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크랩] 13정맥과 기맥
    카테고리 없음 2011. 12. 22. 20:24

    청북정맥은 

    청천강의 북쪽 울타리이며 압록강의 남쪽 울타리입니다.

    고려 때 축성한 천리장성이 주능선입니다.

     

    청남정맥은 

    청천강의 남쪽 울타리이며 대동강의 북쪽 울타리입니다.

    우리들이 익히 알고 있는 묘향산 낭림산이 여기에 속합니다.

     

    해서정맥은 

    지명 이름을 따왔습니다.

     

    대동강의 남쪽 울타리이며 예성강 북쪽 울타리입니다.

    한번 들어본 적이 있는 것 같은 언진산 멸악산이 여기에 속합니다.

     

    임진북예성남정맥은 

    말 그대로 임진강 북쪽 예성강 남쪽 울타리입니다.

    판문점에서 훤히 보이는 경기오악중 하나인 개성 송악산이 여기에 속합니다.

    (#경기오악 : 화악산 운악산 감악산 관악산 송악산)

     

    한북정맥은 

    반은 북한에 속하고 반은 남한에 속하는 산줄기입니다.

    한강의 북쪽 울타리이며 임진강 남쪽 울타리입니다.

     

     

    ▲남한 쪽 줄기를 살펴보면

    군부대로 요새화 되어 있는 대성산 광덕산 백운산 국망봉 운악산 축석령 양주의

    불곡산 한강봉 사패산 도봉산 북한산 노고산 일산의 고봉산 지나 파주 교하의

    장명산에서 그 끝을 맺습니다.

     

    낙동정맥은 

    말 그대로 낙동강의 동쪽 울타리입니다.

    태백시 피재에서 시종일관 남진을 하는데 그 줄기를 살펴보면

     

    통고산 울진의 유명한 백암온천이 있는 백암산 청송의 비경 국립공원주왕산

    화랑들의 수련장 단석산 훌쩍 영남 알프스로 건너가 고헌산 영남알프스의 최고봉

    가지산 신불산 취서산 천성산 원효산에서 자지러들었다가

    부산의 명산 금정산을 일구고 다대포 몰운대에서 벼랑이 되고 파도가 되는

    도상거리 약 360km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한남금북정맥은 

    말 그대로 한강의 남쪽 울타리이며 금강의 북쪽 울타리라는 뜻입니다.

     

    속리산 천황봉에서 시작하여 정이품송으로 유명한 보은 말티고개 청주의 상당산성

    좌구산 안성의 칠장산에서 두 줄기로 만들어 한남정맥금북정맥에게 그 뒤를 잇게

    하는 도상거리 약 148km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한남정맥은 

    칠장산에서 경기도를 서북방향으로 가르며

    한강 하구에서 한북정맥과 임진북예성남정맥과 서로 얼굴을 맞대다 바다 속에서

    만나는 산줄기입니다. 오롯이 한강 남쪽 울타리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 흐름을 살펴보면 안성의 칠장산 수원의 광교산 안양의 수리산

    인천에 있는 3개의 철마산 계양산 가현산을 꿰찬 후 비산비야를 달려

    마지막으로 힘주어 밀어올린 강화대교문수산에서 끝나는 도상거리 약 180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낙남정맥은  

    이름 그대로 낙동강의 남쪽에 위치한 정맥.

    대체로 김해의 진산인 신어산(630m)을 지나, 마산의 무학산(767.4m)과 대산(727m),
    함안의 광려산(720m), 서북산(738.5m), 여항산(842m)을 두루 지나고,
    고성의 용암산(399.5m) 덕산(278m)에 이르러 떨어진 다음, 무량산(581.4m)을 넘어
    사천, 진주에 이르러서는 가화강(10m)까지 뚝 떨어진다.

    하동의 베토재(170m)에서 다시 고개를 들면서, 고운재(800m)로 올라 삼신봉(1,284m)에 이르면서
    지리산 주능선상 (백두대간)의 영신봉(1,651.9m)에 맥을 대고는 정맥을 마감한다.

    도상거리 220km에 실제거리는 약 300km가 넘는 거리다.



    ▒ 낙남정맥의 산 ▒

    지리산 영신봉, 삼신봉, 실봉산, 무선산, 봉대산, 양전산, 백운산, 대곡산, 무량산, 성치산, 용암산, 깃대봉, 여항산, 서북산, 광려산, 대산, 무학산, 천주산, 정병산, 비음산, 대암산, 용지봉, 황새봉, 신어산, 동신어산

    ○금북정맥은 

    칠장산에서 남쪽으로 충청남도 내륙을 휘젓고 다니는 산줄기를 말하며

    금강의 북쪽 울타리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 흐름을 살펴보면 칠현산 차령 봉수산 백월산 수덕산 가야산 오서산 팔봉산

    태안반도의 끝 안흥진에서 서해를 지키며 그 흐름을 멈추는 도상거리 약 272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그런데 엄밀히 따지자면 일부분만이 금강의 북쪽 울타리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기맥 부분에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금남호남정맥은 

    백두대간 전북 장수 백운산 근방 영취산에서 분기하여

    장안산 팔공산 진안의 명산 마이산 주화산에서 금남정맥과 호남정맥의 두 줄기로

    갈라지는 도상거리 약 63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금남정맥은 

    금강의 남쪽 울타리를 말하며

    주화산에서 호남정맥을 남으로 이별하고 머리를 북쪽으로 틀어

    운장산 대둔산 계룡산 부여의 부소산 조룡대 구드레나루에서 끝나는 도상거리

    약 126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그러나 금강의 온전한 남쪽 울타리는 아닙니다.

    이 문제도 추후 기맥 부분을 설명할 때 말씀드리겠습니다.

     

    ○호남정맥은 

    금남호남정맥의 주화산에서 남쪽으로 머리를 틀어

    전주의 명산 만덕산 정읍의 내장산  담양의 추월산 광주의 무등산

    장흥 제암산 사자산까지는 전라 좌우 도를 가르는 분계이며

     

     

    ○한북기맥은

    한북정맥이 양주 불곡산을 지나 도봉산으로 가던 중 한강봉과 챌봉 사이에서 서쪽

    으로 분기하여 꾀꼬리봉 말죽고개 고령산 개명산 됫박고개 미륵당 다락육교 월롱산

    기간봉 통일전망대가 있는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오두산에서 바다가 되는 도상

    거리 약 40km 정도의 산줄기로 실질적인 한북정맥입니다.

       

    ○금북기맥은

    금북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분기하여 충청남도 내륙을 휘젖고 남하하다 홍성

    백월산에서 금강과 아무 연관이 없이 북진을 해서 올라갑니다.

    이 백월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성태산 조공산 월하산 월명산 옥녀봉 봉림산

    오석산 남산 테뫼산 전망산에서 금강과 만나 서해바다가 되는 도상거리 약 69km

    정도의 산줄기로 실질적인 금북정맥입니다.

     

     

    ○금남기맥은

    주화산에서 북으로 분기한 금남정맥이 운장산 지난 싸리재에서 올라친 730봉에서

    정맥은 동쪽 봉수대봉으로 흐르고 서북방향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왕사봉 칠백이

    고지 남당산 작봉산 옥녀봉 함박봉 천호산 미륵산 함라산 망해산 대명산 고봉산

    장군봉 매미산 월명산에서 금강과 만나 서해바다가 되는 도상거리 약 97km 정도의

    산줄기로 실질적인 금남정맥입니다.

     

    ○영산북기맥은 

    호남정맥 내장산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입암산 방장산 문수산 태청산 불갑산 감방산 승달산 목포의 유달산을 지나 다순금

    마을에서 영산강과 바다가 만나 바다가 되는 도상거리 약150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홍천북기맥은

    한강정맥 홍천 운무산 부근 청랑산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소양강 남쪽과 홍천강 북쪽 울타리를 치며 매봉산 응봉산 소뿔산 홍천고개 가락재 대룡산 연엽산 봉화산을 지나 홍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본말마을에서 북한강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 128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내성기맥은

    백두대간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며 태백산 구룡산 지나 옥돌봉에서 남쪽 주실령쪽

    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문수산 갈방산 만리산 용두산 복두산 박달산 학가산 보문산 검무산 나부산 사림봉 뱃사나루 건너편 내성천이 낙동강과 만나 낙동강이 되는 도상 거리 약 114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위천북기맥은

    낙동정맥이 남하하다 주왕산을 지나 가사령으로 떨어지기 직전 742봉에서 서남쪽

    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달의령 베틀봉 면봉산 보현산 지난 노귀재에서 올라친 도면상 750.6봉인 석산에서 팔공기맥은 남진을 하고 서북으로 한줄기를 더 내어 시종일관 위천의 북쪽 울타리를 치며 어봉산 산두봉 구무산 푯대산 해망산 문암산 비봉산 건지봉 지나 위천 북쪽 1.5km 지점 상주군 중동면 신암리 토진마을 중동교가 있는 낙동강변에서 낙동강이 되는 겹침 산줄기 39km를 제외하고라도 장장 도상거리 126km 이상을 달리는 산줄기를 말합니다.

     

    ○소양북기맥은

    백두대간 금강산 남쪽 무명봉(산경표상 회전령)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도솔산용늪 대암산 봉화산 사명산 오봉산(청평산) 춘천의 우두산 백노주에서 소양강이

    북한강과 만나 북한강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 123km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한탄북기맥은

    한북정맥 분수령  근방 천산에서 서남쪽으로 분기하여 대부분 이북 땅을 가르며

    신성산 소이산 야월봉 천덕산 군자산을 지나 연천군 군남면 남계리 도감포에서

    한탄강이 임진강을 만나 임진강물이 되는 산줄기를 말합니다.   

     

    ○치악기맥은 

    한강정맥 홍천 운무산 부근 무명봉인 107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태기산 매화산 치악산 남대봉 감악봉 석기암 용두산 가창산 영월의 태화산을 지나

    동강과 서강이 만나는 어름에서 남한강이 되는 도상거리 약 134km 정도의 산줄기

    를 말합니다.

     

    ○팔공기맥은 

    포항시 청하면 상옥리 낙동정맥 가사령부근 742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베틀산

    면봉산 보현산 화산 팔공산 가산 베틀산 청화산 지나 위천과 낙동강이 만나 낙동강이 되는 도상거리 약 160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비슬기맥은

    낙동정맥 경주 아화 사룡산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구룡산 대왕산 선의산 용각산 비슬산 천왕산 화악산 종남산 팔봉산 밀양강과 낙동강이 만나는 오우진나루에서 낙동강 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 146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금오기맥은 

    백두대간 김천 대덕산 부근 초점산에서 분기하여

    수도산 가래재 염속산 고당산 백마산 금오산 제석봉 꺼먼재산 백마산 감천과 낙동강이 만나는 선산읍 어강나루에서 낙동강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 104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가야기맥은 

    금오기맥과 같이 가다

    수도산에서 단지봉 가야산두리봉 깃대봉 의상봉 비계산 두무산 합천의 마터호른

    오도산 만대산 시리봉 성산 삼학리에서 황강과 낙동강이 만나 낙동강이 되는 도상

    거리 약 105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진양기맥은

    백두대간 남덕유산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월봉산 금원산 기백산 매봉산 소룡산 황매산 철마산 삼성산 한우산

    자굴산 광제봉 지나 진양호로 빠져드는 도상거리 약 163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땅끝기맥은

    호남정맥 웅치 부근 깃대봉 옆 헬기장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바람재 각수바위 활성산 월출산 벌매산 서기산 첨봉 주작산 두륜산 대둔산 달마산

    도솔봉 지나 땅끝마을 사자봉 바닷가 땅끝탑에서 바다가 되는 도상거리 약 126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형남기맥은 

    낙동정맥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다 단석산 지나 백운산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형산강 남쪽 울타리를 치며 천마산 치술령 토함산 함월산 삼봉산 조항산 금오산 공개산

    우물재산 고금산 호미곶에서 동해바다가 되는 도상거리 약 98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고흥기맥은

    호남정맥이 전라남북도를 한바퀴 휘돌아 보성강의 남쪽 수계를 가르며 광양 백운산

    으로 가던 중 보성군 조성면 존제산 부근에서 동남쪽으로 분기하여 태봉 장군봉

    병풍산 일락산 소대방산 운람산 천등산 별학산 장계산 비봉산을 거쳐 고흥 녹동

    동봉마을 끝 바닷가에서 바다가 되는 도상거리 약104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출처 : 거인산악회.
    글쓴이 : 거인 원글보기
    메모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