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파랑86코스(완도항해조류센터 - 해남남창버스터미널(달도))남파랑길 2023. 4. 10. 02:03
언 제 : 2023년 4월9일 일요일 맑음
누 구 랑 : 나홀로 (8일 강남터미널 15시10분 출발 - 완도터미널 저녁8시20도착)
완도터미널 바로 근처 훼미리사우나 이용
거 리 : 25.67㎞ 07:57:58(13시39분) 실제마친 시간은 12시50분인데 베터리 방전으로
40분정도 충전한 뒤 종료를 해서 시간이 조금 오바됨
코 스 : (역방향) 완도항해조류센터 - 장보고기념관 - 장도 - 불목리선착장 - 완도대교 -
해남남창정류장(달도) (24.5㎞ 8시간 두루누비에 나와 있는 시간)
스탬프 QR위치
시점 : 전남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 253-4
종점 : 전남 완도군 완도읍 해변공원로 52:
코스개요
. 해남에서 완도대교를 지나 완도항까지 연결되는 구간으로 완도군의 핵심 , 관광 콘텐츠인 청해진 유적지
장보고 공원, 장보고 기념관 등을 체험할 수 있는 코스
. 완도해양생태전시관, 전복거리 등을 경유하며 완도대교와 해남의 달마산,남해안의 수려한 해안경관을
즐기며 완도의 매력을 오롯이 느낄 수 있는 걷기좋은 코스
관광포인트
. 전통시장의 풍성함과 정을 느낄 수 있는 해남의 남창 5일장
. 장보고 대사와 서 남해안의 중심지 청해진 완도를 이해할 수 있는 장보고기념관
. 해조류 센터 주변 등대와 활어회 센터
※ 산악회에서 금요무박으로 가는데 일이 있어 동참 못하고, 9일 오후15시10분 차로 완도에 도착해서
터미널 근처 훼미리 사우나에서 묵고 새벽5시20분에 나왔는데 아직 어두웠으나 진행했다..
해조류센터에서 시작하나 전복거리에서 전복 음식을 맛 볼 수 있는 기회는 없다는 것이 아쉽기도 했다.
완도대교를 건너와 얼마 있지 않아 베터리 방전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해남에서 2시30분 예매한 차를 놓칠까 농어촌 버스타고 가다 택시 갈아타고
해남터미널에서 만차된 고속버스로 저녁 8시에 도착했다.
해조류센터
87코스때 갔던 완도타워가 멀리 보인다.
멀리 등대
신지대교
아직 달이 남아 있어
도로에 먼나무
줄기 딸기나무꽃
해무리
이른 아침이라 관람을 못해 아쉽다.
멀리 장도
바다 바닥에 파란 것은 파래다
목책(원목열, 圓木列)
위치 : 원목은 섬 입구에서 남서쪽 해안으로 약 331미터길이로 갯벌 속에 묻혀 있는데, 현재 일부가 드러나 있다.
기능 ; 원목의 수종은 대부분 소나무리다. 지름 30~40㎝, 깊이 80~90㎝ 규모이며, 동서방향으로 긴 도량을 만든후
1열로 통나무를 총총히 세워 조성한 것이다.원목은 방어용 이었거나 배를 정박하기 위한 접안시설 또는 호안방벽의
기능을 하였다.
판촉(板築)
♠판축기법 : 청해진 성의 성벽은 판축기법으로 만들어졌다. 판축이란 흙으로 기초 및 성벽을 쌓는 방법이다.판자로 틀을
만들어 가운데 흙이나 모래를 번갈아 넣어단단하게 만들어 샇아 올린다.
♠ 판축토성 : 청해진 성은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능선을 따라 축조되었다. 성의 규모는 둘레길이 890미터이다.성벽은 양족 에 기단돌을 깔고 그 안쪽으로 흙과 모래를 다져 쌓은 판촉토성이다.
ㄷ자형 판축 유구 (ㄷ字刑 版築 遺構)
위치 : 청해진성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기능 : 우물을 보호하고 외성문을 보완하는 시능을 한다.
중국, 일본에서도 확인되지 않은 독특한 사례이다.우물은 잔존 길이 5.8미터이며 주름문늬병과철제편 등 다량의유물이
출토되었다.
굴립주(堀立柱): 위치 : 청해진 성의 굴립주는 성 정상부 평평한 곳에 위치 한다.
기능 : 굴립주는 땅을 파서 기둥을 세우거나 박아넣어서 만든 건물이다.유적과의 연관성으로 보아 주변을
관찰하는 기능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글씨가 햇볕이 강렬해 보이지 않아 써 넣음)
언덕위 내 그림자다 ㅎㅎ
만조시 주의구간이다. 물기머금은 더 진한 곳까지 썰물때는 들어온 흔적이다. 오늘고 오전 9시 되어가니 물이 들어 오고 있는데 빠른 걸음으로 걸어나와 사진으로 남겼다.
정말 오랫만에 보는 자운영꽃이다.
삵의 꽃
해안가 돌무덤처럼 쌓아 놓은 이유가 있을까?
왼쪽은 오래 되었는지 위에 풀이 나 있고, 오른쪽은 쌓은지 얼마되지 않은듯 보였다
남선리 선착장
간식 먹고 한컷
황진리 청해요양원
멀리 완도대교
여기서부터 86코스와 89코스 겹치는 구간이다.
베터리 방전으로 다른분 것을 다운받아 넣음
충전 보충한 후 찍음
이 남파랑 화살표 밑에 남파랑86코스 시점 표시가 있었는데 없고 위 사진 에 시점을 크게 다시 표시해 둔 것 같다.
'남파랑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파랑13,12,11코스일부(통영 광도면 황리사거리 -배둔시외버스터미널 - 암아교차로 - 진동항 사동교) (0) 2023.08.23 남파랑89,90코스(원동버스터미널 - 땅끝탑) (0) 2023.05.15 남파랑21코스 . 내도(거제어촌민속전시관 - 구조라유람선터미널) (0) 2023.03.20 남파랑80,81코스(회진시외버스터미널 -마량항- 가우도입구) (0) 2023.02.25 남파랑길 75, 76코스(남양버스정류장 - 비봉공룡공원입구) (0) 2023.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