조망이 있습니다

     

     

     

    우측으로 녹슨 철조망이 보이고 윗상목으로 갈때까지 철조망이 있습니다

     

     

     

    10:37  암봉(535.1m) 전망 바위에서 좌측으로 박달리를 보며

     

     

    백운산을 바라보며

     

     

     

     

    10:46  윗 상목

              안내 표식이 2개 있고 맞은편 임도를 따라 조금 가다 좌측 산길로 오릅니다

     

     

     

    10:49  좌측 산길로 오릅니다

     

    11:05  폐 헬기장

     

     

     

    11:20  폐헬기장(두번째)

     

     

     

     

    11:37  700m봉

     

     

     

     

     

    12:04  700.1m 삼각점(언양 303)

     

     

     

    12:18~12;45  소호고개(태종고개) 

              양말을 짜서 말리고 간단하게 간식을 합니다

              좌측으로는 경주 납석광산과 내와리, 고사리로 이어지고 우측으로는 소호리로 가게됩니다

     

    12:51  철탑

     

    12:55  쩍바위

     

     

     

     

     

     

    13:16  철탑을 지나 지나온 능선길

     

     

    13:25  전망대 바위

              이후로 가파른 등로가 이어지고 덩굴을 헤치고 나가기가 무척이나 힘이듭니다

     

     

     

    13:43  백운산 가기전 백운산과 구름에 가리워진 고헌산 

     

    13:46  소호리

     

    13:48~13:51  삼강봉(845m), 호미기맥 분기점

              이정표 바로 좌측으로 형산강, 태화강, 밀양강이을 갈라주는 삼강봉이 있습니다

              호미기맥은 이곳에서 시작하여 토함산을 거쳐 호랑이 꼬리인 호미곶까지 이어집니다

     

     

     

     

     

     

     

     

     

     

     

    14:03  전망 좋은곳에서 우측에 보이는 소호령으로 이어지는 도로와 소호리 

     

     

     

    14:04  가까와진 백운산

     

    14:12  *** 주의 *** 좌측으로 둘레길로 이어지는 리본들이 있습니다

              무시하고 직진하여 오릅니다

     

    백운산 바로 전에 있는 바위

     

     

    뾰족하게 솟아 있는 삼강봉과 지나온 능선들

     

     

    14:17~14:42  백운산(901m)  휴식

              한개의 표지석은 907m를 가르키고 또다른 표지석과 표지목은 901m라고 써있습니다

              이후로 고헌산까지는 방화선을 따라 임도(돌길)로 이어져 있고

              오프로드 동호인들의 지프차가 다니기도 합니다

     

     

     

     

    14:57  고헌산으로 이어지는 방화선길

     

     

    15:07  중간중간에 자동차가 지나며 만들어 놓은 물우덩이도 있어

              개구리들이 헤엄을 치며 다닙니다

     

     

    15:16  692.7m봉 삼각점

              오프로드 지프차가 삼각점위에 버티고 있어 삼각점을 찍지도 못하고 지나갑니다

     

     

    15:17  692.7m봉 삼각점을 지나면서

     

    15:25  임도 삼거리

              좌측에서 올라오는 시멘트도로를 따라 잠시 걷다가 비포장 자갈길을 지나게 됩니다

     

     

    15:35  소호령

              이정표  ←고헌산 정상 2.0km, 와항산 5.0km, 소호리 3.0km →

              간이 화장실이 있고 고헌산 정상을 향해 오름길이 시작됩니다           

     

    15:40  대성사 절

              물이 잘 나와 식수를 해결할수 있습니다

     

     

     

     

     

    16:19  돌탑

              비포장 돌길이 계속 이어집니다

              더운 여름에는 무척이나 힘이 들것 같습니다

     

     

    16:30  간이 데크가 있고 이정표가 있습니다 나무계단이 시작됩니다

              이정표  ←고헌산 정상 300m, 와항산 3.3km, 소호령 1.7km →

     

     

     

     

     

    16:33  고헌산 동봉(산불 감시초소, 1032.8m)

              고헌산 동봉을 지나 고헌산 정상과 고헌산 서봉 방향으로 가는길은

              지도와 반대 방향으로 가는것 같고, 무엇인가 홀린 기분이 듭니다

              나침반으로 방향 확인을 하니 동봉과 서봉을 알수가 있었습니다

     

     

     

    16:40  고헌산(1033m)

              영남알프스의 한봉우리인 고헌산에 오르면 각종 정상 표지석과 돌탑

              그리고 이정표가 있습니다

              ←와항재 3.0km, ↓고헌사 3.0km, 소호령 2.0km →

             고헌산 서봉으로 향하는 계단으로 내려섭니다

     

     

     

     

     

     

     

     

    16:50  고헌산 서봉(1035m)

              우측으로 돌탑들이 많이 있는곳을 지나 와항재를 향하여 갑니다

     

     

    16:52  돌탑들이 많이 있는곳

              잡석으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 와항재로 내려갑니다

     

     

    소호리

     

    좌측 와항마을

     

    17:25  와항재

              좌측으로는 와항마을(언양 불고기 마을)이고 우측으로는 소호리입니다

              좌측으로 와항마을을 향해 내려갑니다

     

     

     

    17:37  와항마을(언양 불고기 마을) 

     

     

    함께 산행 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산행 내내 사진 같이 찍어주시고 함께 동행해주신

    최 훈일님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출처 : 거인산악회.
    글쓴이 : 김동혁 원글보기
    메모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