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한북정맥(157.4Km)과 8개의 지맥한북정맥(완주) 2013. 9. 29. 20:25
한북정맥/漢北正脈 (157.4Km)과 8개의 지맥
강원과 함남도의 도계를 이루는 평강(平康)군의 추가령(楸哥嶺)에서 서남쪽으로 뻗어 한강과 임진강의 강구(江口)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동쪽은 회양(淮陽),화천,가평,남양주 등의 한강 유역이 되며, 서쪽은 평강·철원·포천·양주 등의 임진강 유역이 된다.
白頭大幹의 추가령에서 서남으로 갈라져 백암산,양쌍령(兩雙嶺),적근산(赤根山),대성산(大成山),수피령(水皮嶺),광덕산(廣德山),백운산,국망봉(國望峰),강씨봉(姜氏峰),청계산,현등산(懸燈山),죽엽산,도봉산,노고산,현달산(峴達山),고봉산,장명산(長命山) 등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이다.
한북정맥은 남한쪽 대성산~장명산 구간을 답사 할 수 있는데 그나마 대성산은 오를 수가 없어 수피령이 시작과 끝이 되는 셈이다.
거리는 약 157.4km 에 달하지만 도봉산과 노고산 이후 부터는 현저히 고도가 낮아지며 도시화된 탓에 제대로 정맥을 찾아가기가 어렵고 능선다운 이어짐은 없다고 봐야 한다.※ 한북오두지맥이란?(44Km)
한북정맥이 백두대간의 추가령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내려오면서 한강과 임진강의 합수지점인 교하의 장명산에서 그 맥을 다한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신산경표(저자 박성태)에는 한강봉에서 도봉산으로 내려가지 않고 말머리고개로 내려가 수리봉, 계명산, 박달산, 월롱산, 보현산으로 이어지면서 한강과 임진강의 경계를 이루는 파주의 오두산(통일전망대)에서 그 맥을 다하는 산줄기를 한북정맥이라 한다.오두지맥은 한창 논란중인 한북정맥의 끝이 어디인가를 가르는 지맥이기도 하다. 어떤 이는 이곳이 한북정맥이고 도봉산, 삼각산을 통하여 장명산으로 가는 맥을 도봉지맥이라 부르기도 하며, 누군가는 삼각산이 한북정맥의 끝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산꾼은 그저 산에 들면 그뿐, 무엇이 옳은지는 나중으로 미루도록 하고, 아직은 정확한 정맥으로 분류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한북기맥 또는 한북오두지맥이라고 칭한다. (여기저기서...)
============================================================
★ 1구간 : 수피령 - 광덕고개(19.5Km)
수피령-복계산-복주산-하오현-상해봉-광덕산-광덕고개
※ 수피령 : 다목리에서 김화(와수리=와스베가스) 넘어가는 고갯길, 대성산지구전적비가 있는 곳이 수피령이다.
※ 한북 명성지맥이란?
남진하던 백두대간이 추가령에서 장명산까지 한북정맥을 만들고 그 한북정맥 산줄기중 광덕산에서 또하나의 산줄기를 만들어 박달봉(800m) 어깨에서 자등현, 각흘산(838m), 명성산(923m), 여우봉(620m),사향산(736m),관음산(733m),불무산(663m),보장산(555m)을 거쳐 철원 한탄강 남쪽, 영평천으로 잠겨드는 도상 40km(실거리 52Km)의 산줄기이다.
명성지맥은 한북 8지맥중 가장 험란하다.
명성산 까지는 등로개척이 되어 있지만 명성산 삼각봉에서 여우봉까지는 포부대 훈련장으로 인해 등로가 끊어져 있고 사향산 북쪽사면은 암릉에다 군부대 철조망이 늘어져 있어 주의하여야 하며 관음산에서 도내지 고개에 이르는 길은 지뢰지대이고, 도내지 고개에서 불무산으로 오르는 북쪽사면 또한 지뢰지대로 도무지 대책이 서지않는 산줄기이다.
★ 2구간 : 광덕고개 - 도성고개(21.7Km)
광덕고개-백운산-도마치봉-국망봉-민드기산-개이빨산-도성고개
※ 한북 화악지맥이란?
한북정맥 국망봉과 백운산 사이의 도마치봉에서 남쪽으로 시작하여 남동쪽으로 뻗다가 다시 남서쪽으로 뻗어면서 북한강이 닿는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의 보납산 자라목까지 약 47.67 km의 능선으로 도마치봉, 석룡산, 화악산, 응봉, 촉대봉, 몽덕산, 가덕산, 북배산, 계관산, 월두봉, 보납산의 자리목까지 이어지는 능선이며 자라목 끝부분에는 중공39.40군, 괴뢰10사단과 아군 5.6사단과 미9군단이 적의 치열한 포탄속에서 이 지구를 끝까지 확보하여 전세를 유리하게 전개하였다는 1958년에 세운 가평지구 전투전적비가 세워져 있다.
※ 한북 연인지맥(명지지맥)이란?
한북정맥이 국망봉에서 강씨봉고개(오뚜기령)를 지나 890봉(귀목봉 갈림길)에서 머리를 서남방향으로 돌려 청계산 노채고개 운악산으로 흐르고 이 890봉에서 또 한줄기가 동쪽으로 분기하여 귀목봉(1036m)-귀목고개-1199봉-아재비고개-우목봉(연인산1068m)-전패봉(1056m)-우정봉 (910m)-전패고개(우정고개)-매봉(929m)-깃대봉(909m)-대금산(704m)-592봉-불기산(600m)- 빛고개(46번국도)- 주발봉(489m)- 큰골도로- 597봉- 613봉-호명산(632m)-호명굴-청평공고를 거쳐 한강에 이르는 약 45km에 달하는 장대한 산줄기를 말한다 .....한국의산하, 신경수님 글......
참고로 한북연인지맥은 이 산줄기중 가장높은 명지3봉(1199m)의 이름을 따서 명지지맥이라 불리기도한다.그러나 명지3봉이 연인산(1068m)보다 높기는 하나 명지3봉이 명지산의 주변산인 동시에 명지산과 함께 독자적인 명지단맥을 형성하고있는 반면에 연인산은 그 독자적인 산줄기 전 구간이 지맥을 형성하고 있으면서도 그 산세가 수려하므로 신경수님의 의견을 쫓아 이 지맥줄기를 연인지맥으로 부르기로 한다.
신산경표(저자 : 박성태)에는 연인지맥을 명지지맥으로 분류하고 있다.
★ 3구간 : 도성고개 - 노채고개(16.1Km)
도성고개-강씨봉-오뚜기령-청계산-길매봉(정상 헬기장)-노채고개(청계저수지 쪽 200m 약수터)
★ 4구간 : 노채고개 - 축석령(27.1Km)
노채고개-원통산-운악산(현등산)-육사생도참전기념비-수원산(왕숙천의 발원지)-큰넉고개-죽엽산-비득재(할미재에서 식수)-노고산-다름고개(음식점)-귀락터널(음식점)-축석령
죽엽산 : 소흘읍 광릉은 세조(수양대군)와 정희 유씨의 능으로 노고산과 죽엽산을 거느리고 있다.
※
※ 한북 수락지맥이란?
한북정맥이 운악산 죽엽산 고모루산성 지나 314번 지방도로 광릉내 가는 도로상 무림고개에서 남진하다가 무명봉에서 서진하여 축석령으로 뻗어 나가고 그 무명봉에서 동남방향으로 한줄기를 더 만들어 도면상 무명봉-235봉-내루동-용암산-408봉까지는 광릉수목원과 개발제한구역의 경계능선과 동시에 의정부시와 포천군 소흘면의 경계를 구분 짓는다.
408봉부터-225봉-비루고개-깃대봉-박수고개-숫돌고개-사기막고개-수락산 정상까지는 의정부와 남양주의 경계능선을 이룬다.
수락산-313봉-덕능고개-불암산-420봉-노원고개-논골-삼육초교-경춘선철길-태능CC-17번국도-92봉-새우개고개-177봉-중앙선철길-망우리고개-망우리공동묘지-281봉-아차산(용마봉)-249봉-광나루유원지까지는 온전한 개발구역 내이며 서울시와 남양주의 경계를 구분 지어준다.
여기까지 이르는 약 40km(실거리 46Km) 정도의 산줄기를 한북수락지맥이라 이름한다.
북한산 도봉산의 명성에 가리어 그 빛을 약간 잃고는 있어도 결코 뒤지지않는 수락산과 불암산 그리고 아차산의 암릉미는 그 예를 찾아보기 힘들다 할 것이다 ......한국의 산하...신경수님 글에서.......
한북천마지맥은 한북정맥(漢北正脈)이 운악산과 수원산 사이에서 한 줄기를 동남쪽으로 떨구는데 주금산(814m),철마산(710m),천마산(810m),백봉(587m),고래산(529m),갑산(547m),적갑산(561m),예봉산(683m)에서 북한강과 남한강의 합수점인 두물머리로 마감하는 산줄기이며 조종천과 양수리 북한강 서쪽, 남양주 왕숙천 동쪽 분수령이고 도상거리 약 56km인 이 산줄기를 한북천마지맥(漢北天馬支脈)이라 한다.
※ 한북 천마지맥(漢北天馬支脈)이란?
★ 5구간 : 축석령 - 울대고개(28.7Km)
축석령-오리동고개-덕고개(상가식당)-덕현초교(물)-주내 순복음교회-샘내고개-임꺽정봉- 대주아파트-오산삼거리-정자(약수터)-호명산-한강봉-첼봉-울대고개
※ 한북 소요지맥(왕방지맥)이란?
한북정맥이 운악산 지나 축석령에서 헬기장인 287.3봉 직전에서 정맥은 좌측 약간 남쪽으로 굽어 서진하고 소요지맥은 우측 약간 동쪽으로 굽어 북진한다. 도면상 축석령-287봉-378.1봉-어하고개-석문령-회암령-칠봉산갈림길까지가 양주군과 포천군의 경계능선이며 해룡산-오지재고개-왕방산-국사봉-새목고개-649봉-413봉-소요산-535봉-173봉갈림길까지가 동두천시와 포천군의 경계능선이며 173봉-말턱고개까지의 짧은 구간이 연천군 청산면과 동두천시와 경계능선을 이루고 있다.
이 산줄기의 동쪽으로 떨어지는 물방울은 산내천이나 포천천으로 흘러들고 서쪽으로 떨어지는 물방울은 강화천으로 흘러들어 다 같이 한탄강에서 합류하여 임진강으로 흘러든다.
산줄기는 비교적 확실하며 그 끝이 초성리앞 강화천의 강변으로 녹아들어 한탄강과 합류한다.
이 약 30여km의 산줄기를 나는 한북소요지맥으로 부르기로 한다.
지맥으로 부르기는 그 길이가 좀 짧은 감은 있으나 한북정맥에서 직접 분기하고 있으며 소요산의 명성이 분맥으로 부르기는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 지맥으로 분류한다. ....한국의 산하 신경수님 글......
그리고 신산경표(저자 : 박성태)에는 국사봉에서 소요산으로 이어지지 않고 북동진하여 개미산을 거쳐 한탄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산줄기를 한북왕방지맥이라고 분류하고 있다.
★ 6구간 : 울대고개 - 솔고개(14.2Km)
사패산-도봉산-상장능선-솔고개※ 한북 감악지맥이란?
한북정맥에서 한강봉은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 여기서 길은 두갈래로 갈라져 오두산(통일전망대) 가는 길을 열어 한북기맥을 떨구고, 챌봉을 지나 도봉지맥으로 장명산에 이른다.
이 한강봉에서 서북진하는 산줄기를 만들어 436봉-느르미고개-은봉산-소사고개-319봉-팔일봉 어깨까지 양주군 백석면을 서북으로 가르고 가다 그 이후 지맥은 북으로 달려 노아산옆봉(330봉)을 지나 개내미고개를 훌쩍 넘어 264봉 지난 둔덕봉까지 양주군 광적면과 백석면의 면계를 가르다 274봉 세우게고개 노고산까지 양주군 광적면내를 북으로 가르다 58번 도로 수루레미고개 266봉 수레너미고개 무건이고개까지 파주시와 양주군의 군계를 가르며 흐른다.
365봉 349번 지방도인 어룡고개까지 파주시 적성면내를 흐른다.
이 줄기의 대표격인 수려한 산세를 갖고 있는 감악산까지는 양주군과 파주시 적성면 군계를 따르고 지맥은 여기서 동남 방향으로 머리를 틀어 간패고개 마차산 411봉까지는 경기도 연천군과 양주군 동두천 시계를 가르다가 잠시 강 건너 소요산과 눈인사하고 강화천과 나란히 능선이 흘러 전곡 넘어가는 3번국도 한탄강변에서 그 맥을 다하는 약 40여km의 산줄기이다. ....한국의 산하 신경수님 글......
★ 7구간 : 솔고개 - 장명산(42Km)
솔고개-노고산-삼막골-매내미고개-숫돌고개-고양중-농협대 정문-원당 경주마 목장 진입로-서삼릉삼거리-공양왕릉-현달산-고봉산(고봉정)-중산고개-금정굴-대신교회간판-파주지석묘군-교하중-핑고개-장명산-곡릉천출처 : 위하여등산클럽글쓴이 : 금수산 원글보기메모 :'한북정맥(완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북정맥4구간 (도성고개 ~ 노채고개) (0) 2013.10.12 한북정맥3구간 (도마치고개 ~ 도성고개) (0) 2013.10.05 [스크랩]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드리고자... (0) 2013.09.29 한북정맥2구간 (하오고개 ~도마치고개) (0) 2013.09.28 한북정맥 1구간 (수피령 ~ 하오고개) (0) 2013.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