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호남정맥 17구간 방아재~일목고개호남정맥(완주) 2014. 10. 16. 21:36
연산(모든 사진 누르면 확대됩니다. 필요 하신분 확대해서 보관하세요)
연산을 지나 통영지맥 분기점
무이산 가기전 운곡재에서 아침식사
무이산
괘일산을 오르며 바위에서
괘일산
설산
금샘
일목고개
일목 버스정유장
괘일산을 오르며 지나온 능선
괘일산 3봉을 지나며 지나온 능선들
2014년 9월14일 일요일
방아재에서 시작하여 호남고속도로를 지나 괘일산 1, 2, 3봉을 지나 설산을 다녀오고,
서암산을 지나 일목고개, 이목고개를 지나 88고속도로, 그리고 방축재까지 진행하려 했으나
시간이 허락치 않아 일목고개까지 진행하였습니다
산행지 : 방아재~△연산(508.1m)~통영지맥 분기점~과치재(호남고속도로)~운곡재~△무이산(306.6m)
~삼봉재~괘일산3봉(455m),2봉,1봉~설산갈림길~△설산(553m)~민치~서흥고개
~서암산(455m)~산불감시탑~상실고개~일목고개
산행일 : 2014, 09, 14 일요일
산행시간 : 11시간 15분 (점심, 휴식포함)
산행한 사람 : 김동혁, 거인산악회
진혁진님의 산행정보에서
청광님의 지도에서(마우스를 누르면 확대됩니다)
%산행정리%
03:40 방아재 출발
전 구간에서 도로를 가로 질러 임도따라 10여m 진행하면 묘목밭이 나오고
우측으로 마을로 들어 가는 임도가 이어집니다
묘목 밭 사이로 들어가 좌측으로 몇 발자국 이동하면 대나무 사이로 길이 보입니다
우리는 앞에 가는 일행들따라 임도로 조금 진행하다 좌측 대나무 밭사이로 진행했습니다
03:41 묘목밭
묘목 밭 사이로 들어가 좌측으로 몇 발자국 이동하면 대나무 사이로 길이 보입니다
우리는 앞에 가는 일행들따라 임도로 조금 진행하다 좌측 대나무 밭사이로 진행했습니다
04:00 묘지 1
04:03 묘지 2
04:07 묘지 3
묘지 3군데를 지나면 연산 갈림길이 나옵니다
04:21 연산 갈림길
연산 정상은 좌측으로 약 20m정도 거리에 있습니다
04:22~04:24 연산(508.1m)
삼각점(독산 22)이 있습니다
04:26 연산 갈림길
04:27 통영지맥 분기점
가족 묘지가 있고 우측으로 통영지맥이 이어지고 마루금은 직진하여 내려갑니다
04:50 큰 바위가 있는곳을 지납니다
05:36 호남고속도로 절개지 상단
날이 밝으면 고속도로 건너 NC주유소가 있는 과치재가 보일텐데 아쉬움에
배수로를 따라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05:39 호남고속도로 곡성 5km 표지판이 보이고 좌측으로 하수관이 보입니다
일부 일행은 하수관으로 진행하고 우리는 고속도로 우측 임도따라
고속도로 하부통로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05:46 고속도로 하부통로
05:48 도로따라 좌측으로 과치재로 진행합니다
05:55~06:07 과치재
전방에 주유소가 보이고 우측으로 무이산방향 이정표가 있습니다
이정표 ↑ 괘일산 정상 4.2 km, 무이산 정상 2.5 km
06:12 우측으로 대규모 농축사 같은 공사를 하고 있습니다
06:35 우측의 봉래산(229.3m)을 좌측으로 우회합니다
07:02 260m봉
07:12~07:53 운곡재
좌측의 동강리와 우측의 운곡리를 이어 주는 고개이고
임도 좌측으로 묘지에서 아침및 휴식
08:17 무이산(306.6m)
삼각점(순창 458)이 있습니다
08:26 삼봉재
직진하여 한동안 임도따라 진행합니다
08:32 임도가 끝나고 산길로 오릅니다
08:34 성심수련원 갈림길
08:48 큰 바위를 좌측으로 돌아 오릅니다
08:54 좌측으로 돌아 오른 바위 정상
09:13 괘일산 정상(3봉, 455m)
"掛日山" 해가 걸려있는산이란 뜻으로 옥과면 사람들이 늘 이산의 하얀 암릉위로
지는 해를 바라 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이정표 ↑ 설산정상 2.1 km, 쉼터 1.3 km, ↓ 성심수련원 1.3 km
괘일산 1봉까지 좌측으로 우회하지 않고 암릉길로 진행하며 주변 조망을 즐깁니다
09:31 괘일산 2봉
09:41 괘일산 1봉
앞으로는 더이상 진행할수 없고 약간 뒤로가서 마루금과 합류하여 내려갑니다
바로 앞에 보이는 큰 봉우리가 설산입니다
09:53 쉼터
임도삼거리이고 나무의자들이 있습니다
이정표 ↑ 설산 0.9 km, → 수도암(임도) 2.0 km, ↓ 괘일산 1.3 km
09:54 설산 갈림길
임도에서 약 30m정도 진행하면 좌측은 호남정맥길이고
직진하여 우측 사면길로 진행하여 금샘을 경유하여 설산을 다녀 오기로 합니다
10:02 이정표 ↑ 설산 0.4 km, → 임도 0.4 km, ↓ 괘일산 1.7 km
10:03 통나무 계단
10:11 금샘
10:21 설산(553m)
정상석과 삼각점(순창 311)이 있습니다
곡성팔경에 동악조일이요 설산낙조라는 말이 있습니다
동악산의 일출과 설산의 낙조를 첫번째와 두번째 경승으로 꼽은것입니다
설산은 전남과 전북의 경계이자 곡성과 담양의 경계이기도 합니다
10:30~10:41 다시 금샘으로 돌아와 휴식
10:57 설산갈림길로 돌아와 호남정맥 마루금을 이어갑니다
11:08 No.59 송전탑
11:22 민치
임도따라 진행합니다
11:24 임도가 우측으로 휘어지는 부분에서 좌측 숲으로 들어갑니다
11:26 안부
11:54~12:20 서흥고개 간식및 휴식
시멘트도로
12:37 넓은 임도따라 진행
12:41 우측에 농가 창고 있는곳을 지납니다
13:13~13:26 서암산(455m)
13:56 산불감시초소
*** 주의 *** 마루금은 좌측 급경사로 내려 가야 합니다
우리 일행은 직진하여 밤을 줍다 서암산 오름길 전의 시멘트길에서 마루금에 복귀했습니다
14:43 복숭아 밭사이길을 지났습니다
14:46 상실고개
대나무 밭이 앞을 막고 있는 시멘트 포장길이고 좌측은 상신기마을입니다
상신기 마을을 둘러 보고 우측에 있는 임도를 따라 진행합니다
14:58 우측으로 잘 단장된 묘지가 있는곳을 지납니다
15:00 일목고개
아스팔트 포장길입니다 시간이 지체되어 우측으로 진행하여 일목정류장으로 갑니다
일목정류장에서 복숭아 농장과 무공해 쌀을 경작하시는 김형관님(010-6317-6115)의 도움으로
승용차를 이용하여 방축재로 이동하였습니다
김형관님에게 감사드립니다
03:40 방아재 출발
전 구간에서 도로를 가로 질러 임도따라 10여m 진행하면 묘목밭이 나오고
우측으로 마을로 들어 가는 임도가 이어집니다
묘목 밭 사이로 들어가 좌측으로 몇 발자국 이동하면 대나무 사이로 길이 보입니다
우리는 앞에 가는 일행들따라 임도로 조금 진행하다 좌측 대나무 밭사이로 진행했습니다
03:41 묘목밭
묘목 밭 사이로 들어가 좌측으로 몇 발자국 이동하면 대나무 사이로 길이 보입니다
우리는 앞에 가는 일행들따라 임도로 조금 진행하다 좌측 대나무 밭사이로 진행했습니다
04:00 묘지 1
04:03 묘지 2
04:07 묘지 3
묘지 3군데를 지나면 연산 갈림길이 나옵니다
04:21 연산 갈림길
연산 정상은 좌측으로 약 20m정도 거리에 있습니다
04:22~04:24 연산(508.1m)
삼각점(독산 22)이 있습니다
04:26 연산 갈림길
04:27 통영지맥 분기점
가족 묘지가 있고 우측으로 통영지맥이 이어지고 마루금은 직진하여 내려갑니다
04:50 큰 바위가 있는곳을 지납니다
05:36 호남고속도로 절개지 상단
날이 밝으면 고속도로 건너 NC주유소가 있는 과치재가 보일텐데 아쉬움에
배수로를 따라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05:39 호남고속도로 곡성 5km 표지판이 보이고 좌측으로 하수관이 보입니다
일부 일행은 하수관으로 진행하고 우리는 고속도로 우측 임도따라
고속도로 하부통로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05:40
05:46 고속도로 하부통로
05:48 동이 트는 아침의 우측 곡성 방향
하부통로를 지나 오는 산우님들
05:48 도로따라 좌측으로 과치재로 진행합니다
05:51 도로 따라 진행하다 효녀 심청의 고을 곡성 표지석
05:55~06:07 과치재
전방에 주유소가 보이고 우측으로 무이산방향 이정표가 있습니다
이정표 ↑ 괘일산 정상 4.2 km, 무이산 정상 2.5 km
우측 곡성 방향
06:12 우측으로 대규모 농축사 같은 공사를 하고 있습니다
06:35 우측의 봉래산(229.3m)을 좌측으로 우회합니다
07:02 260m봉
07:12~07:53 운곡재
좌측의 동강리와 우측의 운곡리를 이어 주는 고개이고
임도 좌측으로 묘지에서 아침및 휴식
08:17 무이산(306.6m)
삼각점(순창 458)이 있습니다
08:26 삼봉재
직진하여 한동안 임도따라 진행합니다
08:32 임도가 끝나고 산길로 오릅니다
08:34 성심수련원 갈림길
08:48 큰 바위를 좌측으로 돌아 오릅니다
08:54 좌측으로 돌아 오른 바위 정상
괘일산에서 마지막으로 오르는 후미 이헌승대장님
괘일산에서 지나온 능선들
09:13 괘일산 정상(3봉, 455m)
"掛日山" 해가 걸려있는산이란 뜻으로 옥과면 사람들이 늘 이산의 하얀 암릉위로
지는 해를 바라 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이정표 ↑ 설산정상 2.1 km, 쉼터 1.3 km, ↓ 성심수련원 1.3 km
괘일산 1봉까지 좌측으로 우회하지 않고 암릉길로 진행하며 주변 조망을 즐깁니다
괘일산에서 바라 보는 진행할 방향의 괘일산 2봉과 우측의 설산
09:31 괘일산 2봉
뒤 돌아 보는 괘일산(3봉)
괘일산 2봉에서 바라 보는 옥과면과 우측의 지나온 능선과 우측으로 금단저수지
09:41 괘일산 1봉
앞으로는 더이상 진행할수 없고 약간 뒤로 가서 마루금과 합류하여 내려갑니다
바로 앞에 보이는 큰 봉우리가 설산입니다
진행할 방향의 설산
괘일산 1봉에서 설산을 배경으로 신경산님
09:53 쉼터
임도삼거리이고 나무의자들이 있습니다
이정표 ↑ 설산 0.9 km, → 수도암(임도) 2.0 km, ↓ 괘일산 1.3 km
09:54 설산 갈림길
임도에서 약 30m정도 진행하면 좌측은 호남정맥길이고
직진하여 우측 사면길로 진행하여 금샘을 경유하여 설산을 다녀 오기로 합니다
10:02 이정표 ↑ 설산 0.4 km, → 임도 0.4 km, ↓ 괘일산 1.7 km
10:03 통나무 계단
금샘으로 오르는 나무계단
10:11 금샘
10:21 설산(553m)
정상석과 삼각점(순창 311)이 있습니다
곡성팔경에 동악조일이요 설산낙조라는 말이 있습니다
동악산의 일출과 설산의 낙조를 첫번째와 두번째 경승으로 꼽은것입니다
설산은 전남과 전북의 경계이자 곡성과 담양의 경계이기도 합니다
설산에서 바라 보는 괘일산
설산에서 바라 보는 아미산 방향
좌측은 전북 순창이고 우측은 전남 곡성입니다
금샘에서 바라 보는 옥과면
10:30~10:41 다시 금샘으로 돌아와 휴식
10:57 설산갈림길로 돌아와 호남정맥 마루금을 이어갑니다
11:08 No.59 송전탑
지나온 설산 방향
11:22 민치
임도따라 진행합니다
11:24 임도가 우측으로 휘어지는 부분에서 좌측 숲으로 들어갑니다
11:26 안부
11:54~12:20 서흥고개 간식및 휴식
시멘트도로이고 서암산 방향으로 오릅니다
밤 주우러가나???
12:37 넓은 임도따라 진행
12:41 우측에 농가 창고 있는곳을 지납니다
13:13~13:26 서암산(455m)
13:56 산불감시초소
*** 주의 *** 마루금은 좌측 급경사로 내려 가야 합니다
우리 일행은 직진하여 밤을 줍다 서암산 오름길 전의 시멘트길에서 마루금에 복귀했습니다
좌측 광덕산 방향
14:43 복숭아 밭사이길을 지났습니다
14:46 상실고개
대나무 밭이 앞을 막고 있는 시멘트 포장길이고 좌측은 상신기마을입니다
상신기 마을을 둘러 보고 우측에 있는 임도를 따라 진행합니다
14:58 우측으로 잘 단장된 묘지가 있는곳을 지납니다
15:00 일목고개
아스팔트 포장길입니다 시간이 지체되어 우측으로 진행하여 일목정류장으로 갑니다
일목정류장에서 복숭아 농장과 무공해 쌀을 경작하시는 김형관님(010-6317-6115)의 도움으로
승용차를 이용하여 방축재로 이동하였습니다
김형관님에게 감사드립니다
함께 산행 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출처 : 김 동혁의 산행일지글쓴이 : 김동혁 원글보기메모 :'호남정맥(완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호남정맥 19구간 오정자재~밀재 (0) 2014.11.03 [스크랩] 호남정맥 18구간 일목고개~오정자재 (0) 2014.11.03 [스크랩] 호남정맥 16구간 유둔재~방아재 (0) 2014.09.12 [스크랩] 호남정맥 15구간 둔병재~유둔재 (0) 2014.08.11 [스크랩] 호남정맥 14구간 서밧재~둔병재 (0) 2014.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