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영월지맥8구간 (곧은치 ~ 비로봉 ~ 매화산 ~ 전재) 불참함
    수도기맥/영춘기맥 2020. 2. 18. 13:33



     

    2019년 02월 02일 일요일

    지난번 날씨 관계로 진행하지 못했던 남대봉에서 곧은재 탐방소까지의 남은 구간은

    다음에 하기로 하고

    오늘은 곧은재 탐방소에서 시작하여 비로봉을 지나 천지봉, 매화산을 지나 전재까지 진행하였습니다

    곧은재탐방소에서 비로봉까지는 계속되는 오름 구간이었고

    비로봉부터는 비탐방 구간이라 눈이 많이 쌓여 있어 급경사 내리막에는 주의를 요하는 구간이

    간간이 있었습니다

    수레너미재에서 매화산까지 1시간이 소요되는 급경사 오르막에는 힘이 많이 들었습니다

    매화산에서 좌측 급경사 내려 가는길도 독도 주의 해야합니다

    늦은 시간 전재에 도착하게 되었습니다


























    산행지 :  행구동 꽃밭머리교~곧은재탐방소~주막거리 쉼터~곧은재~헬기장(946m)~△969.6m(안흥, 447)

                  ~원통재~1118.6m봉~입석사 갈림길~쥐넘이재 전망대~1223m(헬기장)~구룡사,세렴폭포 갈림길

                  ~비로봉(1282m)~부곡탐방로 갈림길~1165m봉~배넘이재~1101.5m봉~1121m봉~1131m봉

                  ~1120.3m봉~1109m봉~세렴재~1045.9m봉~△천지봉(1085m, 안흥 444)~어령재~1002m봉

                  ~△965.2m봉(안흥 444)~수레너미재~헬기장~849m봉(구진농장 철조망 시작)

                  ~구진농장 도로 옆(안부)~전재



    산행일  2020, 02, 02 일요일



    산행시간 :  10시간 20분(휴식, 식사포함)



    산행한 사람 ;  김동혁(나), 거인산악회와 함께



    박종률님의 산행기에서(지도 누르면 확대됩니다)


    실 산행










          %산행정리%

    08:23  꽃밭머리교 다리전 우측 곧은재 탐방로 방향으로 오릅니다

    08:25  성문사, 국형사 갈림길

    08:27  관음사 갈림길

              고둔치교 다리를 지나 관음사 갈림길에서 직진길로 진행합니다

    08:33  차량 회차길

              차량이 돌아 나오는길이고, 좌측의 산길로 오릅니다

              이정표  ↑ 곧은재 2.2 km

    08:35  곧은재 탐방소

              "탐방로 안내"에서 보면 지난번에 내려온 금대분소 구간이 매우 어려운 구간 이라 표기가 되어있습니다

              힘이 들었지만 그러한 기회가 없으면 언제 내려와 볼수 있을까요... 

    09:01  2번째 다리

    09:04  주막거리 쉼터


    09:35  곧은재

              입구에서 곧은재까지 1시간 10분이 소요되었습니다

              이정표  ↑ 부곡공원 지킴터 2.2 km, ↓ 곧은재공원 지킴터 2.2 km, ← 비로봉 4.8 km. → 상원사 5.7 km

              좌측 비로봉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상고대가 이쁘게 맞이합니다

    09:41  상고대 사이의 나무계단을 오릅니다

    09:44  오름길의 첫 봉우리(약 890m)

    09:48  헬기장(약 946m)

    09:56  △969.6m

              삼각점(안흥 447)이 있습니다

    09:59  구조이정목 치악 1-18

              이정표  → 비로봉 3.8 km, ↓ 상원사 6.7 km

              우측으로 꺽어집니다

    10:03  산죽


    10:13  원통재(구조 이정목 1-17)

              이정표  ↑ 비로봉 3.1 km, ↓ 상원사 7.4 km

              좌측의 원주시 행구동 황골과 우측의 횡성군 강림면 부곡리 원통골을 이어주는 고개입니다

    10:21  구조 이정목 1-16 (949m)

    10:50  1118.6m봉을 좌측으로 지났습니다 

    10:54  산죽 오름길

    10:58  입석사 갈림길

              이정표  ↓ 성남공원 지킴터 14.4 km, 남대봉 8.5 km, ← 입석사 1.2 km. → 비로봉 1.3 km

              우측 비로봉 방향으로 오릅니다

    11:12  쥐넘이재 전망대

              이곳에서 조금 더 진행하면 좌측으로 출입금지 표지판이 서있고

              그길로 내려가 삼봉 가기전이 쥐넘이재입니다.

              전망대에서 삼봉과 투구봉, 토끼봉이 나란히 보입니다

    11:22  1223m봉(헬기장)

              치악산 미륵불탑이 잘 보입니다

              치악산 미륵불탑

              치악산 비로봉에 세워진 돌탑은 원주에서 제과점을 운영하던 용창중(일명 용진수)이라는 사람이

              비로봉 정상에 3년 안에 3기의 돌탑을 쌓으라는 신의 계시가 있어 혼자서 탑을 쌓았던 것인데,

              19629월 처음 쌓기 시작하여 19645층으로 된 돌탑을 모두 쌓았으나

              1967년과 1972년에 알 수 없는 이유로 무너졌던 것을 용창중씨가 각각 그해에 복원하였다.

              1994년 이후 두 차례에 걸쳐 벼락을 맞아 무너진 것을 치악산국립공원사무소가 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미륵불탑 중 오름길에서 볼때 맨 우측 남쪽의 탑이용왕탑, 중앙의 탑은 산신탑,

              그리고 북쪽의 탑을 칠성탑이라고 한다.

              용창중씨는 1974년 작고하였다.

    11:24  비로봉 감시초소 내려 가기전 계단 좌측 바위에 새겨진 황장금표

    11:26  구룡사 세렴폭포 갈림길

              안부 우측에는 비로봉 감시초소, 그리고 그앞에 금강초롱 서식지 원형 보호철망이 있습니다

              좌측으로 구룡사, 세렴폭포 로 내려가며 이곳을 지나며 가파른 나무계단으로 오릅니다

              이정표  ↓ 상원사10.2 km, 입석사 2.2 km, ← 구룡사 4.7 km. 세렴폭포 2.5 km, → 비로봉 0.3 km

              구룡사

              치악산의 으뜸 봉우리인 비로봉에서 학곡리 쪽으로 6떨어져 있는 구룡사는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창건하였는데,

              전설에 의하면 대웅전 자리에는 연못이 있었고 그곳에는 아홉 마리 용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 의상은 그 연못 자리가 좋아,

              그곳에 절을 지으려고 용들과 도술시합을 했다. 용들이 먼저 솟구쳐 올랐다.

              그러자 뇌성벽력이 치고 산들이 모두 물에 잠겨버렸다. 용들이 흐뭇해하며 주변을 살피니,

              의상은 비로봉과 천지봉에 줄을 걸어 배를 매놓고 그 안에서 자고 있었다. 다음은 의상이 움직였다.

              부적을 한 장 그려 연못에 넣었다. 그러자 연못이 부글부글 끓기 시작했고 용들이 뜨거워 날뛰었다.

              그때 놀란 용 여덟 마리가 절 앞산을 여덟 조각내면서 동해로 도망치고, 한 마리는 눈이 멀어 계곡의 못에 머물렀다.

              그래서 절 이름도 구룡사(九龍寺)라 했다

              조선시대에 들어 사찰이 퇴락하게 되었는데, 어느 날 한 노인이 나타나 절 입구의 거북바위 때문에 절의 기가 약해졌으니

              그 혈을 끊으라 했다. 그대로 했더니 절이 더 힘들어졌고 폐사가 되려 했다.

              이번에는 한 도승이 나타나 훈수를 했다. 거북의 혈맥을 끊어서 절이 쇠락해졌으니 다시 그 혈맥을 이으라는 것이다.

              래서 절 이름을 치악산 구룡사(龜龍寺)로 바꾸었다고 한다.

              대웅전 앞 좌우에는 서상원과 보광루, 적묵당, 심검당의 승사가 있으며

              이밖에도 원통문, 국사단, 사천왕문, 범종각, 응진전 등이 있고, 절 입구에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부도군이 있고,

              또 구룡사의 전설을 말해주는 거북바위와 폭포아래에 용소가 있다.

              또한 조선시대에 만든 황장금표가 있는데 이것은 치악산 일대의 송림에 대한 무단벌채를 금하는 표식이다.


    11:38~11:45  비로봉(1282m)

              비로봉 정상에는 3개의 석탑 용왕탑 산신탑 칠성탑이 있고 산신탑 옆에 정상석이 있습니다

              *** 주의 *** 영월지맥은 칠성탑(사다리 병창길) 가기전

              우측 계단(부곡 큰무레골길. 횡성방향)으로 내려가야 합니다 

    11:48  부곡탐방로 갈림길

              *** 주의 *** 비로봉에서 우측 계단길로 내려와 계단을 조금 지나 내려오면

             좌측으로 출입금지 표지판이 있고 그 뒤로 맥을 이어갑니다

             부득이 영월지맥을 이어 가기에 미안함을 새기며 진행합니다

    12:09~12:34  점심및 휴식

    12:48  산죽길

    12:54  1165m봉

    13:02  배넘이재로 내려가며 뾰족한 암봉 1084m봉 방향을 올려다 봅니다 


    13:03  배넘이재

              좌측의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 학곡리에서 우측의 횡성군 강림면 부곡리로 넘어가는 고개입니다

    13:17  암봉 우측 낙석 사이로 오릅니다 

    13:26  1101.5m봉

              큰 나무가 있는 봉우리입니다 박종률님의 지도에 1105m봉입니다

    13:39  1121m봉을 지나 내려갑니다

    13:52  1131m봉

              참호 같은 구덩이가 있고 좌측으로 꺽어집니다

    14:08  바위봉을 좌측으로 우회합니다

    14:11  1120.3m봉 바위봉

              우측으로 우회합니다

    14:20  1109m봉


    14:33  세렴재

              좌측 세렴골에 있는 세렴폭포로 내려가는 곳인데 길이 보이질 않습니다

    14:48  1045.9m봉

    15:01  △천지봉(1085.8m, 안흥 444)

              좌측으로는 구룡사 내려가는 길이고 영월지맥은 우측 가파른길로 내려갑니다

    15:11 바위 우측으로 지나갑니다 

    15:19  어령재(안부)

    15:27  1002m봉

    15:32  △965.2m봉(안흥 443)

              능선길에서 좌측으로 10m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15:56~16:09  수레너미재. 휴식

              좌측으로 원주시 소초면 학곡리와 우측 횡성군 강림리 수레너미골로 이어지는 고개입니다

              오애된 큰 엄나무와 느린 우체통, 엄나무 옆 작은 포스트 함에는 둘레길 확인 스탬프도 있습니다

              좌우로 둘레길이 조성 되어 있는 큰길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후 매화산 까지는 1시간 동안의 급경사를 올라야 합니다 

    16:12  구 헬기장

    16:40  바위 협곡 사이길로 오릅니다

    16:50  우측으로 매화산 우측 강림 안터로 이어지는 바위 능선이 보입니다

    16:58  뾰족한 바위봉이 보입니다


    17:11  △매화산(1084m, 건설부 24)

              매화산 바로 전 학곡리 야영장으로 내려가는 길이 있고

              *** 주의 *** 매화산 정상 지나며 곧 바로 좌측 급경사로 내려가야 합니다

              직진하면 올라오기전에 보았던 강림 안터골로 이어지는 멋진 암릉으로 진행됩니다

    17:41  879.5m(헬기장)

    17:55  약 849m봉

              농장 철조망이 나오는 봉우리에서 좌측으로 꺽어집니다

              철조망을 우측에 두고 계속 내려갑니다

    18:14  우측으로 구진농장 농로와 건물등이 보이는 안부입니다

    18:38  마지막 철조망에서 좌측으로 급경사  쇠파이프가 박혀 있는 그물 좌측으로 내려옵니다

    18:42  전재

              좌측의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오원리와 우측의 안흥면 안흥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전면 통재되었고

             지금은 아래의  전재터널로 통과합니다











    08:23  꽃밭머리교 다리전 우측 곧은재 탐방로 방향으로 오릅니다

















    08:25  성문사, 국형사 갈림길


    08:27  관음사 갈림길

              고둔치교 다리를 지나 관음사 갈림길에서 직진길로 진행합니다


    08:33  차량 회차길

              차량이 돌아 나오는길이고, 좌측의 산길로 오릅니다

              이정표  ↑ 곧은재 2.2 km



    08:35  곧은재 탐방소

              "탐방로 안내"에서 보면 지난번에 내려온 금대분소 구간이 매우 어려운 구간 이라 표기가 되어있습니다

              힘이 들었지만 그러한 기회가 없으면 언제 내려와 볼수 있을까요... 




    09:01  2번째 다리


    09:04  주막거리 쉼터





    09:35  곧은재

              입구에서 곧은재까지 1시간 10분이 소요되었습니다

              이정표  ↑ 부곡공원 지킴터 2.2 km, ↓ 곧은재공원 지킴터 2.2 km, ← 비로봉 4.8 km. → 상원사 5.7 km

              좌측 비로봉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상고대가 이쁘게 맞이합니다




    09:41  상고대 사이의 나무계단을 오릅니다


    09:44  오름길의 첫 봉우리(약 890m)


    09:48  헬기장(약 946m)


    09:56  △969.6m

              삼각점(안흥 447)이 있습니다














    09:59  구조이정목 치악 1-18

              이정표  → 비로봉 3.8 km, ↓ 상원사 6.7 km

              우측으로 꺽어집니다


    10:03  산죽


    10:09


    10:13  원통재(구조 이정목 1-17)

              이정표  ↑ 비로봉 3.1 km, ↓ 상원사 7.4 km

              좌측의 원주시 행구동 황골과 우측의 횡성군 강림면 부곡리 원통골을 이어주는 고개입니다



    10:21  구조 이정목 1-16 (949m)



    10:50  1118.6m봉을 좌측으로 지났습니다 


    10:54  산죽 오름길



    10:58  입석사 갈림길

              이정표  ↓ 성남공원 지킴터 14.4 km, 남대봉 8.5 km, ← 입석사 1.2 km. → 비로봉 1.3 km

              우측 비로봉 방향으로 오릅니다





    11:12  쥐넘이재 전망대

              이곳에서 조금 더 진행하면 좌측으로 출입금지 표지판이 서있고

              그길로 내려가 삼봉 가기전이 쥐넘이재입니다.

              전망대에서 삼봉과 투구봉, 토끼봉이 나란히 보입니다


    좌측으로 보이는 삼봉과 투구봉



    11:22  1223m봉(헬기장)

              치악산 미륵불탑이 잘 보입니다

              치악산 미륵불탑

              치악산 비로봉에 세워진 돌탑은 원주에서 제과점을 운영하던 용창중(일명 용진수)이라는 사람이

              비로봉 정상에 3년 안에 3기의 돌탑을 쌓으라는 신의 계시가 있어 혼자서 탑을 쌓았던 것인데,

              19629월 처음 쌓기 시작하여 19645층으로 된 돌탑을 모두 쌓았으나

              1967년과 1972년에 알 수 없는 이유로 무너졌던 것을 용창중씨가 각각 그해에 복원하였다.

              1994년 이후 두 차례에 걸쳐 벼락을 맞아 무너진 것을 치악산국립공원사무소가 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미륵불탑 중 오름길에서 볼때 맨 우측 남쪽의 탑이용왕탑, 중앙의 탑은 산신탑,

              그리고 북쪽의 탑을 칠성탑이라고 한다.

              용창중씨는 1974년 작고하였다.





    11:24  비로봉 감시초소 내려 가기전 계단 좌측 바위에 새겨진 황장금표



    11:26  구룡사 세렴폭포 갈림길

              안부 우측에는 비로봉 감시초소, 그리고 그앞에 금강초롱 서식지 원형 보호철망이 있습니다

              좌측으로 구룡사, 세렴폭포 로 내려가며 이곳을 지나며 가파른 나무계단으로 오릅니다

              이정표  ↓ 상원사10.2 km, 입석사 2.2 km, ← 구룡사 4.7 km. 세렴폭포 2.5 km, → 비로봉 0.3 km

              구룡사

              치악산의 으뜸 봉우리인 비로봉에서 학곡리 쪽으로 6떨어져 있는 구룡사는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창건하였는데,

              전설에 의하면 대웅전 자리에는 연못이 있었고 그곳에는 아홉 마리 용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 의상은 그 연못 자리가 좋아,

              그곳에 절을 지으려고 용들과 도술시합을 했다. 용들이 먼저 솟구쳐 올랐다.

              그러자 뇌성벽력이 치고 산들이 모두 물에 잠겨버렸다. 용들이 흐뭇해하며 주변을 살피니,

              의상은 비로봉과 천지봉에 줄을 걸어 배를 매놓고 그 안에서 자고 있었다. 다음은 의상이 움직였다.

              부적을 한 장 그려 연못에 넣었다. 그러자 연못이 부글부글 끓기 시작했고 용들이 뜨거워 날뛰었다.

              그때 놀란 용 여덟 마리가 절 앞산을 여덟 조각내면서 동해로 도망치고, 한 마리는 눈이 멀어 계곡의 못에 머물렀다.

              그래서 절 이름도 구룡사(九龍寺)라 했다

              조선시대에 들어 사찰이 퇴락하게 되었는데, 어느 날 한 노인이 나타나 절 입구의 거북바위 때문에 절의 기가 약해졌으니

              그 혈을 끊으라 했다. 그대로 했더니 절이 더 힘들어졌고 폐사가 되려 했다.

              이번에는 한 도승이 나타나 훈수를 했다. 거북의 혈맥을 끊어서 절이 쇠락해졌으니 다시 그 혈맥을 이으라는 것이다.

              래서 절 이름을 치악산 구룡사(龜龍寺)로 바꾸었다고 한다.

              대웅전 앞 좌우에는 서상원과 보광루, 적묵당, 심검당의 승사가 있으며

              이밖에도 원통문, 국사단, 사천왕문, 범종각, 응진전 등이 있고, 절 입구에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부도군이 있고,

              또 구룡사의 전설을 말해주는 거북바위와 폭포아래에 용소가 있다.

              또한 조선시대에 만든 황장금표가 있는데 이것은 치악산 일대의 송림에 대한 무단벌채를 금하는 표식이다
















    11:38~11:45  비로봉(1282m)

              비로봉 정상에는 3개의 석탑 용왕탑 산신탑 칠성탑이 있고 산신탑 옆에 정상석이 있습니다

              *** 주의 *** 영월지맥은 칠성탑(사다리 병창길) 가기전

              우측 계단(부곡 큰무레골길. 횡성방향)으로 내려가야 합니다 

















    칠성봉에서 바라 보는 모습


    예전 정상석이 있던 자리 이곳을 지나며 칠성탑(사다리 병창 가는길) 가기전

    우측 계단(부곡큰무레골길, 횡성방향)으로 내려갑니다 





    11:48  부곡탐방로 갈림길

              *** 주의 *** 비로봉에서 우측 계단길로 내려와 계단을 조금 지나 내려오면

             좌측으로 출입금지 표지판이 있고 그 뒤로 맥을 이어갑니다

             부득이 영월지맥을 이어 가기에 미안함을 새기며 진행합니다


    좌측으로 낭떠러지 협곡


    12:09~12:34  점심및 휴식


    12:48  산죽길


    12:54  1165m봉


    13:02  배넘이재로 내려가며 뾰족한 암봉 1084m봉 방향을 올려다 봅니다 

    13:03  배넘이재


    13:17  암봉 우측 낙석 사이로 오릅니다 



    13:26  1101.5m봉

              큰 나무가 있는 봉우리입니다 박종률님의 지도에 1105m봉입니다


    13:39  1121m봉을 지나 내려갑니다


    13:52  1131m봉

              참호 같은 구덩이가 있고 좌측으로 꺽어집니다



    14:08  바위봉을 좌측으로 우회합니다


    14:11  1120.3m봉 바위봉

              우측으로 우회합니다


    14:20  1109m봉


    14:33  세렴재

              좌측 세렴골에 있는 세렴폭포로 내려가는 곳인데 길이 보이질 않습니다


    천지봉으로 향하며 뒤 돌아 보는 비로봉 방향






    14:48  1045.9m봉


    15:01~15:06  △천지봉(1085.8m, 안흥 444)

              좌측으로는 구룡사 내려가는 길이고 영월지맥은 우측 가파른길로 내려갑니다












    15:11 바위 우측으로 지나갑니다 


    15:19  어령재(안부)

    15:27  1002m봉


    15:32  △965.2m봉(안흥 443)

              능선길에서 좌측으로 10m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15:56~16:09  수레너미재. 휴식

              좌측으로 원주시 소초면 학곡리와 우측 횡성군 강림리 수레너미골로 이어지는 고개입니다

              오애된 큰 엄나무와 느린 우체통, 엄나무 옆 작은 포스트 함에는 둘레길 확인 스탬프도 있습니다

              좌우로 둘레길이 조성 되어 있는 큰길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후 매화산 까지는 1시간 동안의 급경사를 올라야 합니다 




    엄나무 옆 작은 포스트함에는 둘레길 스탬프도 있습니다


    스탬프로 찍은 수레너미재



    16:12  구 헬기장


    급경사를 오릅니다


    16:40  바위 협곡 사이길로 오릅니다



    16:50  우측으로 매화산에서 우측 강림 안터로 이어지는 바위 능선이 보입니다


    16:58  뾰족한 바위봉이 보입니다


    17:11  △매화산(1084m, 건설부 24)

              매화산 바로 전 학곡리 야영장으로 내려가는 길이 있고

              *** 주의 *** 매화산 정상 지나며 곧 바로 좌측 급경사로 내려가야 합니다

              직진하면 올라오기 전에 보았던 강림 안터골로 이어지는 멋진 암릉으로 진행됩니다





    17:41  879.5m(헬기장)


    17:55  약 849m봉

              농장 철조망이 나오는 봉우리에서 좌측으로 꺽어집니다

              철조망을 우측에 두고 계속 내려갑니다



    18:14  우측으로 구진농장 농로와 건물등이 보이는 안부입니다


    18:38  마지막 철조망에서 좌측으로 급경사  쇠파이프가 박혀 있는 그물 좌측으로 내려옵니다



    18:42  전재

              좌측의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오원리와 우측의 안흥면 안흥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전면 통재되었고

             지금은 아래의  전재터널로 통과합니다




    2020-02-02 0819__20200202_0819.gpx


    함께 산행 해주신  모든분 들에게 감사드립니다












Designed by Tistory.