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한남정맥산줄기이야기한북정맥(완주)/한남정맥(완주) 2013. 6. 10. 10:56
16. 우리산줄기이야기(한남정맥편)
□. 우리산줄기의 이름
아래에 나오는 산줄기 명칭은 백두대간과 정맥은 산경표에서 정의한대로 일치를 시켰으며 19기맥은 100km 이상되는 산줄기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산줄기로 산경표의 원리대로 온전한 강줄기의 울타리를 치고 있으면 강줄기의 이름을 사용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대표적인 산이나 지명을 차용하여 내 나름대로 원칙에 충실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이름을 지었다
대간이나 각 정맥 기맥에서 분기된 30km이상 100km미만인 산줄기인 지맥과 아래에 나오는 산줄기 명칭은 백두대간과 정맥은 산경표에서 정의한대로 일치를 시켰으며 19기맥은 100km 이상되는 산줄기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산줄기로 산경표의 원리대로 온전한 강줄기의 울타리를 치고 있으면 강줄기의 이름을 사용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대표적인 산이나 지명을 차용하여 내 나름대로 원칙에 충실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이름을 지었다
대간이나 각 정맥 기맥에서 분기된 30km이상 100km미만인 산줄기인 지맥과 10km 이상 30km미만인 단맥은 어느 하나의 물줄기 가름이 정확하지 않고 여러개의 물줄기를 거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그 흐름도 산줄기의 이름으로 사용하기에는 미미한 경우나 인지도가 현저히 낮아 주로 대표산의 이름을 차용해 지었으며 특수한 경우 지방 이름을 차용하여 지었다
10km 미만인 여맥은 그 이름을 일일이 나열하기가 너무 번거로워 생략을 하거나 특별한 경우만 00여맥이라고 표현을 하였다
□. 산줄기의 격
대간이나 정맥을 제외한 산줄기에 격을 둠은 모든 산줄기를 단순히 기맥이라고 한다든지 지맥이라고 한다든지 할 경우 산줄기 이름만 들어서는 과연 그 산줄기가 어디에서 분기하였으며 어느 정도의 흐름을 가지고 있는지 도저히 짐작을 할 방법이 없다
산경표에서도 대간 정간 정맥으로 그 산줄기의 부모형제의 관계를 설명하려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보다 더욱 복잡하고 천태만상인 기맥 이하의 산줄기를 단순히 하나의 항열로 부른다면 많은 혼란을 초래할 것 같아 그 뿌리를 밝히고 항열을 밝히고자 함이다
그래서 백두대간이나 정맥을 제외한 100km 이상의 산줄기나 어떠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산줄기를 기맥으로 정의를 하고 그 대간이나 정맥 기맥을 주맥으로 보고 그 주맥에서 분기된 지맥을 표현할 경우 그 조상의 이름을 앞에다 놓아 그 산줄기가 어디서 왔는지 표현하려 했다
예를 들면 경북 문경시에 운달산이라는 그 지방 명산이 있는데 그 산이 속한 산줄기 이름을 지을 경우 우선 백두대간에서 분기가 되었으니 우리산줄기의 조종인 “백두”를 가져오고 그 다음으로 그 산줄기중 가장 유명한 산이 운달산으로 추정이 되므로 “운달”을 가져와 연결해서 부르면 “백두운달지맥”이 되는 원리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백두대간 대미산에서 운달산으로 연결된 30km 이상 100km 미만인 산줄기구나” 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정맥과 기맥에서 분기된 지맥은 백두대간과 정맥과 기맥을 조상으로 생각을 하고 우선 그 백두나 정맥이나 기맥 이름을 앞에다 가져오고 그 다음 그 산줄기에서 가장 유명한 산 이름이나 특수한 경우 지방 이름을 가져온다
예를 들면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천마산 줄기를 이름 짓는다면 우선 조상격인 한북정맥에서 분기했으니 “한북”을 가져오고 다음에 그 산줄기중 가장 유명한 이름이나 특수한 경우 그 지방 이름을 가져온다
그래서 그 산줄기 중 가장 유명한 산이 천마산으로 추정이 되므로 “천마”를 가져와 이름이 “한북천마지맥”이 되는 것이다
즉 “한북정맥에서 천마산으로 연결된 30km 이상 100km 미만인 산줄기구나”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특수한 경우를 예를 든다면
한강영월지맥
한강정맥(기맥)이 서진하면서 계방산 가기 전 도면상 1462봉어깨에서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니 시종일관 남진하면서 강원도 영월읍에서 동강과 서강이 만나 남한강이 되는 특별한 의미를 줄 수 있는 산줄기
낙동안동지맥
낙동정맥이 칠보산을 거쳐 남하하면서 쇠재에서 깃재(귀재)로 가던중 무명 헬기장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영양의 진산 일월산을 지나 산줄기의 대부분이 안동땅을 지나가며 대한민국의 유수한 바다와 같이 너른 안동호와 임하호를 가르며 안동땅에서 낙동강물이 되는 특별한 의미를 줄 수 있는 산줄기
그 외 호남화원지맥, 호남여수지맥 등이 있다
단맥이라 함은 마찬가지로 대간 정간 정맥 기맥 지맥 모두에서 분기하여 10km이상 30km 미만인 산줄기를 말하며 위와같은 논리로 한북천마지맥 주금산에서 분기하여 축령산으로 뻗은 산줄기를 한북천마축령단맥이라고 이름지을 수가 있는 것이다 즉 “한북천마지맥에서 축령산으로 연결된 10km이상 30km 미만의 산줄기구나” 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맥이라 함은 모든 산줄기에서 분기한 10km 미만인 산줄기를 나타내며 아주 짧은 경우 생략을 하고 분기된 그 산줄기에 있다고 설명을 하였으며 그 산을 특별히 나타내고자 할 경우에 한해 예를 들어 한북천마지맥에서 동쪽으로 분기된 운길산을 위와같은 논리로 이름을 짓는다면 한북천마운길여맥이라 부를 수가 있는 것이다
□. 산줄기의 순서
정맥과 기맥이 대간에서 북에서 남으로 분기된 순서대로 “편”으로 분리하여 이야기를 하고 거기에서 분기된 지맥 분맥 단맥등을 분기점에서 순서대로 기술을 하고 또한 정맥에서 분기된 기맥은 그 분기된 정맥 다음으로 분기점에서 순서대로 기술을 한다
01)백두대간
02)한북정맥
03)한탄기맥
04)한북기맥
05)소양기맥
06)한강정맥(기맥)
07)홍천기맥
08)치악기맥
09)낙동정맥
10)팔공기맥
11)위천기맥
12)비슬기맥
13)형남기맥
14)내성기맥
15)한남금북정맥
16)한남정맥
17)금북정맥
18)금북기맥
19)가야기맥
20)진양기맥
21)금남호남정맥
22)금남정맥
23)금남기맥
24)호남정맥
25)영산기맥
26)땅끝기맥
27)고흥기맥
28)낙남정맥
단 위의 산줄기의 분류는 아직은 공식적인 잣대가 없으니 내 나름대로의 원칙을 가지고 산경표의 원리에 충실하려고 최대한 노력한 분류방법임을 밝힌다 물론 앞으로 공식적인 기관에서 산줄기 이름을 짓는다면 추후 그 이름을 따를 것이며 이보다 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이 있다면 그에 따를 것이다
산림청 선정 100대명산 높이는 한국의산하에 올라온 자료에 의해 그 높이를 기록했으며 그 외의 산들은 기타 문헌이나 5만분의1지형도에 표기된 높이로 기록했다
산높이가 표시되지 않은 산들은 역시 5만분의1지형도 등고선 평균 높이를 기록하였으므로 다른 문헌이나 인터넷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말씀드리고자 한다
또한 산줄기의 분기점은 변하지 않으나 그 끝나는 지점은 원칙적으로 제일 긴 산줄기를 따라 갔으나 어느 유명한 산이나 천이나 강의 울타리 또는 합수점을 찾아가기 위해서 짧은 줄기를 택한 경우도 있고 고만고만한 산줄기가 여럿 있을 경우 제일 큰 동네로 갔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내 임의대로 선택을 하였다
□. 참고사항
여기서 산의 격을 구분짓는 00km란 거리는 5만분의1지형도를 맵자로 잰 거리이므로 재는 방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100km, 30km, 10km와 같은 기맥 지맥 단맥 여맥의 경계선상의 수치는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해 추후 산줄기의 격이 틀려질 수 있다
“00산(?000, 00/00)”이라함은
00산(삼각점?높이m, 거리km/거리누계km)를 나타내는 것이다
“00).” 이라는 산줄기 앞의 숫자는 직접 정맥에서 분기한 순서이며 “(00)”이라는 산줄기 뒤의 숫자는 지맥급이나 단맥급 산줄기의 갯수를 나타내는 것임
아래 수체계도를 보면
한남정맥은 1정맥 5지맥 4분맥 30단맥 40개산줄기 약1101.5km로 이루어진 것을 알수 있다
소계 40
5
4
30
1,101.5
칠장산→
한남정맥
189
안성
●
칠장산
한남청량단맥
12.3
안성
국사봉
한남보개단맥
25.4
안성
문수봉
한남앵자지맥
60
용인
●
용실산 북동측
한남앵자독조분맥
67.3
용인
●
마국산→
한남앵자독조마국분맥
35.1
이천
●
마오산
이천
●
해룡산
이천
●
기관산
여주
●
여주군 흥천면
상백리 감동골
복하천 한강
합수점 終
여주
●
정수고개 서남측
한남독조백족단맥
10.4
이천
대포산 남측
한남독조신통단맥
16
여주
여주군 능서면
내양리 양화동
양화천과 남한강
합수점 終
여주
●
정수리고개
서남측
한남앵자태화단맥
21.3
광주
●
회고개
한남앵자설봉단맥
12
이천
●
천덕봉
한남앵자원적단맥
13.7
여주
천덕봉 북동측
한남앵자대렴단맥
13.7
여주
앵자봉
한남앵자관산단맥
15.1
광주
●
앵자봉 북측
한남앵자양자단맥
13.3
여주
●
해협산
광주
●
광주시 남종면
검천리 능곡마을
팔당호 終
광주
●
문수봉
서남측
한남쌍령지맥
44.9
용인
●
백련봉 동측
한남쌍령고성단맥
16.9
안성
덕암산 동측
한남쌍령팔룡단맥
11.1
평택
함박산
평택
●
평택시 고덕면
해창리 서정리천과 진위천 합수점終
평택
●
부아산
한남무봉단맥
25.7
용인
병봉산 북동측→
한남무봉함봉단맥
14.6
용인
향수산 서측
한남남한산성지맥
45
용인
●
일곱삼거리고개
한남남한산성문형여맥9.4
광주
망덕산
한남남한산성두리단맥
12.5
광주
●
연주봉
한남남한산성금암단맥
14.7
하남
●
검단산
하남
●
하남시 창우동
안창모루 산곡천과 한강 합수점 終
하남
●
광교산 남측
한남여계(청명)단맥
28.5
수원
백운산
한남관악지맥
35
수원
●
이수봉 서북측
한남관악청계단맥
16
과천
●
관악산 남측
한남관악삼성단맥
14.5
서울
●
관악산 북동측
한남관악현충원단맥
17.8
서울
우면산
서울
●
양재시민공원
서울
●
강남구 삼성동
탄천과 한강
합수점 終
서울
●
지지대고개
북동측
한남팔달단맥
14.5
수원
지지대고개
서북측
한남여기단맥
12.1
수원
감투봉
한남서봉지맥
65
군포
●
장안대학 남측
한남서봉삼봉분맥
39.5
화성
●
삼봉산 서남측→
한남서봉삼봉태행분맥
33
화성
●
태행산
화성
●
염티고개
동남측
한남서봉삼봉태행능고개단맥
12.4
화성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 배머리
선착장 화성호
배수갑문 서해 終
●
보금산
●
화성시 우정읍
매향리 고은이
서해 終
●
서봉산 남측
한남서봉명봉단맥
19.3
화성
계두봉
평택
●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 아산만
방조제 終
평택
●
꼬깔봉
한남사동단맥
13.5
안산
수암봉
서북측
한남마산단맥
24
시흥
목감동
한남서산단맥
16.2
시흥
할미산
한남개화단맥
21.5
부천
십정동
한남문학단맥
15.7
인천
계양산
한남옥녀단맥
13
인천
문수산
김포
●
김포시
월곶면
보구곶리
한강과 서해 합수점 終
김포
●
01. 금북청량단맥
안성시 죽산면, 삼죽면, 금광면의 삼면봉인 한남정맥인 칠장산 정상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지치봉(266, 2.4)-노루목고개-청량산(340, 3/5.4)에서 남쪽으로 머리를 틀어 금광면 신양복리 복거마을 금광교회 앞 도로(2.6/8)-302번 지방도로-동신리 송동마을(2/10)을 지나 안성시 가현동 월동천이 안성천을 만나는 곳(2.3/12.3)에서 끝이나는 약12.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 한남보개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안성 용인 평택
한남정맥이 안성시 칠장산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흐르다 안성시 삼죽면, 보개면의 경계선상에 있는 국사봉에서 한남정맥은 북쪽으로 흐르고 한줄기를 남쪽으로 분기하여 306, 325번지방도로로 내려선다
보개산(346.9, 2.5)-마루터도로(1.6/4.1)-임도-살갱이도로(1.8/5.9)-
매봉(177.2)-179.2봉-임도-돌섯산(152.8, 2.1/8)-57번국지도-
보개면사무소(1.6/9.6)-비봉산(229.5, 1/10.6)-머린골산(1.6/12.2)을 지나 70번국지도 구리고개(2.1/14.3)로 내려선다
시무실고개 임도-14번군도 신70번국지도 삼거리(2.2/16.5)-171봉-
23번국지도 쇠골고개(2.2/18.7)-채석장임도-180봉-
38번국도, 23번국지도 삼거리(1.7/20.4)-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내리도로(2/22.4)에 이르고
이후 논 밭 구릉을 진행해 평택~음성간고속도로(1.3/23.7) 지나 논두렁 밭두렁 수로 등으로 진행해 302번지방도로 안성천교 옆으로 해서 안성시 죽리 안성시환경사업소가 있는 한천과 안성천이 만나는 곳(1.7/25.4)에서 끝이나는 약25.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 한남앵자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안성 이천 양수
백두대간 속리산 천황봉에서 한남금북정맥이 분기해 충청북도 땅을 지나 경기도 안성땅 칠장산에서 금북정맥과 한남정맥으로 갈리어 금북정맥은 남으로 기수를 돌려 충청남도 땅을 아우르고
한남정맥은 북서로 그 줄기를 틀어 도덕산 국사봉 천주교수원교구공원묘원을 지나 구봉산에서 57번 국지도 두창리로 떨어져내려 비산비야 지대를 누비다 내동고개서 문수봉으로 올라 한남정맥은 남으로 기수를 틀고
앵자지맥은 북으로 달려 곱등고개 칠봉산 갈미봉 용실고개 용실봉(파인스키장) 327봉 마수고개 영동고속도로를 건너 421봉 기독교 100주년 기념사업관 안부로 내려섰다 361봉에서 용인시 양지면과 광주시도척면계를 가르며 정수리고개라고 표기된 곳에서 북진하던 줄기는 서서히 동진을 한다
도면상 되재에서 식송가는 2차선 포장도로 가기 전 무명봉에서 서북진하여 259봉어깨 성황당고개 해룡산 회고개 중부고속도로 305봉 국수봉어깨
319봉 넋고개 정개산 천덕봉 국정개도로 292봉에서 급하게 능선은 서진을 하여 남이고개 393봉 앵자봉까지 여주군과 광주시의 경계를 간다
그후 광주 시내를 남북으로 가르며 501봉 염치(티)고개 해협산 304봉
410봉 340봉 정암산 270봉 93봉 검천1리 한강변에서 그 흐름을 멈추는
약60km 정도의 산줄기를 나는 한남앵자지맥이라 부르기로 한다
01. 한남앵자독조분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안성 장호원 여주
안성땅 칠장산에서 북서방향으로 뻗어나간 한남정맥이 용인시 원삼면 문수봉에서 남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북으로 한줄기를 떨구니 바로 한남앵자지맥이라 이 앵자지맥이 곱등고개 어두니고개 용실고개 지나 양지면 마수고개로 가면서
독조봉어깨에서 동쪽으로 한줄기를 떨구어 여주벌을 동서로 나누며 청미천과 복하천 양화천의 물길을 구분 지으며 남한강변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내양리 양화동 양화천이 남한강이 되는 약67.3km의 낮은 비산비야 산줄기지만 그래도 살가운 내나라 우리 산줄기라
그 흐름을 살펴보면
독조봉어깨(410)-독조봉(432, 0.7)-좌찬고개(194.8, 1/1.7)-
건지산(411.3, 2.7/4.4)-기네미두평고개(110, 2.3/6.7)-소학산(309.3)-
뒷동골산(222.7, 2/8.7)-봉의산(310, 2.5/11.2)-대덕산(308.5, 2.5/13.7)-
입석재고개(250)-362.1봉(2/15.7)-사실터고개(170, 4.3/20)-
마국산(445.4, 1/21)-320.9봉(1.5/22.5)-331번지방도로(130, 3.5/26)-
노성산(274, 1.2/27.2)-원경사-383지방도로(90, 2.2/29.4)-
돌박지산(165.9, 3.6/33)-설성산(290.5, 3.2/36.2)-252봉-
정수고개(190, 2.5/38.7)-192.1봉-문드러니고개(130, 1.4/40)-
154.4봉-166.3봉-166.8봉-병무관고개(170, 2/42)-213.9봉-
연대산어깨(226.6, 2.8/44.3)-철갑산(202.5, 2.4/46.7)-
대포산(251, 4.5/51.2)-영동고속도로(150, 0.8/52)-
331번지방도로(90, 2/54)-북성산(270, 4/58)-42번국도(70, 1.5/59.5)-
106.1봉-128.6봉-84.3봉 지난도로(70, 3/62.5)-양화동 남한강변(4.8/67.3)
여기서 고려할 사항은 칠갑산과 대포산 사이 무명봉에서 동진하는 산줄기를 따라 달걀봉 중군이봉을 지나 이 근방 하천중에서 그 길이가 제일 긴 청미천과 남한강이 만나는 곳에서 끝을 맺는 것이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가 되나 내 개인 생각으로는 세종대왕릉이 있는 더 긴산줄기를 따라가는 것이 더 타당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가 되어 마루금을 그렇게 그렸을 뿐이다
02. 한남앵자독조마국분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안성 장호원 여주
한남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분기하여 대체적으로 서북진하며 김포뻘로 가다 문수산에서 한줄기를 북쪽으로분기하여 용실산 앵자봉으로 가는 한남앵자지맥이 흐르다 용실산 북동측에서 또 한줄기를 동쪽으로 분기하여 독조봉 대덕산 마국산 노성산으로 흘러 세종대왕능을 거쳐 양화천이 한강을 만나는 곳까지 이어지는 한남앵자독조분맥이 흐른다
이 한남앵자독조분맥 마국산(△445.4)어깨에서 다른 한줄기를 북쪽으로 분기하여 마국산(△445.4)-摩五산(277.8, 2.5)-매봉재-모산(△259.3, 1.2/3.7)-
큰고개(190, 0.8/4.5)-329번지방도로-진안(2/6.5)-337번지방도로 하군량입구(2/8.5)마을에 이른다
돈이울고개(2.6/11.1)-대쟁이고개-鼎嗚산(△167.3, 1.7/12.8)-
만석고개도로(110, 1.2/14)-공시울고개-海龍산(△201.2, 1.6/15.6)-
큰골고개-영동고속도로(2.5/18.1)-△121.7봉(1.9/20)-
337번지방도로를 지나 42번국도(6/26)에 이른다
6번군도(2.7/28.7)-흥천중교(1/29.7)-△73.0봉(0.3/30)-
333번지방도로 삼거리(1.7/31.7)-또 333번지방도로 삼거리(1.3/33)-
93.5봉-箕觀산(114.7, 1.1/34.1)을 지나 다시 333번지방도로를 거쳐 마지막 봉우리인 牧丹峰(90)을 지나
여주군 흥천면 상백리 감동골 독조봉이 발원지인 복하천이 한강을 만나는 곳(1/35.1)에서 끝이나는 약35.1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어 그 산줄기중 가장 높은 마국산의 이름을 빌어 한남앵자독조분맥에서 다시 분기하였음으로 한남앵자독조마국분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03. 한남앵자독조백족단맥
한남앵자독조분맥이 흐르며 이천시 설성면 장천리 설성목장 전 능선에서 한남앵지독조분맥은 북쪽으로 가고 한줄기를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신흥사절-설성산(290.5, 1.2)-임도-318번지방도로(2/3.2)-
봉미산(174)-도로 삼거리-38번국도 돌박재(2.4/5.6)-백족산(402.2, 3.2/8.8)을 지나
장호원읍 오남리 청미천변 3, 21, 37번국도 청미천교(1.6/10.4)에서 끝이나는 약10.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 한남앵자독조신통단맥
한남앵자독조분맥이 흐르며 여주군 가남면 철갑산 중부내륙고속도로 지나 대포산으로 가기 위해 좌측 북쪽으로 꺾어지는 지점에서 오른쪽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남녀주골프장 님쪽 울타리를 치명서 가다가 신통산(235, 2.5)을 지나 점동면사무소 북측 37번국도(2.3/4.8)에 이른다
여주~장호원간 신37번국도-달걀봉북측어깨(3/7.8)에서 오른쪽으로 중군이봉으로 가는 산줄기로 가도 되지만 그보다는 무려4km가 더긴 북쪽으로 머리를 틀어 소무산(247, 1/8.8)-고살래고개 임도(1.6/10.4)-흔바위-선사유적지를 품은 123봉-영동고속도로(2.4/12.8)를 지나 345번지방도로를 따라 42번국도 이호대교 가기전 여주읍 신진리 연양천이 남한강을 만나는 곳(3.2/16)에서 끝이나는 약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 한남앵자태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안성 이천
한남금북정맥이 속리산에서 분기하여 안성 칠장산에서 남으로 금북정맥을 떨구고 북으로 한남정맥이 이어지는데 용인시 원삼면 문수봉에서 정맥은 남으로 가고 북쪽 곱등고개로 한줄기가 줄기차게 흘러 천주교 성지 천진암이 있는 앵자봉을 지나 해협산 정암산을 지나 한강변에서 그 맥을 다하는 앵자지맥이 우리 산하를 굽이굽이 돌아 삶의 터전을 일구고 있다
그 앵자지맥을 따라 용인시 양지면 마수고개를 지나 영동고속도로 밑을 통과해 총신대학원 왼쪽 산줄기를 타고 도면상 421봉을 지나 금박산 북쪽 일대가 모조리 탄약대대인 산줄기를 타고 앵자지맥은 가고 바로 421봉을 오르기 전에 서쪽으로 뻗은 산줄기를 타고 10분 정도만 내려가면 도면상 정수리와 양지를 이어주는 기남이고개로 내려서게 된다
이 산줄기는 시종일관 경안천과 곤지암천을 동서로 가르며 그 두 개울이 만나는 지점에서 경안천이 되는 것이다
도면상 363.2봉 사기점과 정수리를 이어주는 44번 국지도 정수리고개를 지나 용인시와 광주시의 경계를 따라 시종일관 북진을 하여 말치고개 태화산 전위봉으로 일명 말아가리산이라는 마구산인 595봉
474.7봉 정광산 노고봉 발리봉 이후 광주시 오포면과 초월면의 경계를 따라 백마산 공작현 319봉 3번국도대쌍고개 234봉 278.1봉 경안천과 곤지암천이 만나는 지월리에서 끝이 나는 약21.3 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 한남앵자설봉단맥
한남정맥이 안성 칠현산에서 분기하여 김포 문수산으로 가던 중 용인시 원삼면 문수봉에서 북쪽으로 한줄기를 떨구니 바로 한남앵자지맥이라
어두니고개 독조봉어깨 마수고개 해룡산 국수봉 천덕봉 앵자봉 해협산 정암산에서 한강물이 되는데 이 앵자지맥이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 해룡산에서 회고개를 거쳐 중부고속도로로 떨어지는데
바로 이 회고개 가기 직전에 오른쪽 동남방향으로 오르는 산줄기가 있으니 바로 양각산으로 오르는 길이라
이 산줄기가 이천시 마장면과 신둔면의 경계를 따라 338.1봉 277봉 중부고속도로 둔터고개에서 설봉산을 올라챈 둔덕봉에서부터 마장면과 부발읍 경계를 따라 남진하여 설봉산 화두재 275.2봉 272봉에서 호법면과 부발읍의 경계를 따라 남하하다 경계를 버리고 계속 남하하여
이천시 호법면 양화천과 복하천이 만나는 호법인테첸지 근방 오미마을 지난 곳에서 끝이 나는 약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구간별로 표기해보면
회고개 직전 앵자지맥갈림점(270)-양각산(386, l)-
중부고속도로(110, 3.1/4.1)-둔터고개(130, 1.5/5.6)-
설봉산(392.7, 1.5/7.1)-화두재(290, 1/8.1)-272봉(2/10.1)에서 오미마을을 지나 양화천과 복하천이 만나는 곳(90, 3.9/12)에서 끝이나는 약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 한남앵자원적단맥
한남앵자지맥이 한남정맥 문수봉에서 분기하여 흐르다 천덕봉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원적봉(563.5, 1)-임도(2/3)-원적사 도로 내사고개(3.4/6.4)-
219.7봉-70번국지도 포도원(2.5/8.9)-6번군도 웃다부리(2.1/11)-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지나 여주군 흥천면 복대리 쌍백교 복하천변(2.7/13.7)에서 끝이나는 약13.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 한남앵자대렴단맥
한남앵자지맥이 한남정맥 문수봉에서 분기하여 흐르다 천덕봉을 지나 광주시 실촌읍 여주군 산북면 금사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570봉에서 앵자지맥은 북쪽으로 흐르고 한줄기를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6번군도 제2영동고속도로(2.2)-대렴산(414.9, 3/5.2)-
333번지방도로 호실령(0.8/6)-296.16봉(4.5/10.5)-중부내륙고속도로-
88번국지도 금사리 벌말(2.7/13.2)를 지나 여주군 금사면 금사리 금사천이 남한강을 만나는 곳(0.5/13.7)에서 끝이나는 약13.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9. 한남앵자관산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이천
한남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북서방향으로 분기하여 김포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곳으로 가던 중 문수봉에서 북으로 한줄기를 떨구니 바로 한남앵자지맥이다
바로 이 앵자지맥 이름이 있게한 앵자봉에서 좌우로 날게를 편 형상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있으니 오른쪽(동쪽) 날개가 양자산으로 가는 양자단맥이요 왼쪽(서쪽) 날개가 관산으로 가는 관산단맥이다
이 관산단맥에서 깃털을 하나 떨어트리니 바로 무갑산이구나
산세를 보면 학이 양날개를 피고 하늘을 날고 있는 형상이라 그 기품이 고고하니 그 가슴부근에 천주교 성지가 자리잡고 있게 되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그래서 이름을 앵자봉이라 하지말고 무학산이라 부르는 것이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이 드는 것은 나만의 생각인지 모를 일이다
참고적으로 한남앵자지맥은 나의 “한남앵자지맥종주기”에서 좀 더 상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그 흐름을 살펴보면
앵자봉에서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과 실촌면의 경계를 따라 서쪽으로 박석고개 열미봉(소리봉?) 610봉에서 남쪽으로 뻗은 산줄기는 무갑산으로 가고 단맥은 북쪽으로 머리를 틀어 광주시 초월면과 퇴촌면의 경계를 따라 571봉 관산 478.8봉 465봉에서 퇴촌면내로 들어가 정지리고개 228.6봉 퇴촌면 소재지인 도면상 동지벌말 도로를 건너 광동교 위 우산천이 경안천으로 흘러들어가는 곳에서 끝이나는 약15.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0. 한남앵자양자단맥
한남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분기하여 서북으로 흐르다 문수봉에서 한줄기를 북으로 떨구니 바로 한남앵자지맥이다 이 앵자지맥이 흐르다가 바로 이 앵자지맥이란 이름이 있게 한 앵자봉에서 잠시 앵자지맥을 따르다 도면상 672봉에서 앵자지맥은 북북서로 달려 해협산 정암산으로 달려가고 또 한줄기는 북북동으로 분기하여 양자산 백병봉을 끝으로 한강변서 그 소임을 다하고 한강물이 되는 약13.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 한남쌍령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안성 용인
용인시 이동면 원삼면 용인시를 가르는 한남정맥상 문수봉 지나 410봉 오르기전 390m 지점에서 한줄기를 서남쪽으로 뿌리며 쌍령산(502m, 4.4km)-
금병산(243.5m, 4km/8.4km)-82번국지도 방고개(150, 1.8/10.2)-
봉황산(270, 2.6/12.8)-뱃고개(90, 2/14.8)-신선봉(308, 3.2/18)-
천덕산(330, 1.2/19.2)-23번국지도(150, 2/21.2)-
백련봉(236, 2/23.2)-2번군도-경부고속도로(50, 3/26.2)-
덕암산(164.5△, 2/28.2)-불악산(150, 3.6/31.8)-함박산(59, 9/40.8)-
바람산(41.1△, 1/41.8)-좌교천과 진위천이 만나는 평택시 고덕면
방사천마을(3.1/44.9)에서 끝이 나는 도상거리 약44.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1. 한남쌍령고성단맥
용인시 이동면 원삼면 용인시를 가르는 한남정맥상 문수봉 지나 410봉 오르기전 390m 지점에서 한줄기를 서남쪽으로 분기하여 한남쌍령지맥이 흐르다가 천덕산 지나 23번국지도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도로따라 내려간 23번국지도 삼거리 만세고개(0.7)-고성산(298.1, 1.8/2.5)-무한성 설수암-302번지방도로-평택~음성간고속도로 서안성IC(2.7/5.2)-백운산-경부고속도로 안성휴게소(2.7/7.9)-대촌도로(1.2/9.1)-
1번국도 평택시청(3.3/12.4)-
경부선 평택역을 지나 평택시 통복동 통복천이 안성천을 만나는 곳(4.5/16.9)에서 끝이나는 약16.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 한남쌍령팔룡단맥
용인시 이동면 원삼면 용인시를 가르는 한남정맥상 문수봉 지나 410봉 오르기전 390m 지점에서 한줄기를 서남쪽으로 분기하여 한남쌍령지맥이 흐르다가 경부고속도로 지난 도로에서 덕암산으로 오르다가 둔덕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도로를 지나 팔룡산(131.7, 2.3)-원곡공단-302번지방도로-평택~안성간고속도로 요금소-평택~안성간고속도로(2.2/4.5)-45번국도-평택시 동삭초교-317번지방도로 검찰청삼거리(3.3/7.8)를 지나 시내를 관통해서 평택산업단지 경부선철로(2/9.8)를 지나 논 수로를 따라 평택시 서부동 고잔 통복천이 안성천을 만나는 곳(1.3/11.1)에서 끝이나는 약1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 한남무봉단맥
한남정맥상 321번지방도로 하고개를 지나 오른 부아산에서 남쪽으로 화성시와 용인시의 경계를 따라 남쪽으로 분기하여 임도를 만나 임도따라 골드골프장과 코리아골프장 사이 삼거리를 지나 무봉산(352.2, 2)-99고개-84번국지도-기흥골프장 능선으로 상봉고개-작은고개를 지나 수도권제2외곽순환고속도로 예정지 지나 오른 화성시 동탄면, 용인시 이동면, 남사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270봉(4.5/6.5)에서 동쪽으로 한남무봉함봉단맥을 분기시키고 서남진한다
불선의고개-병봉산(230)-효제봉(239.2)어깨-화성산에서 한원골프장 능선으로 진행해 골프장입구도로-82번국도 동막고개(6.4/12.9)-23번국지도 국사봉(163.4, 1/13.9)-농뒷봉-하고개 임도(2.5/16.4)-
처고개 124봉-청룡봉-경부고속도로310번지방도로가 만나는 곳(2/18.4)-
LG전자평택디지털파크 무봉산(208.6)어깨-진위사절-도로(3.3/21.7)를 지나 공장들을 지나 314번지방도로-1번국도-16번군도(2/23.7)를 지나 논두렁 수로로 진행해 대성촌 아랫말을 지나 평택시 진위면 하북리 오산천이 진위천을 만나는 곳인 306번지방도로 오산교(2/25.7)에서 끝이나는 약25.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4. 한남무봉함봉단맥
한남정맥상 321번지방도로 하고개를 지나 오른 부아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화성시와 용인시의 경계를 따라 무봉산을 지나 골프장능선으로 가다가 화성시 동탄면, 용인시 이동면, 남사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270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함봉산(306.2, 1)-321번지방도로 사리재고개(150, 1/2)-이루재고개-
우래골고개-완장고개-달봉산(210, 3.4/5.4)-시봉산-이동면사무소 서측 82번국지도 안어고개(3.4/8.8)-레이크힐스골프장 능선으로 진행해 클럽하우스 도로-
마골마을(3/11.8)-112봉-용인시 남사면 방아리 중복동 마을 도로(1.5/13.3)를 지나 논두렁 수로를 따라 완장천이 진위천을 만나는 곳(1.3/14.6)에서 끝이나는 약14.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 한남남한산성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수원 이천 양수 성동
백두대간 속리산 천황봉에서 한남금북정맥이 분기하여 충청북도 땅을 지나 경기도 안성땅 칠장산에서 금북정맥과 한남정맥으로 갈리어
금북정맥은 남으로 기수를 돌려 충청남도 땅을 아우르고
한남정맥은 북서로 그 줄기를 틀어 용인의 석성산을 지나 에버랜드 넘어가는 작고개를 건너 할미성을 올라 향수산 지나 영동고속도로와 남쪽으로 나란히 가다 수원 광교산쪽으로 빠지고
고급주택가 금호베스트빌리지인 향린동산이 있는 향수산 정상(여기에서 말하는 향수산 정상이란 향린동산 맨 위 도로에서 약간 솟은 통신시설이 있는 봉우리를 말함)에서 서쪽으로 기수를 돌려 88골프장을 동서로 관통하여 무푸레고개 법화산 무등재 지나 시종일관 북진을 한다
그 흐름을 살펴보면
천주교용인공원묘지 대치고개 정자공원묘지 대지산 부천당고개 불곡산 태현(태재고개) 새마을고개 새나리고개 고든골고개 갈마치고개 이배재 검단산 남한산성에 이르러 동진을 하여 산성끝 521봉 은고개 중부고속도로 595봉 검단산 하남시 창모루마을 한강변에서 그 소임을 다하는 도상거리 약45km 정도의 산줄기를 나는 한남남한산성지맥이라고 이름짓는다
한남남한산성문형여맥
한남남한산성지맥이 흐르다 영장산 가기전 일곱삼거리고개에서 강남300골프장 도로따라 남쪽으로 분기하여 새나리고개 삼거리-문형산(496.7, 2.2)-고장고개 임도(3.1/5.3)-45번국도(2.5/7.8)를 지나 43번국도를 넘어 직리천이 경안천을 만나는 곳(1.6/9.4)에서 끝이나는 약9.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5. 한남남한산성두리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수원 이천
한남남한산성지맥이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향수산 지난 88골프장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기흥구와 광주시와 경계를 따라 대체적으로 북진하여 남한산성으로 가면서 이배재를 지나서 오른 성남시 중원구와 광주시, 광주시 중부면의 삼면봉인 望德산(510)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두리봉(△458, 1.7)-연쟁이고개-새우개고개 임도(1.3/3)-
靑龍봉(376.4, 0.8/3.8)-군두레봉(381)-두새우개고개-299봉-軍月산(379)을
지나 43, 45번국도 교차점 고갯마루(3.7/7.5)로 내려선다
七寺(士)산(△363.7, 1.3/8.8)-중부고속도로 터널 4개 위를 지나
4번군도(3/11.8)를 건너 광주시 초월읍 서하리 남한산성지맥 벌봉에서 발원한 번천이 경안천을 만나는 곳(0.7/12.5)에서 끝이나는 약12.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6. 한남남한산성금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수원 성동
한남남한산성지맥이 한남정맥 향수산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이배재 왕기봉 검단산을 지나 남한산성내로 들어가 오른 연주봉옹성이 있는 연주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317.3봉-금암산(322, 2.5)-서울외곽순환도로 광암터널 위를 지나 향교고개 도로(90, 2/4.5)-이성산(209)-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1.7/6.2)-43번국도(1.8/8) 이후 거의 평지길을 걸어 도로를 몇 개 건너 종합운동장(2.5/10.5)을 지나 하남재활용센터를 거쳐
강동구와 하남시의 경계(2/12.5)를 지나 서울외곽순환소속도로 강일IC를 거쳐 고덕천이 한강을 만나는 곳(2.2/14.7)에서 끝이나는 약14.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7. 한남여계(청명)단맥
한남정맥이 향수산을 지나 기흥신도시 동백지구를 지나 신갈IC를 넘어 영동고속도로 북측 0.5km 지점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영동고속도로-잔다리-42번국도(3.3)-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315번지방도로(3.5/6.8)-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 청명산-용수마을 도로-318번지방도로(2.7/9.5)-
62번국지도-동탄신도시-병곡고개-
서수원~오산간고속도로 세교IC(6.4/15.9)-고속도로따라 죽미고개-
여계산(130)-석산(135.3)-구례고개 도로-
310번지방도로 왕림고개(4.6/20.5)-매봉재(110)-
당제골 임도-314번지방도로 팔도강산주유소(2.5/23)-도로따라 82번국지도와 만나는 삼거리-공두란이고개도로-고생재-수월암리 유진정공 도로를 지나 또 도로(3/26)-비산비야를 진행하여 16번군도 삼거리(2/28)를 지나 평택시 서탄면 금암리 도로 논두렁을 진행하여 오산천이 진위천을 만나는 곳(0.5/28.5)에서 끝이나는 약28.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4. 한남관악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수원 안양
백두대간 속리산 천황봉에서 한남금북정맥이 분기하여 보은 청주를 지나 경기도 안성땅 칠장산에서 두 갈래로 갈려 남으로 달려 금강의 북쪽 울타리를 만드는 금북정맥과 서북으로 흘러 한강의 온전한 남쪽 줄기를 이루는 한남정맥이 바로 그 두줄기이다
한남정맥이 안성 용인땅을 거쳐 수원 광교산을 넘어 백운산에서 한남정맥은 서남방향으로 흘러 1번 국도인 지지대고개를 넘어가고
또 한줄기는 북으로 흘러 고분재 바라산 학현(하오고개) 국사봉 이수봉 절고개 매봉 과천터널 직전 바로 옆 능선으로 흘러 고속도로를 건너 찬우물 등 과천 시가지를 가로질러 중앙공무원연수원 내 능선으로 급경사를 올라쳐 국기봉 631봉 관악산 남태령을 넘어 우면산 서울시공무원교육원 뒷능선으로 뻗어나가 경부고속도로를 건너 무명봉을 하나 넘어 서초구청앞 양재사거리를 지나 95봉을 거쳐 한강변에서 끝이나나
서초구청 이후는 전부다 도시개발로 인하여 아파트 및 상가 주택가로 변해 그 능선을 찾는다 해도 별 의미가 없어 서초구청 사거리를 그 끝으로 삼는
약 30km의 산줄기를 나는 한남관악지맥이라 이름한다(도심 5km 생략)
18. 한남관악청계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수원
경기도 땅 안성 칠장산에서 분기된 한강의 남쪽 울타리인 한남정맥이 수원 광교산을 지나 백운산에서 한남정맥은 서남으로 흘러 지지대고개를 넘고 또 한줄기가 북으로 흘러 바라산 학현(하오고개) 국사봉 이수봉 청계산어깨에서 한남관악지맥은 절고개 매봉(여기서 매봉은 옥녀봉 쪽에서 오르는 매봉이 아니고 과천시 문원동이나 안양시 인덕원에서 오르는 매봉임) 찬우물(47번 12차선 국도) 관악산으로 이어지고
바로 이 능선중 청계산 어깨에서 석기봉 청계산망경대 매봉 매바위 도면상 492m지점에서 동진하는 산줄기를 따라 옛골로 한없이 내려섰다가 도면상 성남시와 서울시의 경계를 따르다가
삼거리봉인 301봉을 올라 좌측 253m 지점 삼각점이 있는 곳에서 시립아동병원 뒷능선 고갯마루 육교를 건너 내곡터널 안부로 올라 대모산을 넘어 146m 지점을 통과 남부순환고속도로 수서인터첸지 근방에서 그 맥을 다하는 16km 정도의 산줄기를 이름한다
이 산줄기를 청계지맥으로 삼을 수는 있겠으나 워낙 유명세를 많이 타고 있는 관악산이 모든 면에서 청계산의 명성을 가리고 있어(순전히 나의 주관적인 판단임) 부득불 관악산으로 그 맥을 이어가는 산줄기를 관악지맥이라고 칭하고 나니 자연스럽게 청계산은 그 줄기에서 뻗어나온 단맥에 그치고 말게 된 것이다
19. 한남관악삼성단맥
한남관악지맥이 관악산 정상으로 가기전 서울시 관악구, 과천시, 안양시 동안구의 삼개행정구역을 분기하는 곳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십자안부 무네미고개(250)-삼성산(530, 2.2)-강남순환도시고속화도로에서 금천구와 관악구의 경계를 따라 산복터널(3.2/5.4)-난곡중교-금천경찰서(3.4/8.8)-남부순환도로 구로경찰서(3.1/11.9)-구로역(1/12.9)-46번국도를 지나 1번국도를 지나 도림천과 안양천이 만나는 곳(1.6/14.5)에서 끝이나는 약14.5km의 산줄기를 말하지만
금천경찰서까지만 답사가 가능하고 나머지는 전부 도시화가 되어 시내 한복판을 걸어가는 길이니 굳이 답사할 일은 아니다
20. 한남관악현충원단맥
한남관악지맥 관악산 정상 지나 남태령으로 가면서 오른 등고선상550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강남순환도시고속화도로예정지-인헌중교-지하철2호선남부순환도로(3.7)-
관악구와 동작구의 경계를 따라 지하철7호선-국립현충원(2.4/6.1)-국사봉중교-
당곡중교-삼성아파트도로(3.5/9.6)-보라매역-영등포역 46번국도(3/12.6)-
영등포경찰서-당산동-양화동 인공폭포 지나 안양천 한강 합수점 염창교(5.2/17.8)에서 끝이나는 약17.8km이지만 국립현충원까지는 어떻게 종주가 될지 모르나 그 이후는 전부 도심으로 변해 시내 한복판을 걷는 일이므로 생략하는 것이 어찌보면 더 타당할 수도 있다
21. 한남팔달단맥
한남정맥 광교산 지나 1번국도 지지대고개로 내려서기전 등고선상29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영동고속도로(3.4)-광교유원지입구-수원북중교(2.2/5.6)-
팔달공원-경기도청-경부선철로(4.5/10.1)를 지나 밭두렁을 진행해 수원시 권선구 대황교동 광교천이 황구지천을 만나는 곳(4.4/14.5)에서 끝이 나는 약14.5km의 산줄기를 말하나
실질적으로는 수원북중교 이후는 팔달공원 하나를 제외하곤 전부 도심지를 걷는 길이고 마지막에는 논두렁 밭두렁을 가는 길이므로 생략하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22. 한남여기단맥
한남정맥이 지지대고개에서 의왕시와 수원시 장안구의 경계를 따라 올라 급하게 좌측으로 유턴하는 지점에서 한남정맥은 북쪽 오봉산으로 가고 한줄기를 분기하여 의왕시와 수원시 장안구의 경계를 따라 남진하여 199.7봉-영동고속도로 장안말고개(1.7)-수원서광학교-성군관대역(2.3/4)-성군관대학교-
여기산공원(2.4/6.4)-42번국도-권선구 고색동 43번국도(3.5/9.9)를 지나 중복들 논두렁을 지나 위생처리장이 있는 고색동 중복천이 황구지천을 만나는 곳(2.2/12.1)에서 끝이나는 약12.1km의 산줄기를 말하나
율전동까지만 산줄기가 살아있고 나머지는 모두가 도심을 지나는 길이고 마지막에는 눈두렁을 진행하는 길이므로 생랴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5. 한남서봉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안양 남양 아산
한남정맥이 수원 광교산에서 안양 수리산으로 가던 중 오봉산을 지나 경부선 철로를 건너 안양골프장을 지나 군포시 항동마을 47번국도변에서 올라간 도면상 184봉에서 정맥은 서진을 하고 한줄기를 남쪽으로 분기하여 47번국도-100.5봉-신길안산간고속도로(70, 1.7)를 건너 125봉에서 구봉산을 오른다
구봉산(九峰 150, 1.7/3.4)-△105.3봉-42번국도 비늘치(50, 2.5/5.9)-천주교공동묘지 전부터 계속하여 수원시와 화성군의 경계를 따라 187봉에서 서쪽으로 나봉산(羅峰 135, 여맥)을 떨군다
지맥은 남진하여 165봉-185봉-七寶산(△238.8, 4.6/10.5)-△234.7봉-
과천봉담간고속도로(50, 2.2/12.7)-98번국지도(1.5/14.2)-
고금산(古琴 △86.6, 3/17.2)-84번국지도(1.2/18.4)-△119.4봉(1/19.4)에서 서진하는 능선을 따라간다
동화리 협성대학교 도로-장안대학(150, 1.9/21.3) 뒷산에서 서쪽으로 三峰산(270, 분맥)과 太行(295, 분맥) 그리고 이일대 최고봉인 건달산(建達 330, 여맥)을 떨구고 남진한다
△134.7봉-태봉산(泰峰 203, 2.8/24.1)에서 화성군 봉담읍과 정남면의 경계를 따라 남진을 하며 158봉지나 경부고속철도(70, 2/26.1)를 건너게 된다
서봉산(棲鳳 △250.3, 1.6/27.7)에서 서쪽으로 서학산(棲鶴 130, 여맥)을 떨구고 화성군 향남면내로 들어가 남진을 한다
139봉-도이리도로(90, 3/30.7)-△139봉-99봉-139봉-향남면 화리현리 양석골 도로(70, 2.7/33.4)-△108.2봉에서 향남면과 양감면의 경계를 따라 남진을 한다
대양리도로-요당리 도로(30, 5.5/38.9)-덕지산(德智 130, 1/39.9)에서 평택시내로 들어가 남진을 하며 어소리도로-평택음성간고속도로를 건너-
△43.8봉-340번 지방도로 청북중교(30, 3.7/43.6)지나
동쪽으로 오봉산(五峰, △109.8)어깨를 지나 남진한다
39번국도 오뚜기식품공장 (30, 2.3/45.9)에서 올라간 무명110봉에서 북쪽으로 있는 무성산(武城, △112)어깨를 지나 남진하여 106봉-39번국도(5.1/51)부터 대개 낮은 구릉들이 다 그렇듯이 마루금으로 도로가 나 있으니 도로를 따라 가는 길이 된다
평택시 안중읍 38번국도 사거리(1.6/52.6)-△49.3봉에서 남쪽으로
馬鞍산(101, 단맥)을 떨구고 서진하여 한리마을(3/55.6)에서 서쪽으로
大德산(68, 여맥))을 떨구고 남진을 한다
321번지방도로 따라 평택시 현덕면 화양리 지나 도대리 지나 기산리 39번국도 기천곡(30, 4.7/60.3)에서 39번국도 따라
옥녀봉(△83.4)어깨(수준점40.1)-가사초교-수준점30.1(3.5/63.8)을 지나 논밭 도로를 지나온 마루금이 그래도 아쉬워 아주 조그만 봉우리 하나를 빚었으니 계두봉이다
鷄頭봉(50)을 올라 잠깐 내려서면 진위천이 아산호가 되고 아산호가 서해바다가 되는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 아산만관광지 아산만방조제(1.2/65)에서 끝이나는 약65km의 산줄기를 그 산줄기중 가장 높은 서봉산의 이름을 빌어 한남정맥에서 분기하였으니 한남서봉지맥이라고 이름을 지어본다
3. 한남서봉삼봉분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남양 대부
한남서봉지맥이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장안대학 뒷산인 등고선상 150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경부고속철도와 나란히 있는 43번국도를 건너 잠깐 오른 등고선상 130m 지점에서 서남방향으로 이 근방에선 제일 높은 乾達산(330)을 떨구고 북진을 한다
△225.2봉(2)-三峰산(270, 2/4)-太行산(295) 전위봉(△266.4, 1.3/5.3)에서 서쪽으로 태행단맥을 떨구고 비봉면과 봉담읍의 경계를 따라 남진한다
기천저수지 338번지방도로 요골고개(70, 2.8/8.1)-창곡리도로(90, 1.3/9.4)-구장리 도로로 가면서 동남방향으로 鐵馬산(168)을 떨구고 남진한다
구장리도로(50, 3/12.4)-새터말도로(70, 1.6/14)-鳥頭산(130) 지나 서해안고속도로(50, 2/16)에서 서근리도로로 가면서
지산어깨에서 동남방향으로 [지산(△113.5), 둥구산(125)]을 떨구고
서쪽으로 舞鳳산(91)을 떨구고 서근리 아랫느락골도로(30, 2.7/18.7)로 내려선다
화당리농로(30, 1.5/20.2)에서 동남쪽으로 꽃당산(90)을 떨구고
띠개도로(30, 2/22.2)-안말마을(30, 1.2/23.4)-△74.9봉-
대남산도로(30, 2/25.4)-大南산(90)에서
동남쪽으로[箭筒산(90), 농뿌리산(△38.6)을 떨구고 남진한다
小南산(110)-독지골321번지방도로(30, 1.5/26.9)-
일원동도로(30, 2.5/29.4)-烽火산(△61.3, 2/31.4)-不老산(70, 1.3/32.7)-
寶金산(△59.9, 1.8/34.5)-가래도로-고잔도로(30, 2.8/37.3)에서 21봉 지나
미군부대 폭격장으로 많은 주민들이 고생하고 있는 화성시 우정읍 매향리 고온이마을 매향선박출입항(0, 2.3/39.5)에서 바다가 되는 산줄기를 그 산줄기에서 제일 높은 삼봉산의 이름을 빌어 한남서봉지맥에서 분기하여 30km가 넘으므로 나의 산줄기분류방법대로 한남서봉삼봉분맥이라고 이름을 짓는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山經表 77, 78頁을 살펴보면
漢南正脈
.
.
光敎山
沙斤峴 西南來
五峰山 廣州西六十里 分二?→①
修理山 西北來 安山治在西一里 一名見佛山 廣州西六十里 果川南二十五里
五子山 安山西十里
.
.
광교산은 지금 수원의 진산인 광교산이다
광교산에서 서남쪽으로 뻗어나가면 사근현이라는 곳이 나온다
지금의 수원의 북쪽 관문인 1번국도 지지대고개로 추정이 된다
오봉산은 광주 서쪽 60리에 있는 산으로 두줄기로 분기를 한다
지금의 의왕시에 있는 오봉산이다
한줄기는 아래 한남정맥 수리산으로 이어지고 또 한줄기가 아래 ①번과 같이 분기를 한다
수리산은 오봉산에서 서북으로 뻗어나가 서쪽으로 1리에 있는 안산에서 다스리는 곳이다 일명 견불산이라고도 한다
광주 서쪽 60리 과천 남쪽 25리에 있는 산이다
지금의 안양의 진산인 수리산이다
오자산은 안산 서쪽 10리에 있는 산이다
①→增岳山 西南來 水原西十三里 分二?→②
鉢岾山 南來 一名南山 水原治在北二里
증악산은 오봉산에서 서남쪽으로 뻗어나간 산으로 수원서쪽 13리에 있는 산으로 두줄기로 분기를 한다
한줄기는 아래 발점산으로 이어가고 한줄기는 아래 ②와 같이 이어진다
발점산은 증악산에서 남쪽으로 뻗어나간 산으로 일명 남산이라고 부르며 북쪽으로 2리에 있는 수원에서 다스리는 산이다
②→合山 西來 南陽東二十里→③ ④
乾達山 仝上 水原西南二十里 分二?→⑤
飛鳳山 南陽治在西十里
屈峙 南陽北十里
海望山 仝上
합산은 증악산에서 남쪽으로 뻗어나가 남양 동쪽 20리에 있는 산이다
산경표에는 표기가 누락이 되어 있으나 아래 ③번과 ④번으로 분기가 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추정을 해보면 分三?가 누락이 되어 있다
건달산은 위와 같으며 수원에서 서남쪽으로 20리에 있는 산으로 두줄기로 분기를 한다
건달산은 지금의 서봉지맥에서 서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산이다
한줄기는 비봉산으로 산줄기를 이어가고 한줄기는 아래 ⑤번과 같이 분기를 한다
비봉산은 서쪽 십리에 있는 남양에서 다스리는 산이다
굴치는 남양 북쪽 10리에 있다
해망산은 위와 같다
③→甘巖山 南來
감암산은 합산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산이다
④→興天山
望海臺 西南來 水原西南五十里 北有雙阜縣
흥천산은 합산에서 분기하여 이어지는 산이다
망해대는 흥천산에서 서남을 뻗어나가 있는 수원에서 서남방향으로 오십리에 있는 산으로 그 북쪽에 쌍부현이 있다
⑤→廣德山 水原南七十里 大津浦經其南
광덕산은 건달산에서 분기하여 수원 남쪽 70리에 있는 산으로 경기 남쪽 대진포에 있다
바로 이 산줄기들이 이름은 없지만 한남서봉지맥과 거기서 분기한 산줄기들을 기록하였다
4. 한남서봉삼봉태행분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남양 대부
한남서봉삼봉분맥이 삼봉산을 지나 △266.4봉에서 남쪽으로 흐르고 서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화성시 비봉면을 남북으로 나누며 서진하여
太行산(295, 0.7)-서해안고속도로(70, 2.2/2.9)-채석장 능선을 지나
염티고개(70, 3.1/6)-△107.6봉-임도(50, 2.7/8.7)-
77번국도 삼부실도로(90, 1.4/10.1)로 내려선다
4번군도 성고개(70, 2/12.1)-△115.4봉 북쪽 전위봉(110, 1.3/13.4)-
322번지방도로(50, 2/15.4)-솔티고개-△106.3봉(0.7/16.1)-
다락고개 사거리 도로(30, 1.2/17.3)-
318번지방도로 성목재 청원초교 삼거리(30, 1.5/18.8)에 이른다
금당1리(2/20.8)-육일리 도로-굴고개(30, 1.7/22.5)-
318번지방도로 도꾸리덩고개(30, 1.5/24)-청명산(154.9)어깨(150)-
홍법리도로(30, 1.8/25.8)-영지마을입구(1.8/27.6)-해운산(145.1)어깨 해운초교 삼거리(30, 1.9/29.5) 지나 도로따라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 배머리선착장 바닷가(0, 3.5/33)까지
약33km의 산줄기를 한남서봉삼봉분맥에서 태행산 방향으로 분기하였으므로 한남서봉삼봉태행분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23. 한남서봉삼봉태행능고개단맥
한남서봉삼봉태행분맥이 태행산에서 서쪽으로 흐르면서 남양골재채취장을 지나며 분맥은 서북방향으로 가고 한줄기를 남쪽으로 분기하여 322번지방도로 남양자동차공업사(1.4)-십자안부 도로-봉림사도로 무봉산어깨(1.6/3)-도로따라가다 318번지방도로 능고개(1.8/4.8)-도로를 만나 도로따라 가다 77번국도(2.4/7.2)를 만나 이후 국도따라 백금전자삼거리-대고삼거리-2번군도와 만나는 삼거리-매바위삼거리(3.6/10.8)를 지나 계속 도로따라 수로를 건너 자안천변(1.6/12.4)에서 끝이나는 약12.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4. 한남서봉명봉단맥
한남정맥 투구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흐르다 서봉산 지나 등고선상210
에서 지맥은 남쪽으로 흐르고 동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경부고속철도
서봉2터널위 명봉산(0.7)-309번지방도로(1.4/2.1)-
화성상수도사업소 82번국지도(2/4.1)-경부고속철도 68번군도(2/6.1)-
삼성산-두머리고개(1.9/8)-초록산(120)산림욕장-152봉-
306번지방도로(2.4/10.4)-57번군도(1.4/11.8)-비산비야를 달려 어연한산지방산업단지-302번지방도로(3.5/15.3)를 지나 또 비산비야를 달려 평택~오산간고속도로를 지나 평택시 청북면 백봉리 원백동마을 관리천이 진위천을 만나는 곳(4/19.3)에서 끝이나는 약19.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5. 한남사동단맥
한남정맥이 수리산에서 수암산으로 가면서 안양시 만안구, 시흥시, 군포시의 세행정구역의 분기점인 꼬갈봉(451.5)에서 대체적으로 서남진하는 산줄기를 분기하여 바람고개-196.9봉-반월터널 경부고속철도터널-서해안고속도로 순신터널-제일골프장(4.5)-42번국도-구룡공원(3/7.5)-한대앞 전철정류장-사동치안센터-감골공원(2.1/9.6)-사동공원(101.4, 1.2/10.8)-98번국지도(1.5/12.3)를 지나 창석초교 지나 안산천과 반월천이 만나는 곳(1.2/13.5)에서 끝이나는 약13.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6. 한남마산단맥
한남정맥 수암봉 지나 335.3봉에서 서진하다가 등고선상210봉에서 한남정맥은 북쪽으로 흐르고 한줄기를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시흥시 조남동 42번국도-서해안고속도로 조남IC(1.6)-마산(246.2, 3.2/4.8)-도로-290번도로(2/6.8)-
고주물도로-안산시립공원묘지 도로-39번국도 서안산IC(3.5/10.3)-
군자산(198.4, 1.2/11.5)-도로(1.7/13.2)-134.8봉-도로-영동고속도로(2.4/15.6)-
도로-삼안도로-요오굴도로-안산선철로 오이도역 남측(3.3/18.9)-도로를 건너 시흥시 정왕동 시화공업단지를 가로질러 77번국도-오이도(72.9, 4.5/23.4)를 지나 오이도관광단제 경기만(0.6/24)에서 끝이나는 약24km 의 산줄기를 말한다
27. 한남서산단맥
한남정맥이 수암봉 지나 등고선상150봉에서 서쪽으로 가고 한줄기를 북쪽으로 분기하여 일직터널-도로-서해안고속도로(2)-서산(170, 1/3))-서독터널-
제2경인고속도로 광명터널(3.1/6.1)-능고개-한치고개도로(1.8/7.9)-
가락고개도로(1.2/9.1)-가림근린공원-광명시청(2.9/12)을 지나 이후 도심 한가운데를 진행해 안양천변 경인선철로(2.2/14.2)지나 안양철교(2/16.2)에서
끝이나는 약16.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8. 한남개화단맥
한남정맥 부천시 소사구 소사2지구 39번국도 여우고개를 가기 바로 전 할미산(153.2) 동측 소사고교에서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범박지구-구로구와 부천시의 경계능선을 만나 소사구 항동 유한대학 46번국도(3.7)-경인선 온수역 서측-작동터널 수렁고개(3/6.7)-능고개도로-경인고속도로(2.1/8.8)-
남부순환로-수명산(3.1/11.9)-6번국도 마곡역(1.8/13.7)-
48번국도 개화산역(2.5/16.2)-개화산-개화터널-방화지하철 차량기지-올림픽대로 개화IC(2.4/18.6)-수로를 건너 전호산(70, 1.7/20.3)을 지나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밑으로 해서 굴포천이 백마도 앞에서 한강을 만나는 곳(1.2/21.5)에서 끝이나는 약21.5km의 산줄기를 말하지만
실제적으로 종주할 곳은 경인고속도로 신월IC 서측까지와 끝에가서 개화산 외에는 전부 도시화가 되어 도심 한복판을 걷는 길이기 때문에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29. 한남문학단맥
한남정맥 부평구 십정동 무명봉에서 정맥은 북쪽으로 뻗어나가고 한줄기를 서쪽으로 분기하여 봉합산(1)-경인선 주안역-42번국도-인천시 남구 관교동 신비마을 아파트-북망산(5.1/6.1)-인천문학경기장-제2경인고속도로-문학산(213, 2.1/8.2)-문학터널=인천시립사격장-수인선 송도역(2.9/11.1)-시립박물관-
청량산(172, 1.5/12.6)-대건고교(1.9/14.5)지나 인천시하수종말처리장 77번국도 사거리(1.1/15.6)를 지나 강같은 바다(0.1/15.7)에서 끝이나는 약15.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0. 한남옥녀단맥
한남정맥 계양산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병방동 도로(2.4)-장군봉-
장군봉고개-공항열차 계양역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굴포천수로다리(2.6/5)-
장기지구-신촌도로-박우물도로-비석산-안산-역마산-대보천수로(3.1/8.1)-보름산-노루메산-부왕산-48번국도(2/10.1)-옥녀봉-고촌중교-고촌면 신곡지구 엄사정고개-78번국지도(2.7/12.8)를 지나 신곡양수장이 있는 굴포천이 한강을 만나는 곳(0.2/13)에서 끝이나는 약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한남정맥산줄기이야기 完
출처 : 우리산줄기이야기글쓴이 : 신경수(산경표) 원글보기메모 :'한북정맥(완주) > 한남정맥(완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남정맥 6구간에서 (0) 2013.07.16 [스크랩] 한남정맥 7구간 (0) 2013.07.16 [스크랩] [한남정맥5]수현마을 -거마산 -와우고개-하우고개-여우고개 -양지산 - 운흥산 -목감사거리 (0) 2013.06.10 [스크랩] 한남정맥4구간(징명이고개~장수IC) (0) 2013.05.13 [스크랩] [한남정맥4]장명이고개 -철마산 - 아나지고개 -철마산 -광학산-수현마을 (0) 2013.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