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통도사19암자순례코스(산문밖암자4, 산내암자 15)
    둘레길/통도사19암자순례코스 2024. 12. 26. 12:18

    언     제 : 2024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 수요일 맑음

    누 구 랑 : 전 살터산악회대장 오대장 , 송아 김현숙

    거     리 : 20.08㎞ 10:54:33 소요 보리암에서 축서암까지는 측정을 못한 거리임

                   여기에 1:20:32, 3.93㎞더해서 12:00:00 소요됨) 

    코     스 :  영축산산문앞 주차장 - 관음암 - 보문암 - 무량암 - 축서암(취서암) - 취서산장 - 

                    영축산 정상(1081미터) - 함박등정상(1052미터) - 백운암 - 비로암 - 극락암 - 반야암 -

                   서축암 - 금수암 - 자장암 - 달마봉 - 사명암  - 백련암(백련정사) -  옥련암 - 16만 도자대장경-

                   서운암 - 국제템플스테이관 - 수도암 - 취운암(취운선원) -  안양암 - 보타암 - 오층석탑 -

                   통도사 설선당 - 통도사성보박물관 -영축산산문주차장 

     

    ◈갈     때 : 2024년 12월 24일 밤 23:59분출발 - 04:05도착(동서울터미널 - 양산터미널)(47,300원)

                       양산터미널에서 통도사 택시이동(약4만원)    

     

      올     때 : 통도사에서  양산기차역까지 택시이동  양산 kts 서울역 

     

     

    12월 25일 05:02  영축산문

    05:05

    05:13 이 여페서 새벽 쌀국수 먹음

     

     

    05:59      관음암은 정악당 태응스님이 창건(1981년~2018. 5. 12. 0:20 관음암에서 입적. 승납62년, 세수 78세) .

    열반송: "千金萬寶藏(천금만보장) 本是一空紙(본시일공지)生也鷲山裏(생리축(취)산리 滅去亦是山(멸거역시산)

    온갖 보배가 빈 종이 한자, 영축산에  살았으니 그 산으로 가리라" 

    17세(1956년)  성수스님을  은사로 출가. 1957년 범어사에서 동산스님을 계사로 사미계를, 1960년 범어사에서 석암스님을 계사로 비구게를 수지하고 통도사 전문강원 대교과를 졸업했다

    관음기도도량 

    (자광전: 은혜가 흐르는 집, 부처님의 전당이라는 뜻).

    탑은 창건당시 미얀마에서 진신사리를 모셔와 안치한 진신사리탑이다.

    계족암

    보문암

    무량암

    보문암

    무량암

    좌측으로 진행

    보현암

    축서암(취서암) (보현암에서 산 기슭을 타고 넘어 오니 축서암)

    축서암

    영축산으로 오르면서 축서암 전경  (여기서 영축산 등산로로 가지 않고 암자 순례 비로암으로 바로 가기도 한다.)

    우리는 영축산으로 

    취서산장

    영축산에서 통도사 전경

    신불등선과 영남알프스

     고  김성국 추모비

    드디어 백운암 일주문 

    산신각

    영취산

     등산 임도 타고 내려오다 비로암을 보고 산 옆구리 타고 건너감 

    비로암

    비로자나부처님

    극락암

    반자 (경남  문화재자료 제386호) 무량수전에 걸려있는 이 청동반자는 직경 85.5~85.8㎝ 크기의 대형이다.

      측면에 반원형의 고리 두깨가 붙어 있어 원래는 양쪽 고리로 고정시켰음을 알 수 있다.

    경봉스님 글씨

    삼소전에 모셔진 경봉스님 

    반야암

    축서암

    금수암일주문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