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크랩] 낙남정간 14구간 영신봉~고운동재
    한북정맥(완주)/낙남정간 (완주) 2012. 7. 16. 11:54

     

     

    구상나무(누르면 확대됩니다)

     

    영신봉

     

    우측으로 떨어질듯이 붙어 있는 자살바위, 가운데 뒤쪽으로 영신대

     

    창불대

    唱弗臺 ...이름 그대로 부처님을 찬양하는 노래를 뜻하니

    곧 구도에 정진함을 이르는 말이로세....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유두류록에 근거하여

    남부능선의 영신봉과 음양수 사이에 위치한 이곳을 창불대로 추정하고...

     

    (창불대의 좌선대)

    지리를 사랑한 나머지 일본유학까지 다녀온 인재가

    처자식을 내팽겨치고 20대의 젊은나이에 지리에 들어 세석평전에

    초막하나 짓고 평생 지리를 지키다 홀연히 사라진 전설의 인물 우천 허만수

    (그의 추념비는 중산리 법계교에....)

    그 분이 이곳에 좌선대를 만들어 도를 닦은 현장....음양수바위 위에도 존재

    사진은 음양수 바위 위의 좌선대입니다 

     

    삼신봉 가기전 주목군락지

     

    삼신봉

     

    외삼신봉

     

    묵계치를 지나서 치를 떠는 산죽터널

     

    낙남정간과, 1대간 1정간 8정맥 완주 축하의 장

     

    낙남정간 완주를 축하하며

     

    세석대피소 가기전 바라보는 가야할 남부능선

     

    영신대 옆에서 바라보는 풍경

     

    영신대 옆에서 바라보는 풍경 2

     

    가야할 남부능선

     

    좌측의 창불대와 우측의 자살바위 부근

     

    창불대에서 바라보는 풍경

     

    삼신봉 가기전 뒤 돌아보는 주목 군락지

     

    좌측에 구름의 반이 드리워진 외삼신봉, 정면이 삼신봉, 우측의 내삼신봉

     

     

     

    2012 7월 8일 일요일

    낙남정간의 마지막 지리산 구간을 하기 위해 영신봉을 시작으로 고운동재로 향합니다

    지난 7개월동안 매달 2번의 무박산행을 하면서 김해의 매리에서 시작한

    낙남정간 도상거리 580리(232km)를 마무리 합니다

     

    낙남의 시작이자 도착지인 영신봉을 오르기 위해

    거림에서 시작하여 세석대피소를 지나 영신봉을 오르고 남부능선을 따라

    창불대를 지나 음양수에 도착을 하여 아침을 맞이합니다

    삼신봉, 외삼신봉을 지나고 산죽에 걸리고, 구부리고 산죽터널을 지나고,

    얼굴과 산죽으로 굵킨 자국으로 쓰라리고 아픈데 거기다가 땀으로 범벅이 되니 더 힘이 듭니다

    아래로 삼신봉터널이 지나는 묵계재를 지나 고운동재에 도달하니

    아쉬움과 추억속에 지나온 낙남이 아련합니다

     

     

    산행지 :  거림~세석대피소~영신봉(1651m)~창불대~음양수(1450m)~의신마을 갈림길(대성골)

                  ~석문~1321m봉~1237m봉 헬기장~한벗샘 갈림길~삼신봉(1288m)

                  ~청학동 갈림길(갓걸이재)~외삼신봉(1288.4m)~묵계재~991m봉~고운동재

     

     

    산행일 : 2012, 07, 08 일요일

     

     

    산행시간 : 11시간 20분 (아침, 휴식포함)

     

     

    산행한 사람 :  김동혁, 거인산악회

     

     

                지도(누르면 확대됩니다)

     

     

     

     

     

               % 산행정리 %

    03:22  거림 민박촌 출발

    03:25  길상암 갈림길

              이정표  ↖ 세석대피소 6.0 km, ↗ 길상암, 길상선사

    03:29  거림 공원지킴터

    03:54  이정표  ← 거림 1.3 km, →  세석대피소 4.7 km

    04:23  이정표  ← 세석대피소 3.6 km, → 거림 2.4 km

    04:42  천팔교

    04:49  북해도교

    05:30  이름없는 다리

    05:34  남부능선을 전망 하기 좋은곳

    05:40  세석교

    06:13  청학동 갈림길

              이정표  ← 의신마을 8.6 km, 청학동 9.5 km, ↑ 세석대피소 0.5 km, ↓ 거림 0.5 km

    06:21~06:25  세석대피소 아래 식수대

    06:26~06:32  세석대피소

              이정표  ↑ 벽소령대피소 6.3 km, ↓ 장터목대피소 3.4 km

              벽소령대피소 방향으로 갑니다

     

    06:33  세석 관찰로

              좌측 영신봉 방향으로 갑니다

    06:41  영신봉 이정표

              우측에 있는 영신봉을 다녀 오기로 합니다

    06:44~06:47  우측에 있는 영신봉(1651m)

              낙남정간의 시작 매리 동신어산에서 시작하여 이곳 영신봉까지 오게됩니다

    06:49  되돌아 온 영신봉 이정표 있는곳

              남부능선으로는 진입이 금지 되어 있습니다

              미안함을 금치 못하며 낙남정간을 이어가기 위해 능선으로 진행합니다

    06:51  우측으로 영신대 가는곳

    06:59  전망대

              진행할 방향으로 창불대가 보이고, 멀리 반야봉도 구름이 지나가면 살짝 고개를 내밀고, 

              우측으로는 자살바위가 보입니다

    07:04  창불대

              唱弗臺 ...이름 그대로 부처님을 찬양하는 노래를 뜻하니

              곧 구도에 정진함을 이르는 말이로세....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유두류록에 근거하여

              남부능선의 영신봉과 음양수 사이에 위치한 이곳을 창불대로 추정하고...

              우측으로 지나온 자살바위 부근이 보이고, 좌측으로 조금 뒤쪽에 영신대가 보입니다

    07:23~08:05  음양수(1450m)

              음양수 위 좌선대에서 아침을...

              음양수에서 흐르는 물은 자빠진골로 자빠져 내려가서 거림으로 흘러 갑니다

              이정표 ← 세석대피소 1.2 km, → 쌍계사 15.3. km, 청학동 8.8 km, 의신 7.9 km

     

              음양수는 음양수제단이 설치된 바위 바로아래 있는 석천(石泉)으로,
              햇볕이 드는 쪽이 양수(陽水), 그늘진 곳이 음수(陰水)라고 하며,
              두 줄기의 물은 음양화합이 되듯 한 곳으로 합쳐져 흐른다.
              자식없는 사람이 이 물을 마시면 아이를 낳는다는 전설을 담고 있단다.

     

    08:15  이정표 ← 세석대피소 1.7 km, → 쌍계사 14.8 km, 청학동 8.3 km

    08:24  의신마을(대성골) 갈림길

              이정표 ← 세석대피소 2.2 km, ↓ 의신마을 6.9 km, → 삼신봉 5.3 km

    08:35  이정표 ← 세석대피소 2.7 km, → 쌍계사 13.8 km, 청학동 7.3 km

    08:45  석문

    09:12  1321m봉

              좌우로 큰바위가 있는 봉우리 사이를 지나갑니다

    09:32  1237m봉 헬기장

              이정표와 태양열 전지를 이용한 긴급 이동통신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10:00  한벗샘 갈림길

              이정표 ← 청학동 5.2 km, → 세석대피소 4.8 km

              좌측으로 한벗샘 이정표가 없어졌습니다

    11:00~11:05  삼신봉 가기전 전망대

              예전에 불이 났던곳인지 주목 군락지인지...

    11:13~11:18  삼신봉(1288m)

              우측으로 내삼신봉 방향으로 조금 내려가다 청학동 2.5 km 방향으로 갑니다

     

    11:20  쌍계사 갈림길

               이정표 ← 청학동 2.5 km, ↓ 세석대피소 7.5 km, → 쌍계사 8.9 km

    11:27  청학동 갈림길(갓걸이재)

              *** 주의 *** 우측 청학동 방향으로 가지않고, 막아놓은 직진길로 진행해야

              외삼신봉으로 갑니다

              이정표 ↑ 청학동 2.0 km, → 세석대피소 8.0 km, → 삼신봉 0.5 km

    11:48  갈림길

              *** 주의 *** 좌측으로 리본이 붙어 있으나, 우측 외삼신봉 방향으로 갑니다

              이제 조금후 부터는 산죽과의 전쟁이 외삼신봉과 묵계재를 지나 거의 고운동재까지 이어집니다

    11:52~12:21  외삼신봉(1288.4m)

     

    12:37  로프가 매여져 있는 바위구간 

    13:46  묵계재

              묵은 헬기장이고 아래로는 1047번 지방도로 삼신봉터널이 지나갑니다

    14:14  991봉을 우측으로 우회하며 지나게 됩니다

              산죽과의 마지막 사투를 버립니다

    14:25  넓은 공터

              이후 산죽이 없어지고 편안하게 내리막길을 갑니다.

              고운동재 주변에만 산죽이 조금 있습니다

    14:42  고운동재

     

     

    03:22  거림 민박촌 출발

              낙남의 마지막 구간 영신봉을 향해 출발합니다

     

    03:25  길상암 갈림길

              이정표 ↖ 세석대피소 6.0 km, ↗ 길상암, 길상선사

     

    03:29  거림 공원 지킴터

     

     

    03:54  이정표  ← 거림 1.3 km, → 세석대피소 4.7 km

     

    04:23  이정표  ← 세석대피소 3.6 km, → 거림 2.4 km

     

    04:42  천팔교

     

    04:49  북해도교

     

    05:30  이름없는 다리

     

    05:34  남부능선을 전망 하기 좋은곳

     

     

    05:40  세석교

     

     

    06:13  청학동 갈림길

              영신봉에서 음양수까지의 낙남정간 구간은 산행금지도 되어 있어 

              낙남의 마루금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영신봉을 갔다가  다시 이곳으로 되돌아 와

              좌측의 청학동 방향으로 가야합니다

              이정표 ← 의신마을 8.6 km, 청학동 9.5 km, ↑ 세석대피소 0.5 km, ↓ 거림 0.5 km

     

     

     

    06:21~06:25  세석대피소 아래 식수대

              이곳에서 물을 보충하고 출발합니다

     

     

    06:26~06:32  세석대피소

              이정표  ↑ 벽소령대피소 6.3 km, ↓ 장터목대피소 3.4 km

              벽소령대피소 방향으로 갑니다

     

     

    06:33  세석 관찰로

              좌측 영신봉 방향으로 갑니다

     

    옥잠화옆에 피어 있는 노루오줌

     

     

    06:41  영신봉 이정표

              우측에 있는 영신봉 정상을 다녀 오기로 합니다

     

    06:44~06:47 우측에 있는 영신봉(1651m)

              낙남정간의 시작 매리 동신어산에서 시작하여 이곳 영신봉까지 오게됩니다

     

     

     

     

     

    구상나무

     

     

     

     

    06:49  되돌아 온 영신봉 이정표 있는곳

              남부능선으로는 진입이 금지 되어 있습니다

              미안함을 금치 못하며 낙남정간을 이어가기 위해 능선으로 진행합니다

     

     

     

     

     

    06:51  우측으로 영신대 가는곳

     

     

     

     

     

     

     

    06:59  전망대

              진행할 방향으로 창불대가 보이고, 멀리 반야봉도 구름이 지나가면 살짝 고개를 내밀고,

              우측으로는 자살바위가 보입니다

     

     

     

     

     

     

    진행할 방향으로 창불대가 보입니다 

    창불대

    唱弗臺 ...이름 그대로 부처님을 찬양하는 노래를 뜻하니

    곧 구도에 정진함을 이르는 말이로세....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유두류록에 근거하여

    남부능선의 영신봉과 음양수 사이에 위치한 이곳을 창불대로 추정하고...

     

     

     

     

     

     

    가야할 남부능선

     

    시루봉(장군봉)

     

     

     

    07:04  창불대에서 우측으로 떨어질듯이 붙어 있는 자살바위, 가운데 뒤쪽으로 영신대

     

    07:14  돌무더기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창불대의 좌선대)

    지리를 사랑한 나머지 일본유학까지 다녀온 인재가

    처자식을 내팽겨치고 20대의 젊은나이에 지리에 들어 세석평전에

    초막하나 짓고 평생 지리를 지키다 홀연히 사라진 전설의 인물 우천 허만수

    (그의 추념비는 중산리 법계교에....)

    그 분이 이곳에 좌선대를 만들어 도를 닦은 현장....음양수바위 위에도 존재

    사진은 음양수바위 위의 좌선대입니다

     

    07:23~08:05  음양수(1450m)

              음양수 위 좌선대에서 아침을...

              음양수에서 흐르는 물은 자빠진골로 자빠져 내려가서 거림으로 흘러 갑니다

              이정표 ← 세석대피소 1.2 km, → 쌍계사 15.3. km, 청학동 8.8 km, 의신 7.9 km

              음양수는 음양수제단이 설치된 바위 바로아래 있는 석천(石泉)으로,
              햇볕이 드는 쪽이 양수(陽水), 그늘진 곳이 음수(陰水)라고 하며,
              두 줄기의 물은 음양화합이 되듯 한 곳으로 합쳐져 흐른다.
              자식없는 사람이 이 물을 마시면 아이를 낳는다는 전설을 담고 있단다.

     

     

     

    08:15  이정표 ← 세석대피소 1.7 km, → 쌍계사 14.8 km, 청학동 8.3 km

     

     

     

     

    08:24  의신마을(대성골) 갈림길

              이정표 ← 세석대피소 2.2 km, ↓ 의신마을 6.9 km, → 삼신봉 5.3 km

     

    08:35  이정표  ← 세석대피소 2.7 km, → 쌍계사 13.8 km, 청학동 7.3 km

     

    08:45  석문

     

     

     

     

     

    09:12  1321m봉

              좌우로 큰바위가 있는 봉우리 사이를 지나갑니다

     

          사진은 기러기님의 사진에서

     

    09:32  1237m봉 헬기장

              이정표와 태양열 전지를 이용한 긴급 이동통신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10:00  한벗샘 갈림길

              이정표 ← 청학동 5.2 km, → 세석대피소 4.8 km

              좌측으로 한벗샘 이정표가 없어졌습니다

     

     

     

     

     

     

     

     

     

     

     

     

    11:00~11:05  삼신봉 가기전 전망대

              예전에 불이 났던곳인지 주목 군락지인지...

     

     

     

     

     

    삼신봉

     

    삼신봉 아래 추모비

     

    삼신봉(우측에 누군가 돌을 정성스럽게 쌓아 올렸습니다)

     

     

    11:13~11:18  삼신봉(1288m)

              우측으로 내삼신봉 방향으로 조금 내려가다 청학동 2.5 km 방향으로 갑니다

     

     

     

     

     

     

    가야할 외삼신봉

     

    11:20  쌍계사 갈림길

              좌측 청학동 방향으로 갑니다

              이정표 ← 청학동 2.5 km, ↓ 세석대피소 7.5 km, → 쌍계사 8.9 km

     

    11:27  청학동 갈림길(갓걸이재)

              *** 주의 *** 우측 청학동 방향으로 가지않고, 막아놓은 직진길로 진행해야

              외삼신봉으로 갑니다

              이정표 ↑ 청학동 2.0 km, → 세석대피소 8.0 km, → 삼신봉 0.5 km

     

    11:48  갈림길

              *** 주의 *** 좌측으로 리본이 붙어 있으나, 우측 외삼신봉 방향으로 갑니다

              이제 조금후 부터는 산죽과의 전쟁이 외삼신봉과 묵계재를 지나 거의 고운동재까지 이어집니다

     

     

     

    12:37  로프가 매어져 있는 바위구간

              기러기님의 사진에서

     

    13:46  묵계재

              묵은 헬기장이고 아래로는 1047번 지방도로 삼신봉터널이 지나갑니다

     

    산죽터널

     

     

     

     

    14:14  991봉을 우측으로 우회하며 지나게 됩니다

              산죽과의 마지막 사투를 버립니다

     

     

    14:25  넓은 공터

              이후 산죽이 없어지고 편안하게 내리막길을 갑니다.

              고운동재 주변에만 산죽이 조금 있습니다

     

    14:42  고운동재

     

     

     

     

     

     

    낙남정간을 무사히 마치게 되었습니다. 함께 하신 모든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출처 : 김 동혁의 산행일지
    글쓴이 : 김동혁 원글보기
    메모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