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화지맥동서구간(고려산 - 인삼센터)지맥/강화지맥 2023. 9. 28. 01:13
언 제 : 2023년 9월 24일 맑음
누 구 랑 : 김동혁대장, 노재순 향기님, 송아 김현숙
거 리 : 15.52㎞ 09:10:13 소요
코 스 : 백년사 - 고려산(436) - 고려궁성곽길 - 북산(140) - 견자산(60) - 48번도로청소년수련원 -
당산(74.2) - 강화대교 앞 인삼센터
※갈 때 : 합정역에서 3000번 버스 이용. 강화버스터미널에서 택시(13,300) 이동 백년사 하차
백년사에서 고려산으로 시작
점심은 지고개 산골추어탕 (인천 강화군 강화읍 국화길 19 1층) T) 032-932-8878
올 때 : 현대아파트 앞 3000번 버스 타고 합정역으로
백련사
극락전
이 명상길은 강화 남. 북 1구간할 때 지나간길 고려산까지 겹친다.
고려산 진달래
앞에 보이는 산이 진달래 군락지
혈구산(460) 남북구간할 때 지나간 산
남북 구간 1코스할 때 혈구산쪽으로 간 길
고려산 아래 / 보이는 곳으로 청련사쪽으로 진행 할 길
객의 물음에 친절하게 대답하는 대장
진고개5연대입구
산골추어탕집 천사의 나팔꽃
진고개
고려성곽길
성곽길에 군부대 있어 밑으로 진행
이 문앞으로
북문
북장대 텅 산책 나온 부자
북산에서 여유를
북산 갔다 오면서 좌측 애기똥풀이 노랗게 핀 곳으로 진행
고마리꽃
지정번호: 4-9-1, 수종: 느티나무, 나무나이: 650년 이상, 지정일자 : 1982,10, 15
나무높이: 19미터 이상, 소재지 : 강화읍 관청리 41-28, 나무둘레 : 5.9미터, 관리자: 강화읍장
동문
강화산성 (동문)/江華山城
강화산성은 고려가 몽골의 침입에 대항하여 개경에서 강화도로 수도를 옮겼을 때 도성으로 쌓은 것으로 내성, 중성, 외성으로 이루어졌었다. 내성은 1250년 몽골에 의해 헐린 후, 조선시대에 돌로 다시 쌓았다. 그러나 병자호란때 청나라 군대가 다시 파괴하여 조선 숙종 3년 1577년에 크게 넓혀 고쳐 쌓았다. 강화산성 내성은 동서남북으로 난 대문 4개, 비밀통로인 암문 4개, 물이 흐르는 수문 2개, 관측소이자 지휘소인 남장대와 서장대가 있었다.
동문의 이름은 망한루望漢樓로 2004년에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ㅏㅇ 중앙에 강화중학교
꽤 비탈길이다.
견자산 정상
강화여자줄학교
보이는 길로 직진
48번 국도 강화청소년수련관, 강화여성복지회관
당산으로 가기 위한 초입인데 개인 주택을 지어서 그 뒷길로 오름
이곳에서 당산 정상까지는 길이 제대로 나 있다. 정상을 지나면 가파르게 내려 간다.밤이되어 내려 오는데 조금 난해했다.
올라와 뒤돌아 보고
당산 정상 이정표는 없다
강화대교
이곳에서 3000번 버스로 이동
향기님이 찍은사진
대장이 찍은 사진
'지맥 > 강화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지맥 (삼흥2리 산문마을회관 - 진강산- 마니산) (0) 2023.10.09 강화지맥 4번째 (강남영상미디어고등학교 - 택지돈대) (0) 2023.07.02 강화지맥2구간(3번째) 농업기술센터정류장 - 강남중학교앞) (0) 2023.05.15 강화지맥1-1코스(하점우체국 - 농업기술센터) (0) 2023.05.01 강화지맥1구간( 강화평화전망대 - 하점우체국) (0) 2023.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