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크랩] 일본 북알프스의 야생화 -원타이정님 사진과 글
    야생화 2013. 8. 2. 15:03

     

    일본 북알프스 야생화

     

    2008. 8. 3~5일 촬영

     

    꽃의 아름다움에 취해 시선이 지면에서 떨어질 줄 몰랐던 일본 북알프스 

    난생 처음 보는 고산식물상에 반해 해발 1500m 저지대부터 3,000m 능선에

    이르기까지 눈에 띄는 모든 꽃들을 망라하여 카메라에 담았습니다.   


     


     도라지모시대(Adenophora grandiflora  Nakai)


    속명 : 도라지잔대, 대화사삼, 큰잔대, 중부, 북부지방의 깊은 산 숲속에 자라는 다년초, 7~8월 청자색 꽃이 피며 花冠은 넓은 종형이고 길이 4cm, 지름 3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짐. 봄, 초여름에 어린 순을 삶아 말려두고 나물로 먹는다. 뿌리는 기관지염, 폐렴 등에 약용한다.

     

     

    어수리(Heracleum moellendorffii)

     

    산형과(傘形科 Ap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키는 150㎝에 이르나 줄기 속은 비어 있다. 잎은 3~5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어긋나는데, 하나하나의 잔잎은 다시 3갈래로 깊이 갈라지며 잔잎의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흰색의 꽃은 7~8월경 줄기 끝에서 겹산형[複傘形]꽃차례를 이루며 무리져 핀다. 꽃잎은 5장이며 꽃차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꽃의 꽃잎이 가운데 있는 꽃잎보다 크고 2갈래로 갈라져 있다. 열매는 편평하나 날개가 달려 있다. 숲속의 그늘진 곳에서 흔히 자라며 봄에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申鉉哲 글

     

     

     기름나물(Peucedanum terebinthaceum)


    햇볕이 잘드는 산기슭에서 자라는 산형과의 세해살이풀. 분류 산형과 분포지역 한국, 일본, 중국, 동시베리아 서식장소 양지바른 산기슭 크기 높이 30~90cm 산기름나물·참기름나물이라고도 한다. 양지바른 산기슭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추서고 가지가 많으며 높이는 30~9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넓은 달걀모양으로 2회 3출엽(二回三出葉)이다. 작은잎은 넓은 달걀모양 또는 삼각형이고, 밑쪽으로 흘러서 날개처럼 되며 다시 깃꼴로 깊게 갈라지고 결각과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집은 좁고 거꾸로 선 바소모양이다.7∼9월에 백색 꽃이 가지 끝과 줄기 끝에 복산형꽃차례[複傘形花序]를 이루며 핀다. 작은꽃가지는 10~15개이고 길이 1~2.5cm로 20~30개의 꽃이 달린다. 꽃잎은 5개이고 넓은 달걀모양이 안으로 굽으며, 수술은 5개이고 씨방은 하위(下位)이다. 꽃받침은 삼각형이고, 열매는 편평한 타원형이다.어린 잎은 식용한다. 한방에서 감기·기관지염·해소·중풍·신경통 등에 처방한다. 한국·일본·중국·동시베리아·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ミヤマシシウド

    セリ科 シシウド屬

    Angelica pubescens  var. matsumurae  심산저독활(深山猪獨活)

    생육지 : 亞高山~고산의 초지, 분포 :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8~9월, 꽃색 : 백색, 꽃의크기 : 2mm, 잎의 형태 : 2~3回3出 複葉,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높이 : 0.5~1.5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日本固有 

     

     

    オニシモツケ

    バラ科  シモツケンウ屬

    Filipendula camtschatica  귀하야(鬼下野)

    생육지 : 산지~고산의 삼림, 계곡주변,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8월, 꽃색 : 백색~홍색, 꽃잎 : 5장, 꽃의크기 : 6~8mm, 잎차례 : 호생(互生), 줄기높이 : 0.5~1.5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A. Gray)

     

    도깨비부채라는 이름은 잎 모양에서 비롯된 듯 하다. 손바닥모양의 커다란 잎이 보기만 해도 시원하다. 환경부지정 특정식물에 속한다. 범의귀과에 속하는 다년생으로 덩굴성이며 근경(지하줄기)으로 번식한다. 여기에 속하는 것으로 약 6종이 분포하는데 한국, 버어마, 중국, 일본의 산 속 계곡 주변이나 습기가 많은 숲 속에서 서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중부이북 쪽에서 볼 수 있다. 키는 1m 내외까지 자라며, 6-7월에 꽃대가 나오는데 흰색의 작은 꽃들이 20-40cm길이의 꽃차례에 모여 핀다.

     


    등골나물(Eupatorium chinense  var. simplicifolium)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키는 2m까지 자라며 줄기에 가는 털들이 나 있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거의 없고 잎가장자리에는 뾰족한 톱니들이 고르게 나 있다. 꽃은 연한 보라색 또는 흰색이며 7~10월까지 줄기 끝에 두상(頭狀)꽃차례로 핀다. 하나의 두상꽃차례는 5송이의 잔꽃으로 이루어졌으며, 1송이의 꽃처럼 보이는 꽃차례가 산방(繖房)꽃차례처럼 무리지어 있다. 열매는 갓털이 달린 길이 3㎜ 가량의 수과(瘦果)로 익는다. 봄에 어린 순을 캐서 나물로 먹는다.

     

     

     붉은덕다리버섯 (Laetipcrus suiphueusvar miniatus)

     

    갓의 직경은 15~20cm 두께는 1~3cm로 대형이고, 부채꼴과 반구형으로 다수가 중복 또는 무리져서 발생한다. 표면은 주홍색과 주황색이며 약간 방사상으로 울퉁불퉁하고, 조직은 초기에는 탄력성이 있고 유연하나 성숙하면 질기면서 견고해진다. 관공은 0.2~1cm 로 옅은 갈황색이고, 관공구는 원형이나 부정형이며 작고 갓보다 옅은 색을 띤다. 대는 없으며 갓의 측면 일부가 직접 기주에 붙어 성장한다. 어린 시기에는 식용할 수 있지만 생식하면 중독된다. 성숙 후에는 질기고 견고하여 식용이 곤란하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침엽수, 광엽수의 생목 또는 고목에 발생하며 주로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기와버섯(Russula virescens)

     

    분류 - 균심균류(Hymenomycetidae) 주름버섯목(Agaricales) 무당버섯과 Russulaceae Roze

    갓45-135㎜, 초기에 반구형, 성숙하면 편평형-중앙오목 편평형, 드물게는 갓끝이 반전되기도 한다. 표면은 건성, 녹색 또는 회록색, 표피는 불규칙하게 다각형-귀열상으로 갈라지며 갈라진 사이에 유백색의 조직. 조직은 백색, 어린 시기는 다소 견고, 맛과 향기 부드럽다.

    주름살 대에 떨어진 주름살, 다소 빽빽, 초기에는 白色, 시간이 경과하면 다소 옅은 황백색, 주름살날은 분질상.

    대 32-97×5-23㎜, 원통형, 상하 굵기가 비슷. 표면은 평활 다소 주름선이 종으로 있으며, 백색-유백색, 상처시 변색하지 않는다. 대 속은 초기에 차있으나 성장하면 다소 스폰지화, 여름-가을에 주로 잡목림내 지상에 단생, 산생 또는 소수 군생하며 한국, 동남아시아,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식용버섯

     


    우리나라 말냉이장구채와 비슷한 장구채
     

     

     ヤマハハユ

    キク科 ヤマハハユ屬

    Anaphalis margaritacea, 산모자(山母子)

    생육지 : 산지~고산의 초지, 자갈밭(礫地),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9월, 꽃색 : 백색,

    1개 꽃크기 : 5mm, 잎형태 : 침상형, 잎차례 : 호생(互生), 줄기높이 : 20~50cm, 생활형 : 다년초

     



    위 산모자와 유사하나 잎이 넓은 떡쑥종류 

     

      

     
    고령시괄모자(高嶺矢筈母子)와 유사종 
     
     
    タカネヤハズハハユ

    キク科  ヤマハハユ屬

    Anaphalis lactea  f. alpicola,  고령시괄모자(高嶺矢筈母子)

    생육지 : 고산의 건조한 초지, 바위지대, 분포 : 북해도, 本州(早池峰山, 中部), 개화시기 : 8월, 꽃색 : 담홍색(淡紅色), 백색, 백록색(白綠色) 1개 꽃크기 5mm, 잎형태 : 침상형, 잎차례 : 호생(互生), 줄기높이 : 30cm, 생활형 : 다년초

     
     
    고령시괄모자(高嶺矢筈母子)와 유사종 
     


    금마타리와 유사한 마타리과 식물, 잎이 여러분지로 깊이 갈라져 있다.
     

     

    우리나라 섬초롱과 매우 흡사한 초롱꽃


     

    위 초롱꽃과 비슷하나 꽃 길이가 짧고 조금더 붉은 빛을 띤다. 
     

     

    イワオトギリ

    オトギリソウ科  オトギリソウ屬

    Hypericum kamtschaticum  var. hondense  암제절(岩弟切)

    생육지 : 亞高山~고산의 초지, 사력지(砂礫地), 분포 :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8월, 꽃색 : 담황색(淡黃色), 꽃잎 : 5장, 꽃의크기 : 1.5~2cm, 잎의 형태 : 넓은 타원형, 잎차례 : 대생(對生), 줄기높이 : 20c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고추나물 [Hypericum erectum]

     

     

    ハイオトギリ

    オトギリソウ科  オトギリソウ屬

    Hypericum kamtschaticum   저제절(這弟切)

    생육지 : 亞高山~고산의 초지, 사력지(砂礫地), 분포 : 북해도, 개화시기 : 6~8월, 꽃색 : 담황색(淡黃色), 꽃의크기 : 2.5~3cm, 잎의 형태 : 넓은 타원형, 잎차례 : 대생(對生), 줄기높이 : 15~30c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고추나물 [Hypericum erectum]

     

     

    センヅュガンピ

    セテシコ科  センノウ屬

    Lychnis gracillima  천수암비(千手岩菲)

    생육지 : 산지~亞高山의 숲속, 분포 : 本州(中部以北), 개화기 : 7~8월, 꽃색 : 백색, 꽃잎 :5枚, 꽃의 크기 :2.5cm, 잎의 형태 : 침상형~넓은 침상형, 잎차례 : 互生, 줄기 높이 0.4~1m, 생활형 : 다년초

     


    긴산꼬리풀과 꽃은 유사하나 잎이 다른 꼬리풀 종류.
     


    노랑물봉선
     


    우리나라 산야에 자라는 조릿대보다 잎이 넓고 큰 북알프스 조릿대. 
     


     

    연령초(延齡草 ; Trillium kamtschaticum)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한국(북부)·중국 북동부·시베리아 동부·일본·캄차카, 숲속, 높이 20∼40cm, 잎의 길이와 나비 7∼17cm, 꽃밥 길이 10∼15mm, 장과 지름 15mm, 숲속에서 자란다. 영문명으로 Birthroot라고도 한다. 굵고 짧은 뿌리줄기에서 원주상의 대가 자라서 끝에 잎자루가 없는 3개의 잎이 돌려나며 높이 20∼40cm이다. 줄기는 1∼3개이다. 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사각형 비슷하고 길이와 나비가 7∼17c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3∼5맥이 발달한다. 꽃은 5∼6월에 피고 흰색이며, 돌려난 잎 중앙에서 꽃대가 자라서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꽃잎의 길이는 3.5∼4.5cm이며 꽃잎과 꽃받침조각은 3개씩이고 수술은 6개이다. 꽃밥은 수술대보다 길고 길이 10∼15mm이며 선형이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둥글고 지름 15mm 정도이다.


    중국에서는 큰연령초를 연령초라 하고, 뿌리줄기를 말려서 연령초근이라 하며, 위장약·수렴제·자극·통경 및 거담제로 한다. 한국에서는 큰연령초와 함께 사용한다. 한국(북부)·중국 북동부·시베리아 동부·일본·캄차카에 분포한다.

     

     

    죽대아재비(Streptopus amplexifolius var. papillatus)


    죽대아재비는 백합과의 다년초로서 강원도 이북의 깊은 산에서 자란다. 근경은 짧고 옆으로 벋으며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고 뒷면은 분백색이다. 화경 중앙부에 관절이 있어 꽃이 처지고 각각 1개씩 달린다. 꽃은 녹백색이며 넓은 종 같고 회피열편은 피침형이며 윗부분이 젖혀진다. 꽃밥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수술대 보다 길고 열매는 둥글며 적색으로 익는다.

     

     

    호노루발(Pyrola dahurica)


    노루발과의 常綠 多年草로서 높이가 23cm 정도이며,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고 원모양이다. 6~7월에 노란빛을 띤 흰색 꽃이 총상(總狀) 꽃차례로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4~5mm 삭과(蒴果)를 맺는다. 노루발과 비슷하나 줄기가 가늘고 약하며 꽃이 작다. 함경남도 부전고원 및 백두산지역에 분포하며 전체를 이뇨제로 사용하고 원줄기와 잎을 찌어 독충에 쏘였을 때 바른다.

     

     

    다양한 형태의 곰취류 1

     オタカラコウ

    キク科 メタカラコウ屬

    Ligularia fischeri,  웅보향(雄宝香)

    생육지 : 산지(山地)~아고산(亞高山)의 습한 초지, 용수지(湧水池), 분포 : 本州(福島以南), 九州, 개화시기 : 7~10월, 꽃색 : 황색(黃色), 꽃의크기 : 4cm, 꽃차례 : 5~9장 설상화(舌狀花), 잎형태 : 신심형(腎心形),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높이 : 1~2m, 생활형 : 다년초



    곰취류 2 

     

     

    곰취류 3


     

     

    곰취류 4

    マルバダケブキ

    キク科 メタカラコウ屬

    Ligularia dentata,  환엽악로(丸葉岳蕗)

    생육지 : 산지(山地)~아고산(亞高山)의 숲속․ 초지, 분포 : 북해도(태평양 연안), 本州, 四國, 개화시기 : 7~8월, 꽃색 : 황색(黃色), 꽃차례 : 10장 설상화(舌狀花), 꽃의크기 : 8cm, 잎형태 : 신원형(腎圓 形),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높이 : 40~120cm, 생활형 : 다년초

      

     

    씀바귀류

     


     

    タカネニガナ

    キク科 ニガナ屬

    Lxeris dentata ssp. alpicola  고령고채(高嶺苦菜)

    생육지 : 고산의 자갈밭(礫地), 암릉지대, 분포 : 本州, 四國, 屋久島, 개화시기 : 7~8월 꽃색 : 황색(黃色), 꽃차례 : 다수(舌狀花), 꽃의크기 : 2cm,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높이 : 5~20cm, 생활형 : 다년초

     

     

    들쭉나무 [Vaccinium uliginosum]


    진달래과(―科 Ericaceae)에 속하는 낙엽 소관목. 고산이나 고원의 한대지역에서 흔히 자란다. 옆으로 기면서 자라며 키는 1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며 앞면은 초록색이나 뒷면은 초록빛이 도는 흰색이다. 길이는 1.5~2.5㎝, 너비는 1~2㎝ 정도로 작으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지난 해에 만들어진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녹백색의 꽃이 5~6월에 1~4송이씩 모여 핀다. 둥근 항아리처럼 생긴 꽃부리의 끝은 5갈래로 얕게 갈라졌으며, 10개의 수술에는 화살깃처럼 생긴 것이 달려 있다. 열매는 타원형의 장과(漿果)로, 8~9월에 진한 자주색으로 익으며 열매 겉은 하얀 가루로 덮여 있다. 가을에 열매를 따서 날것으로 먹거나 과즙이나 잼을 만들어 먹는다. 열매는 약간 신맛이 돌고 술을 빚기도 하는데 들쭉나무 열매로 만든 술은 고급으로 여겨지고 있다. 
     


    ??

     

     

    モミジカラマツ

    キンボウゲ科  モミジカラマツ屬

    Trautvetteria caroliniensis var. japonica   홍엽당송(紅葉唐松)

    생육지 : 亞高山~고산의 눈밭주변,습한 초지,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8월, 꽃색 : 白色, 꽃의 크기 : 1~1.3cm, 잎의 형태 : 원형~반원형 손바닥 모양으로 분열,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에 호생(互生), 줄기높이 : 20~50c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テガタチドリ

    ラン科  テガタチドリ屬

    Gymnadenia conopsea  수형천조(手形千鳥)

    생육지 : 亞高山~고산의 초원,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8월, 꽃색 : 담홍자색(淡紅紫色), 꽃차례 : 이삭처럼 밀집, 꽃 형태 : 접형(蝶形), 꽃의 크기 : 1cm, 잎의 형태 : 광선형(廣線形), 잎차례 : 호생(互生), 줄기높이 : 30~60cm, 생활형 : 다년초

     

     

    손바닥난초(Gymnadenia conopsea )

     

    다른이름 : 손뿌리난초, 뿌리난초, 손바닥난, 손바닥란

    분포지역 : 한라산, 백두산을 비롯한 고산지대, 줄기/잎/뿌리 : 곧추 서며 가지를 치지 않고 털이 없다 잎은 넓은 선형이고 길이 6-20cm, 나비  1-4cm 정도로 끝이 뾰족하지만 밑부분의  것은 끝이 둔하다 뿌리의 일부분이 손바닥처럼 굵어지며 4-6개의 잎이 호생한다.

     꽃/열매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자색이고 화서는 길이 7-15㎝로서 꽃이 빽빽하게 달리며 포는 넓은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꽃과 길이가 같으며 꽃받침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4-5mm로서 퍼지며 2-3맥이 있고 꽃잎은 일그러진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꽃받침보다 짧고 순판은 사각상 원형이며 길이 6-8mm로서 거의 비슷한 크기로 3개로 갈라지고 거(距)는가늘며 길이 15mm정도이다. 열매는 삭과로 길이 10mm가량의 타원형으로 자루가 없고 9월에 익는다. 난초과, 다년생초본,  자료출처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ニッコウキスゲ

    ユリ科  ワスレグサ屬

    Hemerocallis dumortieri var. esculenta  일광황관(日光黃菅)

    생육지 : 山地~高山下部의 습지, 초지, 분포 :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6~8월, 꽃색 : 등황색(橙黃色), 꽃차례 : 줄기 끝에 3~4개, 꽃잎 수 : 6장, 꽃의 크기 : 5cm, 잎의 형태 : 선형(線形),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높이 : 60~80cm, 생활형 : 다년초

     

     

    ミヤマキソバイ

    バラ科  キジムシロ屬

    Potentilla matumurae   심산금매(深山金梅)

    생육지 : 고산의 눈밭주변,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8월, 꽃색 : 선황색(鮮黃色), 꽃잎 : 5장, 꽃의크기 : 1.5~2cm, 잎의 형태 : 3出 複葉,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높이 : 7~20c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좀양지꽃(Potentilla matsumurae)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양지쪽 습한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10~20cm이고 전체에 긴 털이 있다. 잎은 세 장의 작은 잎이 나오고 무더기로 나오며 전년도의 마른 잎이 남아 있다. 작은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찌그러진 달걀 모양이며 굵은 톱니가 있다. 턱잎은 갈색빛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황색이며 줄기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지름 2cm 내외이다. 부악과 꽃받침은 크기가 비슷하고 꽃잎은 5개이며 끝이 파지고 꽃턱에 짧은 털이 있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달걀 모양이며 밋밋하고 털이 없다. 한국(한라산)·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다양한 형태의 금매화류 1
     

     

    금매화류 2

     シナノキンバィ

    キンボウゲ科  キンバィソウ屬

    Trollius riederianus var.  japonica   신농금매(信濃金梅)

    생육지 : 亞高山~고산의 초지, 눈밭주변,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8월, 꽃색 : 등황색(橙黃色), 꽃의 크기 : 3~4.5cm,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에 호생(互輪), 줄기높이 : 15~80c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아래 백산일화(白山一花) 유사종 1, 못찾음

     

     

    백산일화(白山一花) 유사종 2

     

     

    ハクサンイチゲ

    キンボウゲ科  イチリンソウ屬

    Anemone narcissiflora var. japonica  백산일화(白山一花)

    생육지 : 고산의 초지, 눈밭주변, 자갈밭, 분포 : 本州(東北~中部), 개화시기 : 6~8월, 꽃색 : 白色, 꽃의 크기 : 2~2.5cm, 잎의 형태 : 3出 複葉,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에 4장씩 윤생(輪生), 줄기높이 : 20~50c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チングルマ

    バラ科  チングルマ屬

    Sieversia pentapetala  치두차(稚兜車)

    생육지 : 고산의 눈밭주변, 자갈밭,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6~8월, 꽃색 : 대황백색(帶黃白色), 꽃잎 : 5장, 꽃의크기 : 2~3cm, 잎차례 : 호생(互生), 줄기높이 : 10cm, 생활형 : 낙엽소저목(落葉小低木)

     

     

     ゴゼソタチバナ

    ミズキ科 ゴゼソタチバナ屬

    Cornus canadense  어전귤(御前橘)

    생육지 : 亞高山~고산의 삼림, 분포 : 本州(中部以北), 四國, 개화시기 : 6~7월, 꽃색 : 황백색(總苞片), 꽃의크기 : 2cm, 꽃의형태 : 4枚의 總苞片, 잎의 형태 : 마름모형의 원형, 잎차례 : 윤생상(輪生狀), 줄기높이 : 5~15c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풀산딸나무(Cornus canadensis L.)  

    bunchberry, dwarf cornel이라고도 함. 층층나무과(─科 Cornaceae)에 속하는 기면서 자라는 다년생초.


    북부지방에서 자라는 常綠草本性으로 높이 5~15cm이고 根莖은 길게 옆으로 자라며 네모가 지고 털이 없거나 복모가 드문드문 있다. 잎은 줄기 끝에 1쌍 있으며 그 葉腋에서 1쌍의 잎이 나오고 잎자루가 거의 없으며 좁은 倒卵形 또는 마름모형, 타원형이고 銳頭 銳底이며 길이 3~6cm, 너비 1~2.5cm 로서 양면 또는 표면에 복모가 약간 있거나 거의 없다. 基部에서 2~3쌍의 葉脈이 발달한다. 花梗은 길이 1.5~3cm로서 곧추서며 꽃잎은 4장이고 넓은 난형이며 예두이다. 길이 7~10mm로서 5~7脈이 있으며 10~25개의 백색 꽃이 달리고 짧은 화경이 있다.

    열매는 둥글며 지름 5~6mm로서 적색으로 익고 복모가 약간 있으며 種子는 긴 타원형으로서 약간 얕은 홈이 있다.

     


     

    기생꽃(Trientalis europaea  var. arctca)


    앵초과의 다년초, 높이 7~25cm, 잎은 넓은 피침 모양,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으로 입자루가 없다. 7~8월에 흰꽃이 1~3송이 핀다. 높은 산에서 자라는데 우리나라의 북부에 분포한다.

    꽃잎은 보통 7개로 깊게 갈라지는데 더 많기도 하고 더 적기도 하다.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식물이기도 하다. 북한에는 흔하지만 남한에는 설악산·대암산·태백산·가야산·지리산의 다섯 군데 정도에서만 기방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남한에서 볼 수 있는 북방계 식물은 대개 이처럼 땀 좀 내고 올라가야 하는 높은 산에 있다. 참기생꽃을 우리가 흔히 기생꽃으로 잘못 알고 있는데, 기생꽃은 참기생꽃보다 소형이고 잎이 짧다.

      

     

    ハイマシ

    マツ科 マツ屬

    Pinus pumila  저송(這松)

    생육지 : 亞高山~고산,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6~7월, 꽃색 : 숫꽃 황색, 암꽃 적색, 꽃의크기 : 숫꽃 1cm, 암꽃 0.5mm, 잎의 형태 : 침상(針狀), 잎차례 : 5개 속생(束生), 줄기높이 : 1m이상, 생활형 : 상록저목(常綠低木)

     

     눈잣나무(Pinus pumila)

     

    소나무과(―科 Pinaceae)에 속하는 겉씨식물의 관목, 설악산 이북의 높은 산의 정상 근처에서 자란다. 키는 4~5m로 옆으로 기면서 자라나 평지에 심으면 곧추선다. 길이가 3~6㎝ 정도인 잎은 5개씩 모여 달린다. 암꽃과 수꽃은 6~7월에 피며 구과(毬果)는 녹색이지만 익으면서 황갈색으로 바뀌는데 꽃이 핀 다음해 9월에 익는다. 잣나무와 비슷하나 눈잣나무의 잎과 구과의 길이가 더 짧다.


    누워서 자란다는 뜻의 누운잣나무를 줄인 말로서 줄기가 곧추서지 못하고 옆으로 기면서 자라기 때문에 '눈잣나무'라고 한다. 바람이 불면 줄기가 옆으로 눕게 되어 땅과 맞붙게 되면 그곳에서 새로운 줄기가 나와 바람에 날아가는 것을 막아준다. 그러므로 계속해서 옆으로 기며 자랄 수 있다. 중국에서는 눈잣나무를 천리를 기면서 자란다는 뜻으로 '천리 송'(千里松)이라고 부르며 외국에서는 누워 자라고 키가 작기 때문에 '난쟁이소나무'(dwarf pine)라고 부른다. 申鉉哲 글



     

    コケモモ
    ツツジ科 スノキ屬
    Vaccinium vitis-idaea  태도(苔桃)
    생육지 : 亞高山~고산의 숲속, 초지,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四國, 개화시기 : 6~8월, 꽃색 : 白~紅色, 꽃의크기 : 6mm, 꽃의형태 : 종형(鐘形), 잎의형태 : 장타원형, 잎차례 : 호생(互生), 줄기높이 : 5~15cm, 생활형 : 상록소저목(常綠小低木)
     

     

    アオノツガザクラ

    ツツジ科 ツガザクラ屬

    Phyllodoce aleutica  청모앵(靑栂櫻)

    생육지 : 고산의 암릉지,초지,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8월 꽃색 : 대녹황백색(帶綠黃白色), 꽃의크기 : 6~9mm, 잎의형태 : 선형(線形), 잎차례 : 호생(互生), 줄기높이 : 7~40cm, 생활형 : 상록소저목(常綠小低木)



     

    コメバシガザクラ

    ツツジ科 コメバシガザクラ屬

    Arcterica nana  미엽모앵(米葉栂櫻)

    생육지 : 亞高山~고산의 자갈밭 ,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大山, 氷山, 大峰山), 개화시기 : 6~8월, 꽃색 : 백색~대홍백색(帶紅綠白色), 꽃의크기 : 4~5mm, 잎의형태 : 긴타원형~계란형, 잎차례 : 윤생(輪生;돌려나기), 줄기높이 : 5~10cm, 생활형 : 상록소저목(常綠小低木)

     

     

    미엽모앵(米葉栂櫻) 접사

     

     

    イワヒゲ

    ツツジ科 イワヒゲ屬

    Cassiope lycopodioides  암자(岩髭)

    생육지 : 고산의 바위틈이나 자갈밭,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8월, 꽃색 : 백색, 꽃의크기 : 8mm, 잎의형태 : 비늘형, 잎차례 : 십자대생(十字對生), 줄기높이 : 포복성(匍匐性), 생활형 : 상록소저목(常綠小低木)

     

     

    암자(岩髭) 접사

     

     

    ミネズオウ

    ツツジ科 ミネズオウ屬

    Loiseleuria procumbens  봉소방(峰蘇芳)

    생육지 : 고산의 자갈밭 등,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6~7월, 꽃색 : 백색, 꽃의크기 : 3~3.5mm, 꽃의형태 : 종형(鐘形), 잎의형태 : 장타원형, 잎차례 : 대생(對生), 줄기높이 : 3~6cm, 생활형 : 상록소저목(常綠小低木)

     

     

     シコタンソウ

    ユキノシタ科 ユキノシタ屬

    Saxifraga bronchialis spp. funstonii  var. rebunshirensis  색단초(色丹草)

    생육지 : 亞高山~고산의 자갈밭, 붕괴지(崩壞地),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6~8월, 꽃색 : 白色, 꽃의 크기 : 1cm, 꽃잎 수 : 5장, 잎의 형태 : 침상형, 잎차례 : 가지 밑부분에 밀생(密生), 줄기에 호생(互生), 줄기높이 : 포복성(匍匐性),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색단초(色丹草) 접사

     

     

    ミヤマシメクサ

    ナテシコ科  タカネツメクサ屬

    Minuartia macrocarpa var. jooi  深山爪草(심산조초)

    생육지 : 고산의 사지(砂地), 암장(岩場), 분포 : 本州(荒川岳, 赤石岳, 木曾駒의岳, 八의岳, 槍의岳, 白馬岳), 개화기 : 7~8월, 꽃색 : 백색, 꽃잎 :5枚, 꽃의 크기 :1cm, 잎의 형태 : 線形, 잎차례 : 對生, 줄기 높이 2~4cm, 생활형 : 다년초

     

     * 심산조초(深山爪草)는 나도개미자리(Minuartia arctica)와 매우 흡사하여 기재하여 놓았다.

     

    나도개미자리(Minuartia arctica)

     

    석죽과, 전국의 산지, 개화기 : 7~8월, 낭림산 이북의 높은 산의 돌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높이가 5센티미터에 달한다. 줄기는 곧고, 모여 나 있으며 가지가 갈라져 있다. 잎은 마주 나고, 한쪽으로 어긋나게 짧은 가지가 있다. 잎사귀 모양은 선상 송곳형이고, 끝이 날카로우며 곧게 났거나 혹은 다소 굽어 있다. 꽃은 백색으로 7~8월에 피는데, 대개 가지 끝에 한 송이씩 달리지만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것도 있다. 꽃받침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꽃잎과 꽃받침 각각 5장인데, 꽃잎은 끝이 둥글고 약간 오목하게 오므라지며 꽃받침 길이의 2배이다. 삭과는 9월에 맺는데 긴 타원형으로 꽃받침보다 길고 종자의 가장자리에는 잔돌기가 있다.

     

     

    深山爪草(심산조초) 접사

     

     

     テシマクモマグサ

    Saxifraga merkii  千島雲間草(천도운간초)

    생육지 : 고산의 자갈밭이나 모래밭, 분포 : 북해도, 개화시기 : 7~8월, 꽃색 : 백색, 꽃잎 : 5장, 꽃크기 : 1.2cm,

    줄기높이 : 2~10cm, 생활형 : 다년생

     

     

    千島雲間草(천도운간초) 접사

     


    槍의 岳 오르기 전 해발 3,000m 능선 아래 기슭에 일본원숭이가 떼지어 살고 있다.  
     

     

    コイワカガミ
    イワウメ科 イワカガミ屬
    Schizocodon soldanelloides f. alpinus  소암경(小岩鏡)
    생육지 : 亞高山~고산의 초지, 자갈밭, 분포 : 북해도, 本州, 개화시기 : 6~7월, 꽃색 : 담홍(淡紅)~대자홍색(帶紫紅色), 꽃의크기 : 1cm, 꽃의형태 : 종형(鐘形), 잎의형태 : 원형,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높이 : 5~10cm, 생활형 : 상록의 다년초(常綠의 多年草)

     

     


     

    고산의 화원 풍경

     


     

    바위 돌꽃류
     

     

    イワベンケイ

    ベンケイソウ科  イワベンケイ

    Rhodiola rosea  암변경(岩弁慶)

    생육지 : 고산의 풍충지(風衝地),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8월, 꽃색 : 담황록색(淡黃綠色), 잎의 형태 : 긴 타원형, 난형(卵形), 침상형, 잎차례 : 가지 밀생(密生), 줄기높이 : 4~35c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바위돌꽃(Rhodiola rosea)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7~30cm이고 밑부분은 인편(鱗片)으로 덮여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긴타원형이다. 꽃은 단성화로 7~8월에 연한 노란색으로 피고, 열매는 골돌과(蓇葖果)로 9월에 익는다. 높은산의 바위에 나는데 충북, 평북, 함경등지에 분포한다.

     


    바위돌꽃(Rhodiola rosea) 접사
     

     

    ミヤマオダマキ

    キンボウゲ科  オダマキ屬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심산저환(深山苧環)

    생육지 : 고산의 초지, 자갈밭,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6~8월, 꽃색 : 청자색(靑紫色), 꽃의 크기 : 3~4cm, 잎의 형태 : 2回 3出 複葉,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에 호생(互輪), 줄기높이 : 10~25c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산매발톱(하늘매발톱(꽃)Aquilegia flabellata Sieb. et Zucc, var. pumila Kudo)


    우리나라 북부의 고산 중턱 이상 암석지에 자생하는 미나리아재비과 다년초, 키 30cm가량, 전초에 털이없음,

    꽃은 원줄기에 1~3송이씩 달림, 보라색. 짙은 하늘색 지름 3~4cm, 근생엽은 밀생, 잎자루는 길며 2회3출의 작은 잎으로 된 겹잎, 작은잎은 삼각형, 길이 12~26mm, 얕게 2~3갈래로 갈라짐, 열매: 골돌, 털없음, 5개, 개화기 : 7~8월, 분포: 일본, 만주


     


     
    아래 사엽염조와 유사하나 꽃과 잎모양이 다름.
     

     

     ヨシバッオガマ

    コマノハグサ科 シオガマギク屬

    Pedicularis chamissonis var. japonica  사엽염조(四葉塩竈)

    생육지 : 고산의 초지,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8월 꽃색 : 홍자색(紅紫色), 꽃차례 : 4개 4~8段 輪生, 꽃의크기 : 2cm, 잎차례 : 윤생(輪生), 줄기높이 : 10~40cm, 생활형 : 다년초 ,

     

    송이풀류

     

     

     흰송이풀(Pedicularis resupinata for. albiflora (Nakai) W.T.Lee)


    분류 : 현삼과. 다년생 초본, 서식 : 깊은 산의 숲속이나 풀밭, 크기 : 30~70cm, 줄기는 밑에서 여러 대가 나와 함께 높이 30∼60cm까지 자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달리고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겹톱니가 있다. 잎 끝은 뾰족하나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지고 잎자루는 짧다. 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 윗부분에 달리는데, 꽃잎의 윗입술은 새의 부리처럼 구부라 진다.

      


     イワオウギ

    マメ科  イワオウギ屬

    Hydysarum vicioides  암황기(岩黃耆)

    생육지 : 亞高山~고산의 초지, 력지(礫地),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6~9월, 꽃색 : 황백색(黃白色), 꽃의크기 : 1.2~1.8cm, 잎차례 : 호생(互生), 줄기높이 : 10~80c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 한국에는 황기속(Astragalus)에 제주도에서 자라는 탐라황기(A. adsurgens), 꽃이 자주색인 자주황기

      (A. dauricus), 백두산 지역의 고원에서 자라는 개황기(A. uliginosus) 등을 비롯해 5종(種)이 자라고 있다.


     


     ミヤマダイモンジウ

    ユキノシタ科  ユキノシタ屬

    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f. alpina  심산대문자초(深山大文字草)

    생육지 : 고산의 습한 바위지대, 초지,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8월, 꽃색 : 백색, 꽃잎 : 5장, 꽃의 크기 : 1~1.5cm,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높이 : 2~20c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 우리나라 바위취와 꽃모양이 유사하다.


     

     

     ウサギギク

    キク科 ウサギギク屬

    Arnica unalaschcensis  var. tschonoskyi,  토국(兎菊)

    생육지 : 고산의 초지,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9월, 꽃색 : 황색(黃色), 꽃의크기 : 5cm, 잎형태 : ヘら形, 잎차례 : 대생(對生), 줄기높이 : 15~30cm, 생활형 : 다년초

     

     

     コガネギク

    キク科 アキノキリソソウ屬

    Solidago virga-aurea  ssp. leiocarpa f. japonalpestris  황금국(黃金菊)

    생육지 : 고산고원의 초지, 자갈밭(礫地),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9월 꽃색 : 황색(黃色), 꽃차례 : 다수(舌狀花), 꽃의크기 : 1.2~1.5cm, 잎형태 : 긴타원형,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높이 : 15~30cm, 생활형 : 다년초


     

    미역취(Solidago virga-aurga  var. asiatica  NAKAI)

     

    국화과, 속명 : 일지황화.두메미역취.돼지나물, 분포도 : 전국의 산과들 길가초원 및 높은산, 개화기 : 7 ~ 10월,   꽃색 : 노란색, 결실기 : 10월, 높이 : 35 ~85cm, 특징 : 대개 줄기가 하나로 곧게 나고 꽃이 많이 달린다.

    용도 : 식용.관상용.약용, 생육상 : 여러해 살이풀, 먹는방법 : 봄,여름에 연한잎을 삶아말려두고 나물로 먹는다.

     


     쑥방망이류, 못찾음

     


     ミヤマダイコンソウ

    バラ科  ミヤマダイコンソウ屬

    Acomastylis calthifolia var. nipponica  심산대근초(深山大根草)

    생육지 : 고산의 암릉,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奈良縣大峰山), 四國 (石鎚山), 개화시기 : 7~8월, 꽃색 : 선황색(鮮黃色), 꽃잎 : 5장, 꽃의크기 : 1.5~2cm, 잎의 형태 : 3出 複葉,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높이 : 10~30c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바위종다리(Prunella collaris)

     

    참새목 바위종다리과, 무리생활, 몸길이 약 18cm, 색 잿빛이 도는 검정색(머리·등·가슴), 갈색(아랫면)

    생식 난생(1회에 3~4개), 산지 너덜겅, 높은 산지 풀밭, 한국(북부)·일본·중국·우수리·몽골

    암수 비슷한 색깔이다. 머리와 등·가슴은 잿빛이 도는 검정색이고 턱밑과 멱에는 흰색 가로무늬가 빽빽하다. 나머지 가슴 아랫면은 갈색이고 약간의 흰색 세로무늬가 있다. 허리와 꽁지 끝은 붉은 갈색이다. 날개는 검고 두 줄의 흰색 띠가 불규칙하게 나 있다. 주로 산지 너덜겅에 서식한다. 한국에서는 비교적 드문 겨울새이자 나그네새로 12~4월에 볼 수 있다. 북부지역에서는 많은 무리가 번식하는 텃새이다.

    10∼11월 초에는 7∼8마리씩 작은 무리를 지어 바위산이나 강가 암석지대에서 뛰어다니면서 먹이를 찾는다. 높은 산지 바위틈에 둥지를 틀고 6∼7월에 3∼4개의 알을 낳아 15일 동안 품는다. 새끼에게는 무리에 속한 모든 어른 새들이 먹이를 물어다 준다. 먹이는 곤충이 주식이며 가끔 풀씨도 먹는다. 때로는 산골 집의 지붕 위에 앉아 있다가 마당에 떨어진 음식찌꺼기를 주워 먹기도 한다. 한국(북부)·일본·중국·우수리·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암길경(岩桔梗) 군락지, 암길경은 우리말로 바위도라지의 의미

     

     

    イワギキョウ

    キキョウ科 ホタルブクロ屬

    Campanula lasiocarpa  암길경(岩桔梗)

    생육지 : 고산의 암릉지대, 자갈밭(礫地),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8월 꽃색 : 자색(紫色), 꽃차례 : 종형(鐘形), 꽃의크기 : 3cm,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높이 : 5~15cm, 생활형 : 다년초



     

    바위틈에 자란 천도길경(千島桔梗)  

     

     

     テツマギキョウ

    キキョウ科 ホタルブクロ屬

    Campanula dasyantha  spp. chamissonis  천도길경(千島桔梗),  

    생육지 : 자갈밭(礫地), 풍충지(風衝地),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 개화시기 : 7~8월 꽃색 : 자색(紫色), 꽃차례 : 종형(鐘形), 꽃의크기 : 4cm,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높이 : 5~15cm, 생활형 : 다년초

     

     

    천도길경(千島桔梗) 백색

     



     

    イワシメクサ

    ナテシコ科  ハコベ屬

    Stellaria nipponica  암조초(岩爪草)

    생육지 : 고산의 모래밭, 자갈밭, 분포 : 本州(富士山, 中部以北), 개화시기 : 7~9월, 꽃색 : 백색(白色), 꽃의 크기 : 1.5cm, 잎의 형태 : 線形, 잎차례 : 대생(對生), 줄기높이 : 10~20c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シコタンハコベ

    ナテシコ科  ハコベ屬

    Stellaria ruscifolia  색단번루(色丹繁縷)

    생육지 : 亞高山~고산의 자갈밭, 분포 : 북해도(知床半島, 根室周辺), 本州(中部, 日光), 개화시기 : 7~8월, 꽃색 : 백색(白色), 꽃의 크기 : 1.5cm, 잎의 형태 : 卵形~卵狀針形, 잎차례 : 대생(對生),  줄기높이 : 3~15c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비고 : 멸종위기종


     


    색단번루(色丹繁縷) 접사
      


    사초과 식물
     

     

    タカネスミレ

    スミレ科 スミレ屬

    Viola crassa  ssp. crassa  고령근(高嶺菫)

    생육지 : 高山의 사력지(砂礫地), 분포 : 本州(東北, 岩手山, 秋田驅岳,早池峰山), 개화시기 : 6~7월, 꽃색 : 황색, 꽃의크기 : 2cm, 잎의 형태 : 腎圜形~腎心形, 잎차례 : 근생(根生), 줄기높이 : 5~10cm, 생활형 : 다년초(多年草)


     


     

    オオバミゾホオズキ

    ゴマノハグサ科 ミゾホオズキ屬

    Mimulus sessilifolius  대엽구산장(大葉溝酸漿)

    생육지 : 亞高山의 물 흐르는 계곡주변, 분포 : 북해도, 本州(中部以北의 日本海側), 개화시기 : 7~8월 꽃색 : 황색(黃色), 꽃차례 : 잎가지에 1개, 순형(脣形)으로 上脣 2, 下脣 3개로 분열, 꽃의 크기 : 2.5~3cm, 잎의 형태 : 난형(卵形), 잎차례 : 대생(對生), 줄기높이 : 10~30cm, 생활형 : 다년초

     

     

    붉은터리풀


     


    둥근이질풀
     


    미나리아재비류
     

     

    털쥐손이(Geranium eriostemon)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분류 : 쥐손이풀과,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몽골·헤이룽강·우수리강, 자생지 : 고산지대의 풀밭, 크기 : 높이 45∼60cm, 뿌리줄기는 굵고 짧으며, 끝에서 원줄기가 나와서 곧게 자라고 포기 전체에 털이 퍼져 난다. 밑부분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길고 둥글며 가장자리가 5∼7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불규칙하게 깊이 패어 들어간 흔적과 톱니가 있다. 턱잎은 넓은 바소꼴이고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며 갈색이다. 꽃은 7∼8월에 붉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피는데, 지름 2.5cm로서 원줄기와 가지 끝에 3∼8개가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작은꽃줄기는 열매가 성숙할 때도 곧게 선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서 넓은 바소꼴이고 5개의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밑부분에 긴 털이 난다. 열매는 삭과로서 줄 모양이고 9∼10월에 익는다. 관상용이나 약용으로 심는다.


     

    ミソガワンウ

    ミソ科 イヌハシカ屬

    Nepeta subsessilis  미쟁천초(味噌川草), 일본 고유종 

    생육지 : 산지~고산의 습한 초지, 분포 : 북해도, 本州(奈良縣以北), 四國, 개화시기 : 7~8월 꽃색 : 담청자색(淡靑紫色), 꽃의크기 : 2.5cm, 잎의형태 : 장란형(長卵形), 잎차례 : 대상(對生), 줄기높이 : 30~40cm, 생활형 : 다년초


      

     

    말나리 (Lilium distichum Nakai)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80cm, 잎은 어긋나는 것과 돌려나는 것이 같이 돋고 타원형이다. 여름에 안쪽에 자갈색의 무늬가 있는 붉은 꽃이 줄기 끝에서 머리 숙여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비늘줄기는 식용하고 관상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산지(山地)에 저절로 나는데 한국, 만주, 우수리 등지에 분포한다.

     

     

    땃두릅나무(Opulopanax elatu)


    두릅나무과, 전국에 분포, 깊은산지, 높이 2~3m,높은 산에 자라는 낙엽활엽수 관목으로 2∼3m정도 자라고 줄기에 긴 가시가 촘촘하다. 한 포기에 여러 대의 줄기가 올라온다. 잎은 원통형으로 달리고 지름15-30㎝이며 가장자리가 정상으로 5-7개로 갈라지고 잔복거치가 있으며, 열편은 삼각형이고 뒷면맥 위에 털과 가시가 밀생한다.

    꽃은 6-10개가 지름 9-13㎜의 산형화서를 이루고, 화서는 다시 모여 가지 끝에 8-18㎝의 원추상으로 배열하며 짧은털과 가시가 밀생하고 꽃받침 잎은 털이 없고 4개이며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은 5개의 톱니가 있고 꽃잎은 긴 타원상삼각형이며 각각 5개이고7-8월에 청백색으로 개화한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지름7-12㎜이고 길이 4㎜의 암술대가 남으며 9월에 황홍색으로 성숙한다. 땅속에 뿌리줄기가 있고 꽃을 제외한 전체에 짧은 가시털이 있다.

     

    * 잎면까지 억센 가시 난 모양과 향이 덜한 점이 우리나라 땃두릅과는 조금 다르다.

     


    능선부근 지면에 풀처럼 만병초 군락

     

     

    북알프스 능선산행을 마치고 1,500m급 계곡 저지대 주변에 자란 분홍 만병초

     

    우리나라 남부 도서지방에서 볼수 있는 백량금과 매우 흡사하나 톱니모양의 잎가장자리 주름이 없다. 
     

     

    백당나무


    인동과(忍冬科 Caprofoli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키가 3m에 달하고, 잎은 마주나는데 3갈래로 나누어진 것도 있다.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조금 있으며 잎자루의 길이는 약 2㎝이다. 흰색의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서 산방(?房)꽃차례로 무리져 피는데, 꽃차례 한가운데에는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갖춘 꽃(有性花)이 핀다. 꽃부리는 지름이 5~6㎜로 아주 작으며, 가장자리에는 지름 3㎝의 매우 큰 꽃부리로 이루어진 중성화(中性花:암술과 수술이 모두 없는 꽃)가 핀다. 열매는 9월경에 붉은색으로 익어 겨우내 매달려 있다. 꽃이 달리는 모습이 수국과 같아 목수국(木水菊) 또는 백당수국이라 부르기도 하나 수국과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모든 꽃이 중성화로만 이루어진 품종을 불두화(V. sargentii for. sterile)라고 하며 절에서 흔히 심고 있다. 내한성이 강하고 빨리 자라 뜰에 많이 심는다.


     


    분명 둘다 백당나무 같은데 잎색깔이 다르다.

     


     핑크빛이 감도는 꽃과 잎이 제법 큰 괭이밥  

     

    나름대로 도감과 웹상의 자료들을 발취하여 설명을 도왔는데

    보시는 분들에게 유익 정보였으면 합니다.

     

    마음대로 퍼가셔도 좋으나 개작은

    출처 : 요물나라
    글쓴이 : 요물 원글보기
    메모 :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타래난초  (0) 2013.08.02
    [스크랩] 때죽나무 열매  (0) 2013.08.02
    [스크랩] ?  (0) 2013.08.02
    [스크랩] 복수초  (0) 2013.08.02
    [스크랩] 물참대와 노린재나무  (0) 2013.08.02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