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낙동정맥 16구간 마치재~아화고개한북정맥(완주)/낙동정맥(완주) 2011. 6. 16. 09:18
294.9m봉(산불감시탑)에서 뒤돌아본 관산과 지나온 능선(모든 사진 누르면 확대됩니다)
관산을 내려오며 경주방향
넓은 초지위에 집이 있는곳. 임도에서
관산
만불산 진신 사리탑
오늘은 지형 생김이 말의 이빨같이 생겼다는 마치재에서 남사봉 오르기전과
급경사 오르막인 관산 오름길을 제외 하고는 아화고개까지 비교적
양호한 구간을 하게됩니다
산행지 :마치재~남사봉(470m)~한무당재~△316.4m봉~△관산(393.5m)~ △294.9 m
~만불산 진신사리탑~아화고개
산행일 : 2011, 05, 22 일요일
산행시간 : 07시간 05분 (아침, 휴식포함 천천히)
산행한 사람 : 김 동혁, 송아님, 거인산악회
% 산행정리 %
05:06 마치고개(927번 도로) 출발
비가 오기에 산행 준비를 단단히 하고 출발합니다
05:32 임도길 시작
우측으로 큰 밭이 있습니다
05:38 남사봉 오름길 시작
05:50 남사봉(471m)
동네 이름(남사리)에서 따온 봉우리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06:00 통신 안테나
06:01 임도
우측으로 넓은 초지가 있는집
06:11 삼거리 갈림길
좌측으로 임도따라
06:37 성황당 안부
06:49~07:31 한무당재(할미당재, 청석골재). 아침
옛날 무당 할미를 모신 서낭당이 있었다고 해서 한무당재, 할미당재.
또는 근처 골짜기에 청석(靑石)이 많고,
산적이 출몰했다 해서 청석재라고 불렸다 합니다
07:32 통신안테나가 보이고
곧이어 가족 묘지가 보이며 묘지위 방향 능선으로 갑니다
07:55 316.4m봉(삼각점이 있습니다)
누군가 오름길을 나무 가지로 막아 놓았으나 무시하고 올라갔습니다
08:13 안부
좌우로 희미한 고갯길이 있습니다
08:28 우측으로 늪지
08:46 넓은 삼거리
약간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235m봉 삼각점은 우측으로 100m정도에 있습니다
08:53 묘지5기
08:56 관산이 잘 보이는 묘지가 있는곳
우측으로 틀어 집니다
09:00 성황당(외골재)
***참고*** 이곳이 외골재이고.
우측으로 내려가면 도로가 나오고 그곳이 골안재입니다
이후 부터 관산까지 급경사 오르막을 오릅니다
09:50 관산(393.5m)
정상의 모양이 좌우로 길게 이어져서 갓(관, 冠)의 모습과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묘지에 삼각점이 박혀있습니다
10:05 등로상의 삼각점
10:20:~10:32 318m봉 휴식
10:44 밀양박씨 가족묘
10:46 임도
10:55 김해김씨 묘
11:10 양계장
양계축사 좌측으로 보이는 얕으막한 능선으로 올라
산불감시 초소로 진행 해야 되지만 길이 마땅치 않아
양계축사앞을 지나 산불감시 초소로 갑니다
11:14~11:20 산불 감시 초소(294.9m얕으막한 봉)
삼각점을 찿으려 했으나 밭을 만들어 검정 비닐을 씌어 놓아 찿을수가 없었습니다
임도를 따라 축사를 우측으로 보며 내려갑니다
11:23 양계 축사 정문
이후 임도따라 시메골 삼거리까지 내려갑니다
11:31 임도 삼거리(시메골 삼거리)
갈림길 좌측에 보이는 전봇대 우측으로 올라 가면 만불산입니다
11:43 만불산(275m)
만불산 정상에는 진신 사리탑과 불상이 있는데
사리탑 앞 상석에 만불산이라 표기되어 있습니다
11:59 (주) 대겸 파란색 지붕 건물
12:02 NO.2 철탑
12:05 아화고개(절개지)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12:07 아화고개(도로)
수리시설이 좋지 않아 농사를 짓지 못 하면
하절기에 초목이 枯死될 정도로 한해가 심하여
언덕에 불을 지르면 불이 꺼지지 않고 계속 탔다 하여
아阿(언덕,고개,구릉) 화火라 불렀다 합니다
.
05:06 마치고개(927번 도로) 출발
비가 오기에 산행 준비를 단단히 하고 출발합니다
05:32 임도길 시작
우측으로 큰 밭이 있습니다
05:36 남사봉 오르기전에
05:38 남사봉 오름길 시작
05:50 남사봉(471m)
동네 이름(남사리)에서 따온 봉우리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06:00 통신 안테나가 있고 곧이어 임도
06:01 임도
우측으로 넓은 초지가 있는집
06:11 삼거리 갈림길
좌측으로 임도따라
06:13 우측으로 마치재에서 오는 도로(927번 도로)가 보입니다
봉삼
06:37 성황당 안부
06:49~07:31 한무당재(할미당재, 청석골재). 아침
옛날 무당 할미를 모신 서낭당이 있었다고 해서 한무당재, 할미당재.
또는 근처 골짜기에 청석(靑石)이 많고,
산적이 출몰했다 해서 청석재라고 불렸다 합니다
07:32 통신안테나가 보이고
곧이어 가족 묘지가 보이며 묘지위 방향 능선으로 갑니다
07:55 316.4m봉(삼각점이 있습니다)
누군가 오름길을 나무 가지로 막아 놓았으나 무시하고 올라갔습니다
08:13 안부
좌우로 희미한 고갯길이 있습니다
08:28 우측으로 늪지
08:46 넓은 삼거리
약간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235m봉 삼각점은 우측으로 100m정도에 있습니다
08:53 묘지5기
08:56 관산이 잘 보이는 묘지가 있는곳
우측으로 틀어 집니다
09:00 성황당(외골재)
***참고*** 이곳이 외골재이고.
우측으로 내려가면 도로가 나오고 그곳이 골안재입니다
이후 부터 관산까지 급경사 오르막을 오릅니다
화살나무
09:50 관산(393.5m)
정상의 모양이 좌우로 길게 이어져서 갓(관, 冠)의 모습과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묘지에 삼각점이 박혀있습니다
관산을 내려오며 앞으로 지나갈 능선
10:05 등로상의 삼각점
10:08 관산 다음봉을 지나며 돌아본 관산
10:19 275m봉
10:20:~10:32 318m봉 휴식
10:44 밀양박씨 가족묘
10:46 임도
10:50 묘지 5기
10:55 김해김씨 묘
11:10 양계장
양계축사 좌측으로 보이는 얕으막한 능선으로 올라
산불감시 초소로 진행 해야 되지만 길이 마땅치 않아
양계축사앞을 지나 산불감시 초소로 갑니다
11:14~11:20 산불 감시 초소(295.1m얕으막한 봉)
삼각점을 찿으려 했으나 밭을 만들어 검정 비닐을 씌어 놓아 찿을수가 없었습니다
임도를 따라 축사를 우측으로 보며 내려갑니다
11:20 산불 감시 초소(295.1m얕으막한 봉)
임도를 따라 축사를 우측으로 보며 정문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멀리 33m 아미타 영천대불이 보입니다
11:23 양계 축사 정문
이후 임도따라 시메골 삼거리(애기재까지 내려갑니다
11:31 임도 삼거리(시메골 삼거리, 애기재)
갈림길 좌측에 보이는 전봇대 우측으로 올라 가면 만불산입니다
11:43 만불산(275m)
만불산 정상에는 진신 사리탑과 불상이 있는데
사리탑 앞 상석에 만불산이라 표기되어 있습니다
11:59 (주) 대겸 파란색 지붕 건물
파란 지붕 앞에 보이는 동그란 집들은 무슨 용도인지??
우측에 보이는 33m 아미타 영천대불을 카메라로 당겨봅니다
12:02 NO.2 철탑
12:05 아화고개(절개지)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다음 산행을 이어갈 철길 건너 저온 창고 뒤로 보이는 철탑들
12:07 아화고개(도로)
수리 시설이 좋지 않아 농사를 짓지 못하면
하절기에 초목이 枯死될 정도로 한해가 심하여
언덕에 불을 지르면 불이 꺼지지 않고 계속 탓다 하여
아阿(언덕, 고개, 구릉) 화火라 불렀다 합니다
시멘트 포장길로 진행하다 언덕 아래에서 우측 지하도로 길을 건넙니다
지하도를 나와 우측 다음 구간 진행 할곳
12:11 지하도를 나와 좌측에 있는 애기지 휴계소
만불사
함께 산행해 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출처 : 거인산악회.글쓴이 : 김동혁 원글보기메모 :'한북정맥(완주) > 낙동정맥(완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낙동정맥 18구간 땅고개(당고개)~와황재 (0) 2011.07.26 [스크랩] 낙동정맥 17구간 아화고개~땅고개 (0) 2011.06.22 [스크랩] 낙동정맥 15구간 오룡고개~마치재 (0) 2011.05.09 [스크랩] 낙동정맥 14구간 창수령~검마산 휴양림 (0) 2011.04.29 [스크랩] 낙동정맥 13구간 한티터널~오룡고개 (0) 2011.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