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크랩] Re:정영삼선랭님 네팔어 강좌
    송아 김현숙/두런두런 2013. 8. 14. 15:00

    한국어와 말의 순서가 같아서 (주어+목적어+술어) 단어를 외워서 한국어 처럼 하면 된다.

    뿐만아니라 수식이나 전치사의 위치, 조사의 용법 도 거의 같다. 이렇게 쉬운데 배우기

    어려운 이유는 훈련이 부족해서 일뿐이다. 외국어는 기본이 되는 문장을 외워서 자동차

    기어 변속 하듯 연속된 반복훈련이 외국어를 잘하는 노하우라고 생각한다. 어차피

    발음문제는 외국인으로서의 한계가 있어서 원어민 처럼 구사하기 힘들기 때문에

    비슷하게 모방하는 것이 최선의 최고의 학습법이라 하겠다. 그래서 오늘은 네팔어의

    기본 문장 두가지(세분해서 긍정문 부정문 의문문 의 두가지 형식,즉 6가지) 익혀 봅시다.

    이 두가지 문장은 네팔회화의 절반 정도의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 문법이라면

    머리 아파 하실거 같아서 아주 쉽게 풀어서 그리고 발음도 원어에 가깝게 한글로 .ㅎㅎ

    1. ~ 호 (~이다)  /  ~ 호이너 ( ~ 아니다)

    - .요  께 호 ? (이것은 무엇 입니까?) ,됴 께 호? ( 저것은 무엇 입니까?)

    -.요 (이것)  +      [갸르 (집)]  +    호 .  / 호이너.

      됴 (저것)         [꼬타 (방)]

                            [도까 (문) ]

                            [졸라 (가방)]

                            [루가 (옷)]

                            [줏따 (신발)]

    * . 의문문은 호 ^ 의 끝을 올려 주면 됨.

      정말 간단하죠. 그럼 세가지 문장을 다시 적어 보겠습니다.

    --. 요 끼답 호 ^ ?   (이것은 책입니까?)

    --. 요 끼답 호.       ( 이것은 책입니다. )

    --. 요 끼답 호이너. ( 이것은 책이 아닙니다.)

    * 끼답 (책). 까삐 ( 공책).꺼럼 (펜). 테불 (테이블.탁자).메쩌 (의자).갸띠(시계).

    ( 이 단어를 끼답-책 대신에 넣어서 훈련 하면 됩니다. 그리고 단어 외우기가

     힘들거나 생각 안나면 영어를 끼워 넣어도 됩니다. 이래도 안 쉽다구요.ㅎㅎ )

     

    2.처(chha-있다)  / 처이너 (chhaina- 없다 )

     *영문표기에 맞춰 chha-차 , chhaina- 차이나 로 발음하면 못 알아들음.

    :소유(가지고 있다)를 나타내는 의미와 위치 (~에 있다) 를 나타내는 의미로 쓰임.

     

    메로(나의) + [갸르(집)] + [마 (~에)] + 초라 (아들) + 처 (있다). / 처이너(없다).

    떠바잉꼬(너의)                               + 초리 (딸)

                                                        +부바(아버지)

                                                        +아마(어머니)

    *의문대명사가 없는 의문문은 처^ 의 끝을 올려 주면 됨.

     의문대명사 : 께 (무엇), 꺼하 (어디),꺼히레(언제),꼬 (누구), 꺼띠(얼마),끼너(왜).

    그럼 세가지 문형을 다시 적어 보겠습니다.

    --메로 갸르 꼬리야 마 처 . ( 나의 집은 코리아 에 있습니다)

    --메로 갸르 꼬리야 마 처이너. (나의 집은 코리아 에 없습니다)

    --떠바잉꼬 갸르 꼬리야 마 처 ^ ? (당신의 집은 코리아 에 있습니까?)

    *의문대명사를 사용해서 문장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떠바잉꼬 갸르 마 꺼하 처? (당신의 집은 어디에 있습니까?)

    --떠바잉꼬 졸라 마 께 처 ?  (당신의 가방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뻐설 (가게),빠니(물),찌니(설탕),눈 (소금),서스또(값싼),머헝고(값비싼),

     따또( 뜨거운),치쏘(차가운),등 외래어를 넣어서 문장을 만들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두가지 표현을 배웠는데 앞서 말씀 드렸듯이 각 단어를 넣어서 꾸준한

    훈련을 해야만 합니다. 제 생각에는 달리 왕도는 없습니다. 자동차 기어변속을

    눈감고 하듯이 반복 연습을 통해서 네팔어도  술술  ㅎㅎ  

    이번 네팔어 공부는 여기서 끝.... 읽어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산띠--

     

    출처 : 네팔자이언트
    글쓴이 : 네팔 자이언트 원글보기
    메모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