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룩스맵 (oruxmaps)송아 김현숙/오룩스 2019. 9. 9. 22:34
저는 오룩스맵 초보 사용자입니다.
처음 접하는 앱에 적응하느라 애를 먹었고,
저같은 분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서 글을 올립니다.
어려운 기능은 저도 모르기 때문에,
제가 사용하는 기능만 설명합니다.
오류가 있거나 추가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부탁합니다.
<앱스토어>에서 오룩스맵을 설치 합니다.
(2019년 8월 현재 버젼은 v.7.5.4 GP)
초기 화면 입니다.
상단의 메뉴 버튼으로 모든 것이 가능합니다.
1. <트랙기록> : GPS on/OFF, 트랙기록/중단
2. <장소> : 장소(WayPoint/WPT)생성, 사진장소, 장소검색, 장소관리
3. <트랙관리> : 트랙/루트 관리, KML/GPX파일 올리기, 경로탐색
4. <지도> : 온/오프라인 지도관리
5. <설정>
우선 오프라인 지도가 필요합니다.
<지도전환-오프라인-(+)>를 선택.
<asia->south korea>를 선택하고 지도를 받습니다.
여기서 전 세계의 오프라인 지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지도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뭔가 부족합니다.
안드로이드 GPS & EARTH의 대한민국 지도가 필요해집니다...^^
일단 위 두가지의 지도가 필요한데,
지도를 구하기가 어렵습니다...ㅠ.ㅠ
오래된 지도라도 좋으니 초보자가 받을 수 있게,
도움을 주시면 좋겠습니다.
/oruxmaps/mapfiles/폴더에 저장 합니다.
장 위치는 <설정-지도>에서 다른 곳(SD)으로 변경 할 수 있는데,
지도 용량이 작아서 내장메모리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래도, 내장메모리에 압박을 받는 분은,
<설정-앱-외장SD로 이동>선택하면 모든 데이타가 SD로 이동합니다.
중국 지도가 0.95GB밖에 안되지만,
네비로도 사용하고, 트레킹에도 불편함이 없었습니다.
<지도-오프라인지도-korea_x4c> 선택.
대한민국 지도(korea_x4C)입니다.
이것은 등산로 표시만 있는 03_16지도입니다.
다음에는 위 두개의 지도를 합치는 작업(오버레이)을 합니다.
korea_x4C를 선택한 상태에서,
03_16을 합치기 위해서 <지도-지도전환-오프라인-(+)> 네번째를 선택.
위와 같이 레이어 추가.
멀티지도(Korea)가 만들어졌습니다.
korea_x4c 를 오프라인 지도로 사용하면 됩니다.
지도를 더 아름답게 꾸미기위해서 테마 파일이 필요합니다.
안드로이드 GPS & EARTH에서 san_Khd_orux를 받아서,
/oruxmaps/mapstyles/폴더에 저장 하고,
<mapsforge테마-san_Khd_orux> 선택
등고선을 포함한 정교한 지도가 완성됐습니다..^^
트랙 만들기 !!
<트랙기록-GPS시작> 잠시 기다리면 내위치 화살표가 나옵니다.
<트랙기록-기록시작-새트랙>
당일 산행은 새트랙,
며칠 종주 산행을 할 때는 새구간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예, 지리산 종주 1구간, 2구간...)
트레킹이 끝나면 <트랙기록-기록중단> 후에 트랙을 저장합니다.
저장된 트랙은
/oruxmaps/tracklogs/폴더에 저장됩니다.
트랙을 보면 여러 장소가 보이는데,
트레킹 중에 장소를 저장한 것입니다.
출발점(검정 깃발)과 도착점(격자 깃발)은 자동으로 저장됩니다.(기본 설정)
나머지는 <장소생성>과 <사진장소>를 선택한 것입니다.
<장소관리>에서 이름을 바꾸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
내위치에서 특정 장소(정문)까지의 경로가 궁금하면,
장소를 클릭한 후에 <직통운행>
내위치에서 정문까지 루트가 초록색으로 표시됩니다.
경로탐색을 위해서는 Brouter Offline Navigation이 필요합니다.
<앱스토어>에서 Brouter Offline Navigation을 설치합니다.
클릭하면서 따라가면 세계지도가 나오고,
우리나라 지도를 찾아서 두개의 타일을 선택해서 받으면 됩니다.
경로 따라가기
기존의 트랙을 따라 걷기 위해서는
<트랙관리-루트/장소제거>로 지도에 있는 루트와 장소를 제거한 후에,
1. <트랙관리-트랙/루트관리>에 저장된 트랙을 클릭하고 <루트로 지도에 올리기>선택하거나,
2. 타인이 만든 트랙(GPX나 KML파일)을 받아서,
<트랙관리-트랙/루트도구-KML/GPX파일 올리기> 선택.
위와 같이 <경로운행(루트 따라가기)>를 선택하면,
경로이탈이나 장소를 만났을 때 안내가 나옵니다.
<설정-TTS,>에서 원하는 방식으로 알람을 설정합니다.
선택한 트랙의 출발점을 클릭하고-><활성화>를 선택해도 위 화면이 나옵니다.
* wpt(Waypoint) 항법은 생성된 장소를 연결해서 경로를 만들고 운행하는 방법입니다.
위와 같이 불암산 트랙이 보입니다.
번호 포인트는 1Km마다 자동으로 만들어집니다.
<GPS시작>후에 걷기 시작합니다.
경로 따라가기를 하면서 새 트랙으로 <기록시작>을 해도 됩니다.
운행 중에 <장소생성>을 할 때,
<활동중인 루트> 선택하면 경로따라가기를 하는 트랙,
<현재트랙> 선택하면 새 트랙에 장소가 저장됩니다.
트랙의 색상은 위와 같은 기준으로,
오르막과 내리막을 표시합니다,
<설정-사용자 인터페이스-트랙,경로,..>에서 위와 같이 설정돼 있습니다.
다른 길을 알아보기 위해서 <경로탐색>을 선택했습니다.
<트랙관리-트랙/루트도구-경로탐색>
넓은바위에서 거북바위로 가는 길을 찾기 위해서,
지도를 움직여서 넓은바위를 <지도중앙(빨강 십자원)>에 놓고 (+),
잘못 선택한 경우에는 (-)로 되돌리기를 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거북바위를 선택한 후에 (+)
<실행>을 선택하면,
위와 같이 새로운 경로를 찾을 수 있습니다.
거리를 측정하는 두가지 방법
1. 직선 거리 : A를 지도중앙에 놓고- <직선거리>-지도를 움직여서 B까지의 직선 거리 측정.
2. <트랙관리-트랙/루트 도구-거리 측정> 선택 후에 트랙의 두 지점을 터치해서 트랙 이동의 거리와 시간을 측정
위에 보이는 좌우의 버튼바는 자신에게 맞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사용자 인터페이스-버튼-버튼 바 설정>
1. 재설정을 눌러서 기존 내용을 지운 후에,
2. 원하는 버튼을 선택해서,
(2에서 버튼을 고르다보면 오룩스맵의 여러 기능을 알 수 있습니다.)
3. 좌우로 보낸 후에,
4. 저장.
* 저는 운행 중에 필요한 다섯개의 버튼만 오른쪽에 저장했습니다.
이상 간략하게 오룩스 간단메뉴얼을 끝냅니다.
오룩스맵을 처음 접하는 분께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