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크랩] 한남 금북정맥 1구간 천왕봉~갈목재
    한북정맥(완주)/한남금북정맥(완주) 2012. 7. 29. 12:57

     

     

     

    천황사

     

    천왕봉

     

    한남금북정맥 갈림길

     

    삼가리가 보이는 전망 좋은곳

     

    고사목

     

    갈목재

     

    들머리

     

    전망 좋은곳에서 뒤돌아본 천왕봉, 923m봉, 807m봉 

     

    암벽 뒤로 백두대간의 형제봉 가는길

     

     

     

    2012 7월 22일 일요일

    도상거리 153.65 km가 되는 한남금북정맥을 속리산 천왕봉에서 시작하여

    안성 칠장산 삼정맥갈림길까지 진행합니다

    도화리(윗대목리) 천황사 우측 마을 앞길로 진행하여 천왕봉에 오르고

    한남금북정맥 갈림길로 되돌아와 작은 삼각점이 있는 667.3m봉을 지나고

    무인감시카메라가 있는 574m봉을 지나 갈목재에서 산행을 마무리합니다

     

     

    산행지 :  도화리(읫대목리)~△천왕봉(속리산, 1058m)~한남금북정맥 갈림길~923m~807m

                  ~△667.3m~574m(무인감시카메라)~불목이재~580m~515m~갈목재

     

     

    산행일 : 2012, 07, 22 일요일

     

     

    산행시간 : 7시간 30분 (아침, 휴식포함)

     

     

    산행한 사람 : 김동혁, 거인산악회

     

     

    지도(누르면 확대됩니다)

     

     

     

     

     

              % 산행정리 %

    10:27  천황사 우측으로 마을 앞길을 지나 다리를 건넙니다          

              이전의 마을 이름은 내속리산면 대목리엿으나, 내외속리산면이 속리산면으로

              통합되면서 도화리(복숭화꽃 동네)로 개명되었는데, 천황사로 들어오는 마을 입구에는

              두개의 마을 표지석이 세워져 있습니다

              이정표 ← 삼가리 3.9 km, → 천왕봉 2.7 km

    10:29  길 좌측으로 천하대장군, 지하여장군과 토속 신앙의 신들과 돌탑이 세워져 있고

              우측으로 태고종 대청사라는 절의 공사가 한창 진행중입니다

    10:48  나무다리

    11:01  묘지가 있는 넓은 공터

    11:06  이정표  ← 도화리 1.6 km, → 천왕봉 1.1 km

    11:07  돌탑 있는곳

    11:11  너덜길이 시작됩니다

              아침에 비가 와서 습도가 많고 바람이 없어 땀을 많이 흘립니다

    11:45  너덜길 끝

    11:51  형제봉 갈림길

              우측으로는 백두대간 형제봉이고, 좌측 천왕봉을 향해 갑니다

    12:06  한남금북정맥 갈림길

              좌측에 바위와 출입금지 표지판이 있고, 표지판 우측으로 가면 한남금북정맥이고,

              50m 위에 있는 천왕봉을 다녀오기로 합니다

    12:07~12:25  천왕봉(1058m)

               천황사에서 천왕봉까지 1시간 40분이 소요되었습니다

              속리산은 최고봉인 천왕봉(1058m)을 비롯하여 비로봉(1032m), 문장대(1054m)관음봉(982m),

              길상봉, 문수봉등 9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어 예전에는 구봉산이라 하였습니다

              천왕봉에서 떨어진 빗물이 백두대간, 한남금북정맥을 기준으로 동쪽은 낙동강,

              남쪽은 금강, 서쪽은 남한강으로 흐르는데 이를 가리켜 삼파수라 합니다

              정상석과 삼각점(속리 11, 2003 재설)있습니다

              2005년 백두대간을 할때는 천황봉이었는데 천왕봉으로 바뀌었고,

              정상석을 조금 앞으로 옮겨 놓았습니다

     

    12:26  한남금북정맥 갈림길로 되돌아 와 

              바위가 있고 출입금지 표지판이 있는 우측으로 갑니다

    12:27~13:07  바위 우측에 올라 점심

    13:15  좌측에 묘지 2기 잇는곳

    13:32  923m봉

              좌측으로 우회합니다

    13:37  807m봉

              우측으로 내려 갑니다

    13:47  안부

    13:57~1405  바위 전망대

              삼가리와 삼가저수지가 보이는 전망 좋은곳 

    14:19 665m봉

    14:21  안부

              좌측으로 도화리 우측으로는 사내리로 이어집니다

    14:31  620m봉

    14:40  687m봉

    05:03  667.3m봉

              작은 삼각점이 있습니다

    05:12~13:22  635m봉

              사각형으로 돌들이 놓여 있는곳

              우측으로 내려 갑니다

    15:46  또다른 635m봉

              좌측으로 꺽어집니다

    15:48  638m봉 좌측 사면으로 우회합니다

    16:25  561m봉

    16:34  574m봉 무인감시 카메라

              *** 주의 *** 우측으로 내려 갑니다

    16:38  안부

              *** 주의 *** 574m봉 무인감시카메라 있는 곳에서 우측으로 내려 가다 첫 안부에서

              좌측으로 내려 가야 불목이재로 갑니다

    16:41  불목이산 농장

              철조망 따라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16:44  불목이재

    16:52  487m봉 폐 헬기장

    17:18~17:28  580m봉 갈림길

              580m봉 오르기까지 급경사라 힘이 많이 듭니다

              우측 가까운 곳에 580m봉이 보이고, 좌측으로 내려 갑니다

    17:33   은진 송씨 묘

    17:43  585m봉

    17:52  515m봉

              우측으로 내려 갑니다

    17:59  갈목재 내려 가기전 후미를 기다립니다

    18:20  갈목재

              서원리와 갈목리를 이어주는 505번 지방도로

     

     

     

    민속연구가이자 에밀레 박물관장인 조자용(1926~2000) 선생은 우리나라 민간 박물관 운동의 선구자이며

    민속연구 및 민화 수집등 다양한 활동을 해온 문화계의 기인입니다

    국내 첫 미국 하버드 대학 박사 출신으로 건축학과를 졸업한 그는 대학에서 구조공학을 가르치면서

    미 대사관저를 한옥으로 설계하기도 하였고, 새마을 운동의 일환으로 시행된 농촌 지붕 개량 사업은 

    그가 제안한  "슬레이트 지붕"으로 교체하는 아이디어가 채택된 것인데,

    이 사업은 한국 건축사에서 "6.25에 이어 두번째로 큰 비극"으로 까지 혹평 받는  "초가지붕 멸종사"가 되었습니다

     

    그후 조자용 선생은 평생 참회의 길을 가고자 민속연구가로 변신,

    전국을 돌아 호랑이 민화와 도깨비 기와(귀면와) 수집에 힘씀으로서 70년대 민화 붐을 조성 하기도 하였고,

    호랑이해, 호랑이시에 태어난 그는 "호랑리는 힘과 사랑, 용맹과 부드러움, 장엄함과 웃음을 동시에 간직한 한민족의 상징"

    이라고 주장하면서 "한국 호랑이의 해학", "한국 호랑이의 정신" 등의 영문 저서를 내기도 했습니다 

    또한 민속문화와 기층문화를 탐구하는 민학회의 결성을 주도했으며,

    1983년에는 에밀레 박물관을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대목리로 옮겨 지금에 이르고 있다 합니다 

     

    조자용 선생 추모비

     

    천황사

     

     

     

     

    10:27  천황사

              우측으로 마을 앞길을 지나 다리를 건넙니다

              이전의 마을 이름은 내속리산면 대목리엿으나, 내외속리산면이 속리산면으로

              통합되면서 도화리(복숭화꽃 동네)로 개명되었는데, 천황사로 들어오는 마을 입구에는

              두개의 마을 표지석이 세워져 있습니다

              이정표  ← 삼가리 3.9 km, → 천왕봉 2.7 km

     

     

    10:29  길 좌측으로 천하대장군, 지하여장군과 토속 신앙의 신들과 돌탑이 세워져 있고

              우측으로 태고종 대청사라는 절의 공사가 한창 진행중입니다

     

     

    10:48  나무다리

     

    11:01  묘지가 있는 넓은 공터

     

     

    11:06  이정표 ← 도화리 1.6 km, → 천왕봉 1.1 km

     

    11:07  돌탑 있는곳

     

    11:11  너덜길이 시작됩니다

              아침에 비가 와서 습도가 많고 바람이 없어 땀을 많이 흘립니다

     

     

    산머루

     

     

     

     

    11:32  돌들로 우측에 축대를 쌓아 놓은곳

     

     

    11:45  너덜길 끝

     

     

    11:51  형제봉 갈림길

              우측으로는 백두대간 형제봉이고, 좌측 천왕봉을 향해 갑니다

     

    12:06  한남금북정맥 갈림길

              좌측에 바위와 출입금지 표지판이 있고, 표지판 우측으로 가면 한남금북정맥이고,

              50m 위에 있는 천왕봉을 다녀오기로 합니다

     

    12:07~12:25  천왕봉(1058m)

              속리산은 최고봉인 천왕봉(1058m)을 비롯하여 비로봉(1032m), 문장대(1054m)관음봉(982m),

              길상봉, 문수봉등 9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어 예전에는 구봉산이라 하였습니다

              천왕봉에서 떨어진 빗물이 백두대간, 한남금북정맥을 기준으로 동쪽은 낙동강,

              남쪽은 금강, 서쪽은 남한강으로 흐르는데 이를 가리켜 삼파수라 합니다

              정상석과 삼각점(속리 11, 2003 재설)이 있습니다

              2005년 백두대간을 할때는 천황봉이었는데 천왕봉으로 바뀌었고,

              정상석을 조금 앞으로 옮겨 놓았습니다

     

    천왕봉

     

    2005년 백두대간 당시의 정상석

     

     

    삼각점(속리 11)

     

     

    또다른 기준점

     

     

     

     

     

     

    12:26  한남금북정맥 갈림길로 되돌아 와

              바위가 있고 출입금지 표지판이 있는 우측으로 갑니다

     

    12:27~13:07  바위 우측에 올라 점심

     

    점심 식사중 입석대 신선대 경업대 방향

     

     

     

    13:15  좌측에 묘지 2기 잇는곳

     

     

     

    앞에 보이는 923m봉

     

    13:32  923m봉

              좌측 사면으로 우회합니다

     

     

    13:37  807m봉

              우측으로 내려 갑니다

     

    13:47  안부

     

     

    13:57~1405  바위 전망대

              삼가리와 삼가저수지가 보이는 전망 좋은곳

     

     

    전망 좋은곳에서 뒤돌아 바라 보는 천왕봉, 923m봉, 807m봉

     

     

     

     

     

     

     

     

     

     

     

    14:18  665m봉을 오르며 뒤돌아본 천왕봉

     

    14:19  665m봉

     

    14:21  안부

              좌측으로 도화리 우측으로는 사내리로 이어집니다

     

     

     

     

     

    14:31  620m봉

     

     

    14:32  우측으로 687m봉이 보입니다

     

    14:40  687m봉

     

    05:03  667.3m봉

              작은 삼각점이 있습니다

     

     

    05:12~13:22  635m봉

              사각형으로 돌들이 놓여 있는곳

     

     

    15:46  또다른 635m봉

              좌측으로 꺽어집니다

     

    15:48  638m봉

              좌측 사면으로 우회합니다

     

     

     

    16:25  561m봉

     

    16:34  574m봉  무인감시 카메라

              *** 주의 *** 우측으로 내려 갑니다

     

     

    16:38  안부

              *** 주의 *** 574m봉 무인감시카메라 있는 곳에서 우측으로 내려 가다 첫 안부에서

              좌측으로 내려 가야 불목이재로 갑니다

     

    16:41  불목이산 농장

              철조망 따라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16:44  불목이재

     

     

     

    16:52  487m봉 폐 헬기장

     

     

    17:04  580m봉을 향해 오릅니다

     

    17:18~17:28  580m봉 갈림길

              580m봉 오르기까지 급경사라 힘이 많이 듭니다

              우측 가까운 곳에 580m봉이 보이고, 좌측으로 내려 갑니다

     

     

    17:33  은진 송씨 묘

     

     

     

    17:43  585m봉

     

     

     

     

    17:52  515m봉

              우측으로 내려 갑니다

     

    17:59  갈목재 내려 가기전 후미를 기다립니다

     

    18:20  갈목재

              서원리와 갈목리를 이어주는 505번 지방도로

     

     

    다음 구간 들머리

     

    함께 산행 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출처 : 김 동혁의 산행일지
    글쓴이 : 김동혁 원글보기
    메모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