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기맥4구간 (큰재-작은가야산-우두산-의상봉-비계산구름다리-산제치59지방도로)수도기맥 2019. 11. 28. 01:03
수도기맥4구간
일 시 : 2019년11월 10일 일요일 날씨 맑음 불참
코 스 : 큰재(마장동 마을) - 작은가야산- 소바위- 우두산- 의상봉- 마장재- 비계산구름다리- 산제치59지
방도(경남거창 가복 / 합천 가야면 소재)
산악회 : 자유인산악회 17명
거 리 : 17㎞ 약 7시간 정도
●가야산 국립공원 : 백두대간의 대덕산(1,290) - 초점산(1249)-분기봉(1180)에서 수도기맥은 분기하여 국사봉 - 거만산-시코봉을 넘어수도산에 이르고 고비재를 넘어 단지봉(1327) -두리봉(1133)- 가야산(1430) 국립공원으로 연결된다. 가야산 국립공원 서편 외곽의 능선을 따라 남산- 소가야- 우두산 으상봉- 비계산- 두무산으로 이어지는 수도지맥은에서 가장 경관이 수려한 우두의상봉- 비계산의 비경은 감탄사가 연발하는 곳이다.
●우두산 의상봉(1046) : 경남 거창군 기조면 수월리에 소재하고 신라 문무왕때 의상대사가 과거와 현셍[서 참
선한 곳이라는 뜻에서 의상대사 이름을 빌려 산 이름으로 의상봉으로 삼았다. 경치가 빼어난 돌부리 산으로 별유산, 의상봉이라고도 불리며 일본 개국 신화와 관련된 전설의 산이다. 정상에서 맨 먼저 눈에 띄는 봉우리는 가야산이다. 그 맥에 닿아있는 의상봉은 별유산의 한 봉우리에 불과하지만 풍광 좋은 골자기를 감상할 수 있으며 정면의 암릉과 암봉 모양이 이 산의 마루턱이라 부를 만하니 이 산을 의상봉 아닌 별유산이라고 불러도 좋을 듯 싶다. 비계산(동남쪽), 북쪽으로 수덕산, 서북서쪽으로 덕유산- 남덕유능선 기맥 - 금원산 능선, 황석- 거망산 능선이 보인다. 우두산은 지도상에 별유산으로 되었으나 최근의 개념도에 우두산이라 나와 있고 거창군청 홈페이지 안내와 우두산 정상 표지석과의상봉 표지석에 우두산이라 최근 바쌀굴 등이 있어 볼거리가 많다.뀌었다. 우두산은 산세의 수려하기가 덕유산 기백산에 못지않은 아름다운 봉우리들이 많은데, 그 중에서 의상대사가 참선하던 곳으로 알려진 의상봉, 처녀봉, 장군봉(956)바리봉, 비계산 등 빼어난 산세를 자랑한다.
우두산(별유산) 아래에는 고견가와 고견폭포 쌀굴 등이 있어 볼거리가 많다.
● 비계산(1,126) : 경남 거창군 가조면 합천군 가야면 경계에 있는 산으로 수도지맥에 솟아있으며, 주위에 두무산, 의상봉 등이 있다.
예전에는 우두산이라 불럿다. 능선은 날카롭게 사방으로 뻗어 전사면이 급경사를 이룬다. 동쪽에서 발원하는 물은 가야천에서 지류인 산천으로 흘러들고, 서족에서 발원하는 물은 가야천의 지류인 고견천으로 흘러든다.
거대한 암봉이 노출되어 있고, 곳곳에 발달한 암벽이 장대하다. 산 정상의 서남쪽 아래에 위치한 바람굴은 지금 변화시 안반이 겹쳐 이루어진 동굴로 10여명이 대피힐 수 있으며, 지굴을 포함한 전장이 200미터 가량된다. 맑은물이 흐르는 계곡의 발달했으며 잡목이 울창하다. 남서쪽 산록에는 소규모의 저수지들이 많이 형성되어 있고, 일대에는 농경지와 취락이 분포한다.
● 고견사(古見寺) : 경남 거창군 거조면 수월리1번지, 의상봉 기슭에 있는 고찰로 세가지 자랑거리(고견사석불, 동종, 강생원(현판))와 볼거리(고견폭포, 은행나무, 쌀굴)가 있다.
고견사 경내에는 제로된 동종인 보물 170호 고견사 동종과 화강암의 큰 바위에 불상과 광배를 한 몸에 조각하여 만들ㄴ 여래 입상으로 고려시대 작품인 유형문화재 제 263호 고견사 석불이 있다.
달걀 그림만 그리는 작가 작품
'수도기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지맥 6구간 (싸리재-석축묘-상무재-마령재-토곡산-매화재-산주리) (0) 2019.12.09 5구간 (산제치- cc클럽-두무산-오도산-싸리재) (0) 2019.11.28 수도기맥3구간 (목통령- 석항령 갈림봉-두리봉-단석산-고불암-장구재-마령-큰재) (0) 2019.11.01 수도기맥2구간 (우두령 - 시코산 - 수도산 - 단지봉 - 좌대곡령 - 용두암봉 - 목통령) (0) 2019.10.16 수도기맥 1구간 (소사고개 -초점산 - 877봉 - 감주재) (0) 2019.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